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농장 모의고사 자료 목록
EF000 좌본우해
EF001 어휘정리 EF002 본문 한줄해석
EF003 본문영작연습 EF004 본문해석연습
EF005 내용일치 EF006 글의순서
EF007 문장삽입 EF008 어법어휘선택
EF01 종합변형문제 EF02 워크북 (EF002, EF005~8 합본)
전체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파카의 영어농장 http://cafe.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 네이버 카페
고등부 학생들, 고등부 선생님들께 필요한 모의고사 위주의 자료를 제공하는 영어카페입니다.
cafe.naver.com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쌤의 영어교실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학생은 없다,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blog.naver.com
영어회복제 Pacas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영어회복제Pacas
- 우리동네영어쌤 Alpaca Since 2019. 8. - 채널명을 변경하였습니다~* 올해 1월에 이사를 하고, 공부방을 열어 2월 1일 부터 첫 수업을 진행했어요~ 고3 수강생이 아직 1명이라 강의를 보면 수업 초점이
www.youtube.com
24.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If a food contains more sugar than any other ingredient, government regulations require that sugar be listed first on the label. But if a food contains several different kinds of sweeteners, they can be listed separately, which pushes each one farther down the list. This requirement has led the food industry to put in three different sources of sugar so that they don't have to say the food has that much sugar. So sugar doesn't appear first. Whatever the true motive, ingredient labeling still does not fully convey the amount of sugar being added to food, certainly not in a language that's easy for consumers to understand. A worldfamous cereal brand's label, for example, indicates that the cereal has 11 grams of sugar per serving. But nowhere does it tell consumers that more than onethird of the box contains added sugar.
한 식품이 다른 어떤 성분보다 설탕을 더 많이 함유하고 있다면, 정부 규정은 설탕이 라벨에 첫 번째로 기재될 것을 요구한다. 그러나 어떤 식품이 몇 가지 다른 종류의 감미료를 함유하고 있다면, 그것들은 각각 기재될 수 있는데, 그것은 각각의 감미료를 목록에서 더 아래로 밀어 내린다. 이 요구는 식품업계가 그 식품에 설탕이 그렇게 많이 들어 있다고 말할 필요가 없도록 세 가지 다른 당의 원료를 넣게 만들었다. 그래서 설탕이 첫 번째로 나타나지 않는다. 진짜 동기가 무엇이든, 성분 라벨 표기는 식품에 첨가되는 설탕의 양을 여전히 충분히 전달하지 못하고 있으며, 분명히 소비자가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되어있지 않다. 예를 들어, 세계적으로 유명한 어떤 시리얼 브랜드의 라벨은 시리얼이 1회분에 11g의 설탕을 함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라벨의 어디에서도 상자의 3분의 1 넘게 첨가당을 함유하고 있다는 것을 소비자들에게 알려주지 않는다.
26. Christiaan Huygens에 관한 다음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Dutch mathematician and astronomer Christiaan Huygens was born in The Hague in 1629. He studied law and mathematics at his university, and then devoted some time to his own research, initially in mathematics but then also in optics, working on telescopes and grinding his own lenses. Huygens visited England several times, and met Isaac Newton in 1689. In addition to his work on light, Huygens had studied forces and motion, but he did not accept Newton's law of universal gravitation. Huygens' wideranging achievements included some of the most accurate clocks of his time, the result of his work on pendulums. His astronomical work, carried out using his own telescopes, included the discovery of Titan, the largest of Saturn's moons, and the first correct description of Saturn's rings.
*pendulum: 시계추
네덜란드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Christiaan Huygens는 1629년 헤이그에서 태어났다. 그는 대학에서 법과 수학을 공부했고, 그런 후에 처음에는 수학에서, 그다음에는 망원경에 대한 작업을 하고 자기 자신의 렌즈를 갈면서 광학에서도 상당 기간을 자신의 연구에 바쳤다. Huygens는 영국을 몇 차례 방문했고, 1689년에 아이작 뉴턴을 만났다. 빛에 관한 연구 외에도 Huygens는 힘과 운동을 연구했으나,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Huygens의 광범위한 업적에는 시계추에 대한 그의 연구의 결과물인, 당대의 가장 정확한 시계 중 몇몇이 포함되었다. 자신의 망원경을 사용하여 수행된 그의 천문학 연구에는 토성의 위성 중 가장 큰 타이탄의 발견과 토성의 고리에 대한 최초의 정확한 기술이 포함되었다.
