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09 고1 EF003 본문영작연습.pdf
1.18MB
2009 고1 EF004 본문해석연습.pdf
1.61MB

 

영어농장 모의고사 자료 목록

EF000 좌본우해

EF001 어휘정리 EF002 본문 한줄해석

EF003 본문영작연습 EF004 본문해석연습

EF005 내용일치 EF006 글의순서

EF007 문장삽입 EF008 어법어휘선택

EF01 종합변형문제 EF02 워크북 (EF002, EF005~8 합본)

 

전체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항 자료구매 ↓↓↓

http://naver.me/Gma46miH

 

2020년 9월 고1/고2 모의고사 종합변형문제+워크북 판매

<알파카의 영어농장> 나눔자료 게시판에 샘플 파일을 올려놓았습니다 https:cafe.naver.com/forjr 합본형 선택시 할인이 적용됩니다

form.office.naver.com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쌤의 영어교실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학생은 없다,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blog.naver.com

 

영어회복제 Pacas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영어회복제Pacas

- 우리동네영어쌤 Alpaca Since 2019. 8. - 채널명을 변경하였습니다~* 올해 1월에 이사를 하고, 공부방을 열어 2월 1일 부터 첫 수업을 진행했어요~ 고3 수강생이 아직 1명이라 강의를 보면 수업 초점이

www.youtube.com

 


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Although it is obvious that part of our assessment of food is its visual appearance, it is perhaps surprising how visual input can override taste and smell. People find it very difficult to correctly identify fruit-flavoured drinks if the colour is wrong, for instance an orange drink that is coloured green. Perhaps even more striking is the experience of wine tasters. One study of Bordeaux University students of wine and wine making revealed that they chose tasting notes appropriate for red wines, such as ‘prune and chocolate’, when they were given white wine coloured with a red dye. Experienced New Zealand wine experts were similarly tricked into thinking that the white wine Chardonnay was in fact a red wine, when it had been coloured with a red dye.

*override: ~에 우선하다 ** prune: 자두

비록 음식에 대한 우리 평가의 일부가 음식의 시각적 외관인 것은 분명하지만, 어떻게 시각적인 입력 정보가 맛과 냄새에 우선할 수 있는가는 놀라울 것이다. 만약 예를 들어 초록색 빛깔의 오렌지 음료와 같이 색깔이 잘못되어 있다면, 사람들은 과일 맛이 나는 음료를 정확하게 식별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된다. 포도주 맛을 감정하는 사람들의 경험은 훨씬 더 놀라울 것이다. 포도주와 포도주 제조에 관해 공부하는 Bordeaux University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그들이 붉은색 색소로 물들인 백포도주를 받았을 때, ‘자두와 초콜릿과 같은 적포도주에 적합한 시음표를 선택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숙련된 뉴질랜드 포도주 전문가들도 마찬가지로 백포도주 Chardonnay를 붉은색 색소로 물들였을 때, 속아서 그것이 실제로 적포도주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30. (A), (B), (C)의 각 네모 안에서 문맥에 맞는 낱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Social connections are so essential for our survival and well-being that we not only cooperate with others to build relationships, we also compete with others for friends. And often we do both at the same time. Take gossip. Through gossip, we bond with our friends, sharing interesting details. But at the same time, we are creating potential enemies in the targets of our gossip. Or consider rival holiday parties where people compete to see who will attend their party. We can even see this tension in social media as people compete for the most friends and followers. At the same time, competitive exclusion can also generate cooperation. High school social clubs and country clubs use this formula to great effect: It is through selective inclusion and exclusion that they produce loyalty and lasting social bonds.

사회적 관계는 우리의 생존과 웰빙을 위해 매우 필수적이어서 우리는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다른 사람과 협력할 뿐만 아니라, 친구를 얻기 위해 다른 사람과 경쟁하기도 한다. 그리고 자주 우리는 동시에 둘 다를 한다. 가십을 생각해보자. 가십을 통해 우리는 친구들과 흥미로운 세부사항을 공유하면서 유대를 형성한다. 그러나 동시에 우리는 가십의 대상들 중에서 잠재적인 적을 만들어낸다. 또는 누가 그들의파티에 참석할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경쟁하는 라이벌 관계의 휴일 파티를 생각해 보라. 우리는 심지어 소셜 미디어에서도 사람들이 가장 많은 친구들과 팔로워들을 얻기 위해 경쟁할 때 이러한 긴장감을 볼 수 있다. 동시에 경쟁적 배제는 또한 협력도 만들어낼 수 있다. 고등학교 친목 동아리와 컨트리 클럽은 이러한 공식을 사용하여 큰 효과를 발휘한다. 그들이 충성과 지속적인 사회적 유대를 형성하는 것은 선택적인 포함 그리고 배제를 통해서이다.

