영어농장 모의고사 자료 목록
EF000 좌본우해
EF001 어휘정리 EF002 본문 한줄해석
EF003 본문영작연습 EF004 본문해석연습
EF005 내용일치 EF006 글의순서
EF007 문장삽입 EF008 어법어휘선택
EF01 종합변형문제 EF02 워크북 (EF002, EF005~8 합본)
전체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항 자료구매 ↓↓↓
2020년 11월 고1/고2 모의고사 종합변형문제+워크북 판매
<알파카의 영어농장> 나눔자료 게시판에 샘플 파일을 올려놓았습니다 https:cafe.naver.com/forjr 합본형 선택시 할인이 적용됩니다
form.office.naver.com
알파카의 영어농장 http://cafe.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 네이버 카페
고등부 학생들, 고등부 선생님들께 필요한 모의고사 위주의 자료를 제공하는 영어카페입니다.
cafe.naver.com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쌤의 영어교실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학생은 없다,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blog.naver.com
영어회복제 Pacas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영어회복제Pacas
- 우리동네영어쌤 Alpaca Since 2019. 8. - 채널명을 변경하였습니다~* 올해 1월에 이사를 하고, 공부방을 열어 2월 1일 부터 첫 수업을 진행했어요~ 고3 수강생이 아직 1명이라 강의를 보면 수업 초점이
www.youtube.com
18. 다음 글의 목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To the Principal of Gullard High School,
My name is Nancy Watson, and I am the captain of the student dance club at Gullard High School. We are one of the biggest faces of the school, winning a lot of awards and trophies. However, the school isn't allowing our club to practice on the school field because a lot of teachers worry that we are going to mess up the field. This is causing us to lose practice time and ultimately results in creating a bad high school experience for us. We promise to use the space respectfully. Therefore, I'm asking you to allow us to use the school field for our dance practice. I would be grateful if you reconsider your decision. Thank you very much.
Sincerely, Nancy Watson
Gullard 고등학교 교장 선생님 귀하,
제 이름은 Nancy Watson이며 Gullard 고등학교 학생 댄스 동아리 회장입니다. 우리는 학교의 가장 중요한 얼굴 중 하나로 많은 상과 트로피를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선생님들께서 우리가 학교 운동장을 엉망으로 만들 것을 염려하시기 때문에 학교는 우리 동아리가 운동장에서 연습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는 우리에게 연습 시간을 잃게 하고 결국 우리에게 유감스러운 고등학교 경험을 만들어 주게 됩니다. 우리는 그 공간을 소중히 사용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그러므로, 저는 교장 선생님께 우리가 댄스 연습을 위해 학교 운동장을 사용하도록 허락해 주시기를 요청드립니다. 교장 선생님께서 그 결정을 재고해 주신다면 고맙겠습니다. 대단히 감사합니다. Nancy Watson 올림
19. 다음 글에 드러난 Ryan의 심경 변화로 가장 적절한 것은?
Ryan, an eleven-year-old boy, ran home as fast as he could. Finally, summer break had started! When he entered the house, his mom was standing in front of the refrigerator, waiting for him. She told him to pack his bags. Ryan's heart soared like a balloon. Pack for what? Are we going to Disneyland? He couldn't remember the last time his parents had taken him on a vacation. His eyes beamed. “You're spending the summer with uncle Tim and aunt Gina.” Ryan groaned. “The whole summer?” “Yes, the whole summer.” The anticipation he had felt disappeared in a flash. For three whole miserable weeks, he would be on his aunt and uncle's farm. He sighed.
11살 소년 Ryan은 가능한 한 빨리 집으로 달려갔다. 마침내, 여름 방학이 시작했다! 그가 집으로 들어갔을 때 그의 엄마는 냉장고 앞에 서서 그를 기다리고 있었다. 그녀는 그에게 가방을 싸라고 말했다. Ryan의 심장이 풍선처럼 날아올랐다. ‘왜 가방을 싸지? 우리가 디즈니랜드에 가는 걸까?’ 그는 마지막으로 부모님이 자신을 데리고 휴가를 갔던 때가 기억나지 않았다. 그의 두 눈이 반짝거렸다. “너는 Tim 삼촌과 Gina 숙모와 함께 여름을 보내게 될 거야.” Ryan은 불만의 신음 소리를 냈다. “여름 내내요?” “그렇단다. 여름 내내.” 그가 느꼈던 기대감이 순식간에 사라졌다. 끔찍한 3주 내내, 그는 자신의 삼촌과 숙모의 농장에서 지내게 될 것이다. 그는 한숨을 쉬었다.