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Commercial airplanes generally travel airways similar to roads, although they are not physical structures. Airways have fixed widths and defined altitudes, which separate traffic moving in opposite directions. Vertical separation of aircraft allows some flights to pass over airports while other processes occur below. Air travel usually covers long distances, with short periods of intense pilot activity at takeoff and landing and long periods of lower pilot activity while in the air, the portion of the flight known as the “long haul.” During the longhaul portion of a flight, pilots spend more time assessing aircraft status than searching out nearby planes. This is because collisions between aircraft usually occur in the surrounding area of airports, while crashes due to aircraft malfunction tend to occur during longhaul flight.
*altitude: 고도 ** long-haul: 장거리비행
일반적으로 민간 항공기는 물리적 구조물은 아니지만 도로와 유사한 항로로 운항한다. 항로에는 고정된 폭과 규정된 고도가 있으며, 그것들이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통행을 분리한다. 항공기 간에 상하 간격을 둠으로써 아래에서 다른 과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일부 비행기가 공항 위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항공 여행은 보통 장거리에 걸치며, 이륙과 착륙 시 짧은 시간의 고강도 조종사 활동과, ‘장거리 비행’이라고 알려진 비행 부분인, 공중에 있는 동안 긴 시간의 저강도 조종사 활동이 있다. 비행에서 장거리 비행 부분 동안 조종사들은 근처의 비행기를 탐색하는 것보다 항공기 상태를 평가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보낸다. 이는 항공기 간의 충돌은 대개 공항 주변 지역에서 발생하는 반면 항공기 오작동으로 인한 추락은 장거리 비행 중에 발생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30.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I was sitting outside a restaurant in Spain one summer evening, waiting for dinner. The aroma of the kitchens excited my taste buds. My future meal was coming to me in the form of molecules drifting through the air, too small for my eyes to see but detected by my nose. The ancient Greeks first came upon the idea of atoms this way; the smell of baking bread suggested to them that small particles of bread existed beyond vision. The cycle of weather reinforced this idea: a puddle of water on the ground gradually dries out, disappears, and then falls later as rain. They reasoned that there must be particles of water that turn into steam, form clouds, and fall to earth, so that the water is conserved even though the little particles are too small to see. My paella in Spain had inspired me, four thousand years too late, to take the credit for atomic theory.
*taste bud: 미뢰(혀의 미각기관) **molecule: 분자 ***paella: 파에야(스페인 요리의 하나)
나는 어느 여름날 저녁 스페인의 한 식당 밖에 앉아 저녁 식사를 기다리고 있었다. 주방의 향기가 나의 미뢰를 자극했다. 곧 먹게 될 내 음식은, 너무 작아 눈으로 볼 수는 없지만 코로는 감지되는, 공중을 떠다니는 분자의 형태로 내게 오고 있었다.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이런 식으로 원자의 개념이 최초로 떠올랐는데, 빵 굽는 냄새는 그들에게 작은 빵 입자가 눈에 보이지 않게 존재한다는 생각이 들게 했다. 날씨의 순환이 이 생각을 강하게 뒷받침했다. 지면 위 물웅덩이는 점차 말라 사라지고, 그런 다음 나중에 비가 되어 떨어진다. 수증기로 변하여 구름을 형성하고 땅으로 떨어지는 물 입자가 존재하는 게 틀림없고, 그래서 그 작은 입자들이 너무 작아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그 물은 보존된다고 그들은 추론했다. 스페인에서의 나의 파에야가 원자 이론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기에는 4천 년이나 너무 늦게 내게 영감을 주었다.
31.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When he was dying, the contemporary Buddhist teacher Dainin Katagiri wrote a remarkable book called Returning to Silence. Life, he wrote, “is a dangerous situation.” It is the weakness of life that makes it precious; his words are filled with the very fact of his own life passing away. “The china bowl is beautiful because sooner or later it will break.... The life of the bowl is always existing in a dangerous situation.” Such is our struggle: this unstable beauty. This inevitable wound. We forget ― how easily we forget ― that love and loss are intimate companions, that we love the real flower so much more than the plastic one and love the cast of twilight across a mountainside lasting only a moment. It is this very fragility that opens our hearts.
현대의 불교 스승인 Dainin Katagiri는 죽음을 앞두고, ‘침묵으로의 회귀’라는 주목할 만한 책을 집필했다. 그는 삶이란 “위험한 상황이다.”라고 썼다. 삶을 소중하게 만드는 것은 바로 삶의 취약함이며, 그의 글은 자신의 삶이 끝나가고 있다는 바로 그 사실로 채워져 있다. “자기 그릇은 언젠가 깨질 것이기 때문에 아름답다…. 그 그릇의 생명은 늘 위험한 상황에 놓여 있다.” 그런 것이 우리의 고행이다. 이 불안정한 아름다움. 이 피할 수 없는 상처. 우리는 사랑과 상실이 친밀한 동반자라는 것을, 우리가 진짜 꽃을 플라스틱 꽃보다 훨씬 더 사랑하고 산 중턱을 가로지르는 한 순간만 지속하는 황혼의 색조를 사랑한다는 것을 잊어버린다(그것도 너무나 쉽게). 우리의 마음을 여는 것은 바로 이 연약함이다.