 

 

31.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As the tenth anniversary of the terrorist attacks of September 11, 2001, approached, 9/11-related media stories peaked in the days immediately surrounding the anniversary date and then dropped off rapidly in the weeks thereafter. Surveys conducted during those times asked citizens to choose two “especially important” events from the past seventy years. Two weeks prior to the anniversary, before the media blitz began, about 30 percent of respondents named 9/11. But as the anniversary drew closer, and the media treatment intensified, survey respondents started identifying 9/11 in increasing numbers to a high of 65 percent. Two weeks later, though, after reportage had decreased to earlier levels, once again only about 30 percent of the participants placed it among their two especially important events of the past seventy years. Clearly, the amount of news coverage can make a big difference in the perceived significance of an issue among observers as they are exposed to the coverage.

* blitz: 대선전, 집중 공세

2001911일 테러리스트 공격의 10주년 추모일이 다가오면서, 9/11 관련 언론 기사의 양이 추모일 바로 전후로 최고조까지 올라갔고, 그 후 몇 주 동안 급격히 줄어들었다. 그 시기 동안 실시된 조사는 시민들에게 지난 70년 동안 있었던 특히 중요한두 가지 사건을 선택하도록 요청했다. 미디어 대선전이 시작되기 전인 추모일 2주 전, 응답자의 약 30퍼센트가 9/11을 언급했다. 그러나 추모일이 더 가까워지고, 미디어 보도가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은 응답자들이 9/11을 선택하기 시작했고, 그 수가 65퍼센트까지 올랐다. 그러나 보도가 2주 후에 이전 수준으로 줄어들자, 다시 한 번 참가자의 약 30퍼센트만이 그것을 지난 70년 동안의 특히 중요한 두 가지 사건으로 선택했다. 명백하게, 뉴스 보도의 양은 그들이 그 보도에 노출될 때 관찰자들 사이에서 문제의 중요성을 인식하는데 있어 큰 차이를 만들 수 있다.

 

 

32.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Here's the unpleasant truth: we are all biased. Every human being is affected by unconscious biases that lead us to make incorrect assumptions about other people. Everyone. To a certain extent, bias is a necessary survival skill. If you're an early human, perhaps Homo Erectus, walking around the jungles, you may see an animal approaching. You have to make very fast assumptions about whether that animal is safe or not, based solely on its appearance. The same is true of other humans. You make split-second decisions about threats in order to have plenty of time to escape, if necessary. This could be one root of our tendency to categorize and label others based on their looks and their clothes.

여기 불편한 진실이 있다. , 우리는 모두 편향되어 있다. 모든 인간은 다른 사람들에 대한 부정확한 추측을 하도록 이끄는 무의식적인 편견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모두가 그렇다. 어느 정도, 편견은 필수적인 생존 기술이다. 만약에 당신이, 가령 Homo Erectus처럼, 정글을 돌아다니는 초기 인류라면, 당신은 동물이 다가오는 것을 볼지 모른다. 당신은 그 동물의 외양에만 기초하여 그 동물이 안전한지 아닌지에 대해서 매우 빨리 추측해야 한다. 이것은 다른 인류에게도 똑같이 적용된다. 당신은 만약 필요하다면, 도망갈 많은 시간을 갖기 위하여 위협에 대해서 순간적인 결정을 내려야 한다. 이것은 타인의 외모와 옷으로 그들을 범주화하고 분류하는 성향의 한 근간일지 모른다.

 

 

33.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In Dutch bicycle culture, it is common to have a passenger on the backseat. So as to follow the rider's movements, the person on the backseat needs to hold on tightly. Bicycles turn not just by steering but also by leaning, so the passenger needs to lean the same way as the rider. A passenger who would keep sitting up straight would literally be a pain in the behind. On motorcycles, this is even more critical. Their higher speed requires more leaning on turns, and lack of coordination can be disastrous. The passenger is a true partner in the ride, expected to mirror the rider's every move.