20.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When trying to convince someone to change their mind, most people try to lay out a logical argument, or make a passionate plea as to why their view is right and the other person's opinion is wrong. But when you think about it, you'll realize that this doesn't often work. As soon as someone figures out that you are on a mission to change their mind, the metaphorical shutters go down. You'll have better luck if you ask well-chosen, open-ended questions that let someone challenge their own assumptions. We tend to approve of an idea if we thought of it first — or at least, if we think we thought of it first. Therefore, encouraging someone to question their own worldview will often yield better results than trying to force them into accepting your opinion as fact. Ask someone well-chosen questions to look at their own views from another angle, and this might trigger fresh insights.
누군가를 그 마음을 바꾸도록 설득하고자 할 때 대부분의 사람들이 논리적 주장을 펼치거나 또는 왜 자신의 관점이 옳고 다른 사람의 의견이 틀린지에 대해 열정적으로 항변한다. 하지만 여러분이 그것에 대해 생각해 보면 여러분은 이것이 종종 효과가 없다는 것을 깨달을 것이다. 누군가가 여러분이 자신의 마음을 바꾸려는 임무를 띠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자마자 은유적인 (마음의) 셔터는 내려간다. 만약 여러분이 누군가에게 자기 자신의 가정을 의심하도록 하는 잘 선택된, 다양한 대답이 가능한 질문을 한다면 여러분은 더 좋은 운이 따를 것이다. 만약 우리가 어떤 견해를 먼저 생각해 냈다면 혹은 최소한 우리가 그것을 먼저 생각해 냈다고 ‘생각’한다면, 우리는 그 견해를 인정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누군가에게 자기 자신의 세계관에 의문을 갖도록 장려하는 것은 억지로 여러분의 의견을 사실로 받아들이도록 그들에게 강요하려고 하는 것보다 종종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누군가에게 그들 자신의 관점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보도록 잘 선택된 질문을 하라. 그러면 이것은 새로운 통찰력을 유발할 것이다.
21. 밑줄 친 turns the life stories of these scientists from lead to gold가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In school, there's one curriculum, one right way to study science, and one right formula that spits out the correct answer on a standardized test. Textbooks with grand titles like The Principles of Physics magically reveal “the principles” in three hundred pages. An authority figure then steps up to the lectern to feed us “the truth.” As theoretical physicist David Gross explained in his Nobel lecture, textbooks often ignore the many alternate paths that people wandered down, the many false clues they followed, the many misconceptions they had. We learn about Newton's “laws”―as if they arrived by a grand divine visitation or a stroke of genius―but not the years he spent exploring, revising, and changing them. The laws that Newton failed to establish―most notably his experiments in alchemy, which attempted, and spectacularly failed, to turn lead into gold―don't make the cut as part of the one-dimensional story told in physics classrooms. Instead, our education system turns the life stories of these scientists from lead to gold.
* lectern: 강의대 ** alchemy: 연금술
학교에는 하나의 교육과정, 과학을 공부하는 하나의 올바른 방식, 표준화된 시험의 정답을 내어놓는 하나의 올바른 공식이 있다. ‘물리학의 원리’와 같은 대단한 제목을 가진 교과서들은 300페이지에 걸쳐 ‘그 원리들’을 마법처럼 보여 준다. 그러고 나서 권위자가 우리에게 ‘진실’을 알려 주기 위해서 강의대로 다가간다. 이론 물리학자 David Gross가 자신의 노벨상 수상자 강연에서 설명했듯이, 교과서들은 종종 사람들이 헤매고 다닌 그 많은 다른 경로들과 그들이 따랐던 그 많은 잘못된 단서들과 그들이 가졌던 그 많은 오해들을 묵살한다. 우리는 마치 뉴턴의 ‘법칙들’에 대해 마치 그것들이 대단한 신의 방문이나 한 번의 천재성에 의해 도래하는 것처럼 배우지만, 그가 그것들을 탐구하고 수정하고 변경하는 데 들인 여러 해에 대해서는 배우지 않는다. 뉴턴이 확립하는 데 실패한 법칙들, 즉 가장 공공연하게는 납을 금으로 바꾸기 위해 시도했으나 엄청나게 실패했던 연금술에서의 실험은 물리학 수업에서 언급되는 일차원적인 이야기의 일부로 선택되지 못한다. 대신에, 우리의 교육 시스템은 이런 과학자들의 인생 이야기들을 납에서 금으로 바꿔 버린다.