32.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Nothing happens immediately, so in the beginning we can't see any results from our practice. This is like the example of the man who tries to make fire by rubbing two sticks of wood together. He says to himself, “They say there's fire here,” and he begins rubbing energetically. He rubs on and on, but he's very impatient. He wants to have that fire, but the fire doesn't come. So he gets discouraged and stops to rest for a while. Then he starts again, but the going is slow, so he rests again. By then the heat has disappeared; he didn't keep at it long enough. He rubs and rubs until he gets tired and then he stops altogether. Not only is he tired, but he becomes more and more discouraged until he gives up completely, “There's no fire here.” Actually, he was doing the work, but there wasn't enough heat to start a fire. The fire was there all the time, but he didn't carry on to the end.
아무것도 즉시 일어나는 것은 없으므로, 처음에 우리는 우리가 하는 일로부터 어떤 결과도 볼 수 없다. 이것은 두 개의 나무 막대기를 서로 문질러서 불을 피우려고 하는 사람의 예와 같다. 그는 “여기에 불이 있다고들 하잖아.”라고 혼잣말을 하고는 힘차게 문지르기 시작한다. 계속해서 문지르지만, 그는 매우 참을성이 없다. 그는 그 불을 갖고 싶어 하지만, 불은 일어나지 않는다. 그래서 그는 풀이 죽어서 잠시 쉬려고 멈춘다. 그러고 나서 다시 시작하지만, 진행이 더디므로, 그는 다시 휴식을 취한다. 그때쯤에는 열이 사라져버렸는데, 그가 충분히 오랫동안 그것을 계속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는 문지르고 또 문지르다가 결국 지치게 되고, 그런 다음에 완전히 멈춘다. 그는 지쳤을 뿐만 아니라, 점점 더 좌절하여 “여기에는 불이 없어.”라고 하며 완전히 포기한다. 사실 그는 작업을 하고 있었지만, 불을 피울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열이 없었다. 불은 줄곧 거기에 있었지만, 그는 끝까지 계속하지 못했다.
33.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Translating academic language into everyday language can be an essential tool for you as a writer to clarify your ideas to yourself. For, as writing theorists often note, writing is generally not a process in which we start with a fully formed idea in our heads that we then simply transcribe in an unchanged state onto the page. On the contrary, writing is more often a means of discovery in which we use the writing process to figure out what our idea is. This is why writers are often surprised to find that what they end up with on the page is quite different from what they thought it would be when they started. What we are trying to say here is that everyday language is often crucial for this discovery process. Translating your ideas into more common, simpler terms can help you figure out what your ideas really are, as opposed to what you initially imagined they were.
*transcribe: 옮겨 쓰다
학문적인 언어를 일상 언어로 바꿔 보는 것은 여러분이 작가로서 자신의 생각을 스스로에게 명료하게 할 수 있는 필수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 왜냐하면, 글쓰기 이론가들이 흔히 지적하듯이, 글쓰기는 일반적으로 머릿속에 완전하게 만들어진 한 가지 생각으로 시작하여, 그 생각을 본래 그대로의 상태로 페이지 위에 단순히 옮겨 쓰는 과정이 아니기 때문이다. 도리어 글쓰기는 글쓰기 과정을 사용하여 우리의 생각이 무엇인지를 알아내는 발견의 수단인 경우가 더 흔하다. 이것이 글을 쓰는 사람들이 결국 페이지 위에 적히는 내용이 처음에 시작할 때 그렇게 되리라고 생각했던 것과 상당히 다른 내용이라는 것을 발견하고는 자주 놀라는 이유이다. 우리가 여기서 하고자 하는 말은 일상 언어가 이런 발견 과정에 흔히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여러분의 생각을 더 평범하고 더 간단한 말로 바꿔 보는 것은 여러분이 처음에 그럴 것이라고 상상했던 것이 아니라 실제 여러분의 생각이 무엇인지 알아내도록 도와줄 수 있을 것이다.
'2020 모의고사 자료 > 고2'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6월 고2 모의고사 본문영작연습 / 본문해석연습 (0) | 2020.07.29 |
---|---|
2020년 6월 고2 모의고사 어휘정리 / 어휘테스트 자료 (0) | 2020.07.29 |
2020년 6월 고2 모의고사 본문 좌본우해 / 한줄 해석 자료 (0) | 2020.07.29 |
2020년 3월 고2 모의고사 워크북(나눔) (0) | 2020.07.29 |
2020년 3월 고2 모의고사 본문영작연습 / 본문해석연습 (0) | 2020.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