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06 고1 sEF02 Work Book(나눔).pdf
1.38MB

 

영어농장 모의고사 자료 목록

EF000 좌본우해

EF001 어휘정리 EF002 본문 한줄해석

EF003 본문영작연습 EF004 본문해석연습

EF005 내용일치 EF006 글의순서

EF007 문장삽입 EF008 어법어휘선택

EF01 종합변형문제 EF02 워크북 (EF002, EF005~8 합본)

 

워크북, 변형문제 자료구매 ↓↓↓

http://naver.me/5JYcwAJr

 

2020년 6월 고1/고2 모의고사 종합변형문제+워크북 판매

<알파카의 영어농장> 나눔자료 게시판에 샘플 파일을 올려놓았습니다 https:cafe.naver.com/forjr 합본형 선택시 할인이 적용됩니다

form.office.naver.com

 

알파카의 영어농장 http://cafe.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 네이버 카페

고등부 학생들, 고등부 선생님들께 필요한 모의고사 위주의 자료를 제공하는 영어카페입니다.

cafe.naver.com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쌤의 영어교실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학생은 없다,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blog.naver.com

 

영어회복제 Pacas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영어회복제Pacas

- 우리동네영어쌤 Alpaca Since 2019. 8. - 채널명을 변경하였습니다~* 올해 1월에 이사를 하고, 공부방을 열어 2월 1일 부터 첫 수업을 진행했어요~ 고3 수강생이 아직 1명이라 강의를 보면 수업 초점이

www.youtube.com

 

 


36.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Students work to get good grades even when they have no interest in their studies. People seek job advancement even when they are happy with the jobs they already have.

(A)It's like being in a crowded football stadium, watching the crucial play. A spectator several rows in front stands up to get a better view, and a chain reaction follows.

(C)Soon everyone is standing, just to be able to see as well as before. Everyone is on their feet rather than sitting, but no one's position has improved.

(B)And if someone refuses to stand, he might just as well not be at the game at all. When people pursue goods that are positional, they can't help being in the rat race. To choose not to run is to lose.

*rat race: 치열하고 무의미한 경쟁

학생들은 공부에 관심이 없을 때에도 좋은 성적을 얻기 위해 공부한다. 사람들은 심지어 이미 가지고 있는 직업에 행복할 때조차도 더 나은 직업을 추구한다. (A)그것은 마치 사람들로 붐비는 축구 경기장에서 중요한 경기를 관람하는 것과 같다. 몇 줄 앞에 있는 한 관중이 더 잘 보기 위해 일어서고, 뒤이어 연쇄 반응이 일어난다. (C)단지 이전처럼 잘 보기 위해 곧 모든 사람들이 일어서게 된다. 모두가 앉기보다는 일어서지만, 그 누구의 위치도 나아지지 않았다. (B)그리고 만약 누군가가 일어서기를 거부한다면, 그는 경기에 있지 않는 것이 나을 것이다. 사람들이 위치에 관련된 재화(이익)를 추구할 때, 그들은 치열하고 무의미한 경쟁을 하지 않을 수 없다. 뛰지 않기로 선택하는 것은 지는 것이다.

 

37.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When we compare human and animal desire we find many extraordinary differences. Animals tend to eat with their stomachs, and humans with their brains.

(C)When animals' stomachs are full, they stop eating, but humans are never sure when to stop. When they have eaten as much as their bellies can take, they still feel empty, they still feel an urge for further gratification.

(B)This is largely due to anxiety, to the knowledge that a constant supply of food is uncertain. Therefore, they eat as much as possible while they can.

(A)It is due, also, to the knowledge that, in an insecure world, pleasure is uncertain. Therefore, the immediate pleasure of eating must be exploited to the full, even though it does violence to the digestion.

*gratification: 만족감

인간과 동물의 욕망을 비교할 때 우리는 많은 특별한 차이점을 발견한다. 동물은 위장으로, 사람은 뇌로 먹는 경향이 있다. (C)동물은 배가 부르면 먹는 것을 멈추지만, 인간은 언제 멈춰야 할지 결코 확신하지 못한다. 인간은 배에 담을 수 있는 만큼 먹었을 때, 그들은 여전히 허전함을 느끼고 추가적인 만족감에 대한 충동을 느낀다. (B)이것은 주로 지속적인 식량 공급이 불확실하다는 인식에 따른 불안감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들은 먹을 수 있을 때 가능한 한 최대로 많이 먹는다. (A)또한, 그것은 불안정한 세상에서 즐거움이 불확실하다는 인식 때문이다. 따라서 즉각적인 먹는 즐거움은 소화에 무리가 되더라도 충분히 이용하여야 한다.