22.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vast majority of companies, schools, and organizations measure and reward “high performance” in terms of individual metrics such as sales numbers, résumé accolades, and test scores. The problem with this approach is that it is based on a belief we thought science had fully confirmed: that we live in a world of “survival of the fittest.” It teaches us that those with the best grades, or the most impressive résumé, or the highest point score, will be the ONLY ones to succeed. The formula is simple: be better and smarter and more creative than everyone else, and you will be successful. But this formula is inaccurate. Thanks to new research, we now know that achieving our highest potential is not about survival of the fittest but survival of the best fit. In other words, success is not just about how creative or smart or driven you are, but how well you are able to connect with, contribute to, and benefit from the ecosystem of people around you.
* accolade: 수상, 표창
대부분의 회사, 학교, 조직이 매출, 수상 이력, 시험 성적과 같은 개인의 수치적 관점에서 ‘높은 성과’를 측정하고 보상한다. 이러한 접근법의 문제는 우리가 과학이 완전히 확인해 주었다고 생각하는 믿음, 즉 우리가 ‘적자생존’의 세상에서 살고 있다는 믿음에 그것이 바탕을 두고 있다는 점이다. 그것은 우리에게 ‘최고의’ 성적, ‘가장’ 인상적인 이력서, 혹은 ‘최상의’ 점수를 가진 사람들이 성공할 ‘유일한’ 사람들일 것이라고 가르친다. 이 공식은 간단하다. 즉, 다른 누구보다 더 잘하고 더 똑똑하고 더 창의적이 되면 여러분은 성공할 것이다. 그러나 이 공식은 정확하지 않다. 새로운 연구 덕분에 우리는 이제 최상의 가능성을 성취하는 것이, 가장 잘 적응하는 사람의 생존이 아니라 가장 잘 어울리는 사람의 생존에 관한 것이라는 것을 안다. 다시 말해서, 성공은 단지 여러분이 얼마나 창의적이고, 똑똑하고, 열의가 있는가에 관한 것이 아니라, 여러분의 주변에 있는 사람들의 생태계와 얼마나 잘 관계를 맺고, 그것에 기여하고, 그로부터 이익을 얻는지에 관한 것이다.
23.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I was brought up to believe that if I get lost in a large forest, I will sooner or later end up where I started. Without knowing it, people who are lost will always walk in a circle. In the book Finding Your Way Without Map or Compass, author Harold Gatty confirms that this is true. We tend to walk in circles for several reasons. The most important is that virtually no human has two legs of the exact same length. One leg is always slightly longer than the other, and this causes us to turn without even noticing it. In addition, if you are hiking with a backpack on, the weight of that backpack will inevitably throw you off balance. Our dominant hand factors into the mix too. If you are right-handed, you will have a tendency to turn toward the right. And when you meet an obstacle, you will subconsciously decide to pass it on the right side.
나는 만약 내가 넓은 숲에서 길을 잃었다면, 머지않아 내가 출발했던 곳으로 결국 올 것을 믿도록 길러졌다. 그것을 알지 못한 채, 길을 잃은 사람들은 항상 원을 그리며 걸을 것이다. ‘지도나 나침반 없이 길 찾기’라는 책에서 저자인 Harold Gatty는 이것이 사실임을 확인해 준다. 우리는 몇 가지 이유로 원을 그리며 걷는 경향이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실제로 어떤 사람도 정확히 똑같은 길이의 두 다리를 가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한쪽 다리는 항상 다른 쪽 보다 조금 더 길고 이는 우리가 심지어 그것을 알아채지 못한 채 돌도록 한다. 게다가 만약 여러분이 배낭을 메고 도보 여행을 하는 중이라면, 그 배낭의 무게가 여러분을 불가피하게 균형을 잃게 할 것이다. 우리의 주로 쓰는 손도 이 조합의 한 요소가 된다. 만약 여러분이 오른손잡이라면 여러분은 오른쪽으로 돌려는 경향을 갖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여러분이 장애물을 만났을 때 여러분은 그것을 오른쪽으로 지나가기로 무의식적으로 결정할 것이다.
'2020 모의고사 자료 > 고2'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11월 고2 모의고사 본문영작연습 / 본문해석연습 (0) | 2020.11.28 |
---|---|
2020년 11월 고2 모의고사 어휘정리 / 어휘테스트 (0) | 2020.11.27 |
2020년 9월 고2 모의고사 변형문제 22제 (나눔) (0) | 2020.10.07 |
2020년 9월 고2 모의고사 워크북(나눔) (0) | 2020.10.07 |
2020년 9월 고2 모의고사 본문영작연습 / 본문해석연습 (0) | 2020.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