네덜란드의 자전거 문화에서, 뒷좌석에 동승자를 앉히는 것은 흔하다. 자전거 운전자의 움직임을 따르기 위해서, 뒷좌석에 앉은 사람은 꽉 잡을 필요가 있다. 자전거는 핸들을 조종하는 것 뿐만 아니라 (몸을) 기울임으로써 방향을 바꾸기 때문에 동승자는 자전거 운전자와 같은 방향으로 (몸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뒷좌석에서 계속해서 똑바로 앉아 있는 동승자는 말 그대로 뒷좌석의 골칫거리가 될 것이다. 오토바이를 탈 때는, 이것이 훨씬 더 중요하다. 오토바이의 더 높은 속도는 방향을 바꿀 때 더 많이 (몸을) 기울일 것을 요구하고, 협응의 부족은 재앙이 될 수 있다. 동승자는 운전자의 모든 움직임을 따라하도록 기대되기 때문에 주행 시 진정한 동반자이다.

 

 

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We're often told that newborns and infants are comforted by rocking because this motion is similar to what they experienced in the womb, and that they must take comfort in this familiar feeling. This may be true; however, to date there are no convincing data that demonstrate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time a mother moves during pregnancy and her newborn's response to rocking. Just as likely is the idea that newborns come to associate gentle rocking with being fed. Parents understand that rocking quiets a newborn, and they very often provide gentle, repetitive movement during feeding. Since the appearance of food is a primary reinforcer, newborns may acquire a fondness for motion because they have been conditioned through a process of associative learning.

*womb: 자궁 **reinforcer: 강화물

신생아와 유아가 흔들림에 의해 편안해지는데, 이것은 이런 움직임이 자궁 안에서 그들이 경험했던 것과 유사하기 때문이고, 그들이 이런 친숙한 느낌에서 편안해지는 것이 틀림없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이것은 사실일 수 있지만, 현재까지 임신기간 동안 엄마가 움직이는 시간의 양과 흔들림에 대한 신생아의 반응 사이에 상당한 관계가 있음을 입증하는 설득력 있는 데이터는 없다. 신생아가 부드러운 흔들림을 젖을 먹는 것과 연관시키게 된다는 생각도 그만큼 가능할 법하다. 부모는 흔들어 주는 것이 신생아를 달래 준다는 것을 알고 있어서, 그들은 젖을 주는 동안 부드럽고, 반복적인 움직임을 매우 자주 제공한다. 음식의 등장은 일차 강화물이기 때문에, 신생아는 움직임을 좋아하게 되고, 그 이유는 그들이 연관 학습의 과정을 통해 조건화되어 왔기 때문이다.

 

 

 

35.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In a single week, the sun delivers more energy to our planet than humanity has used through the burning of coal, oil, and natural gas through all of human history. And the sun will keep shining on our planet for billions of years. Our challenge isn't that we're running out of energy. It's that we have been focused on the wrong source the small, finite one that we're using up. Indeed, all the coal, natural gas, and oil we use today is just solar energy from millions of years ago, a very tiny part of which was preserved deep underground. Our challenge, and our opportunity, is to learn to efficiently and cheaply use the much more abundant source that is the new energy striking our planet each day from the sun.

단 한 주 만에, 태양은 모든 인간의 역사에 걸쳐 인간이 석탄, 석유, 그리고 천연가스의 연소를 통해 사용해 온 것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지구에 전달한다. 그리고 태양은 수십억 년 동안, 계속하여 지구를 비출 것이다. 우리의 당면 과제는 우리의 에너지가 고갈되고 있다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우리가 잘못된 원천 우리가 고갈시키고 있는 (양이) 적고 한정적인 것 에 집중하고 있다는 것이다. 사실, 우리가 오늘날 사용하고 있는 모든 석탄, 천연가스, 그리고 석유는 수백 만 년 전에 온 태양에너지일 뿐이며, 그것의 극히 일부분만이 지하 깊은 곳에 보존되어 있었다. 우리의 기회이자 당면 과제는 태양으로부터 매일 지구에 도달하는 새로운 에너지인 훨씬 더 풍부한원천을 효율적으로 그리고 저비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배우는 것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