 

38.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Currently, we cannot send humans to other planets. One obstacle is that such a trip would take years.()A spacecraft would need to carry enough air, water, and other supplies needed for survival on the long journey.() Another obstacle is the harsh conditions on other planets, such as extreme heat and cold.()Some planets do not even have surfaces to land on.()Because of these obstacles, most research missions in space are accomplished through the use of spacecraft without crews aboard. These explorations pose no risk to human life and are less expensive than ones involving astronauts.()The spacecraft carry instruments that test the compos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planets.

*composition: 구성 성분

현재, 우리는 인간을 다른 행성으로 보낼 수 없다. 한 가지 장애물은 그러한 여행이 수 년이 걸릴 것이라는 점이다. 우주선은 긴 여행에서 생존에 필요한 충분한 공기, , 그리고 다른 물자를 운반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장애물은 극심한 열과 추위 같은, 다른 행성들의 혹독한 기상 조건이다. 어떤 행성들은 착륙할 표면조차 가지고 있지 않다. 이러한 장애물들 때문에, 우주에서의 대부분의 연구 임무는 승무원이 탑승하지 않은 우주선을 사용해서 이루어진다. 이런 탐험들은 인간의 생명에 아무런 위험도 주지 않으며 우주 비행사들을 포함하는 탐험보다 비용이 덜 든다. 이 우주선은 행성의 구성 성분과 특성을 실험하는 기구들을 운반한다.

 

39.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Our brains are constantly solving problems.()Every time we learn, or remember, or make sense of something, we solve a problem.()Some psychologists have characterized all infant languagelearning as problemsolving, extending to children such scientific procedures as “learning by experiment,” or “hypothesistesting.”()Grownups rarely explain the meaning of new words to children, let alone how grammatical rules work. Instead they use the words or the rules in conversation and leave it to children to figure out what is going on.()In order to learn language, an infant must make sense of the contexts in which language occurs; problems must be solved.()We have all been solving problems of this kind since childhood, usually without awareness of what we are doing.

우리의 뇌는 끊임없이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우리가 무언가를 배우거나, 기억하거나, 이해할 때마다, 우리는 문제를 해결한다. 일부 심리학자들은 모든 유아 언어 학습을 문제 해결이라고 규정하였고, 이를 어린이에게 확장하여 그러한 과학적 절차들을 실험을 통한 학습혹은 가설 검증으로 보았다. 어른들은 아이들에게 문법적인 규칙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는 말할 것도 없고, 새로운 단어의 의미를 거의 설명하지 않는다. 대신에 그들은 대화에서 단어나 규칙을 사용하고, 무슨 말인지 알아내는 일을 아이들에게 맡긴다. 언어를 배우려면, 유아는 언어를 사용하는 맥락을 파악해야 한다. , 문제는 반드시 해결돼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 모두는 우리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인식없이 어린 시절부터 이런 종류의 문제들을 해결해왔다.

 

40.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Have you noticed that some coaches get the most out of their athletes while others don't? A poor coach will tell you what you did wrong and then tell you not to do it again: “Don't drop the ball!” What happens next? The images you see in your head are images of you dropping the ball! Naturally, your mind recreates what it just “saw” based on what it's been told. Not surprisingly, you walk on the court and drop the ball. What does the good coach do? He or she points out what could be improved, but will then tell you how you could or should perform: “I know you'll catch the ball perfectly this time.” Sure enough, the next image in your mind is you catching the ball and scoring a goal. Once again, your mind makes your last thoughts part of realitybut this time, that “reality” is positive, not negative.

Unlike ineffective coaches, who focus on players' (A)mistake, effective coaches help players improve by encouraging them to (B)picture successful plays.

어떤 코치들은 선수들에게서 최상의 결과를 이끌어 내는 반면 다른 코치들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아챘는가? 서투른 코치는 당신이 무엇을 잘못했는지 알려주고 나서 다시는 그러지 말라고 말할 것이다: “공을 떨어뜨리지 마라!” 그 다음엔 무슨 일이 일어날까? 당신이 머릿속에서 보게 되는 이미지는 당신이 공을 떨어뜨리는 이미지이다! 당연히, 당신의 마음은 그것이 들은 것을 바탕으로 방금 것을 재현한다. 놀랄 것도 없이, 당신은 코트에 걸어가서 공을 떨어뜨린다. 좋은 코치는 무엇을 하는가? 그 사람은 개선될 수 있는 것을 지적하지만, 그 후에 어떻게 할 수 있는지 또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말할 것이다: “이번에는 네가 공을 완벽하게 잡을 거라는 걸 알아.” 아니나 다를까, 다음으로 당신의 마음속에 떠오르는 이미지는 당신이 공을 잡고’ ‘득점하는것이다. 다시 한 번, 당신의 마음은 당신의 마지막 생각을 현실의 일부로 만들지만, 이번에는, 현실이 부정적이지 않고, 긍정적이다.

선수의 실수에 초점을 맞추는 유능하지 않은 코치와 달리, 유능한 코치는 선수들이 성공적인 경기를 상상하도록 격려함으로써 그들이 향상되도록 돕는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