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1 고2 EF001 어휘정리.pdf
0.71MB
2011 고2 EF001-1 어휘테스트.pdf
0.30MB
2011 고2 EF001-2 의미테스트.pdf
0.47MB

 

 

영어농장 모의고사 자료 목록

EF000 좌본우해

EF001 어휘정리 EF002 본문 한줄해석

EF003 본문영작연습 EF004 본문해석연습

EF005 내용일치 EF006 글의순서

EF007 문장삽입 EF008 어법어휘선택

EF01 종합변형문제 EF02 워크북 (EF002, EF005~8 합본)

 

전체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항 자료구매 ↓↓↓

http://naver.me/FLS3g52R

 

2020년 11월 고1/고2 모의고사 종합변형문제+워크북 판매

<알파카의 영어농장> 나눔자료 게시판에 샘플 파일을 올려놓았습니다 https:cafe.naver.com/forjr 합본형 선택시 할인이 적용됩니다

form.office.naver.com

 

 

알파카의 영어농장 http://cafe.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 네이버 카페

고등부 학생들, 고등부 선생님들께 필요한 모의고사 위주의 자료를 제공하는 영어카페입니다.

cafe.naver.com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쌤의 영어교실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학생은 없다,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blog.naver.com

 

영어회복제 Pacas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영어회복제Pacas

- 우리동네영어쌤 Alpaca Since 2019. 8. - 채널명을 변경하였습니다~* 올해 1월에 이사를 하고, 공부방을 열어 2월 1일 부터 첫 수업을 진행했어요~ 고3 수강생이 아직 1명이라 강의를 보면 수업 초점이

www.youtube.com

 


24.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In government, in law, in culture, and in routine everyday interaction beyond family and immediate neighbours, a widely understood and clearly formulated language is a great aid to mutual confidence. When dealing with property, with contracts, or even just with the routine exchange of goods and services, concepts and descriptions need to be as precise and unambiguous as possible, otherwise misunderstandings will arise. If full communication with a potential counterparty in a deal is not possible, then uncertainty and probably a measure of distrust will remain. As economic life became more complex in the later Middle Ages, the need for fuller and more precise communication was accentuated. A shared language facilitated clarification and possibly settlement of any disputes. In international trade also the use of a precise and well-formulated language aided the process of translation. The Silk Road could only function at all because translators were always available at interchange points.

* accentuate: 강조하다

정치 체제에서, 법에서, 문화에서, 그리고 가족 및 가까운 이웃을 넘어서는 일상적인 매일의 상호작용에서, 폭넓게 이해되고 확실하게 표현된 언어가 상호 신뢰에 굉장한 도움이 된다. 재산이나, 계약서, 심지어 단순히 상품과 서비스의 일상적인 교환을 다룰 때 개념과 설명은 가능한 한 정확하고 모호하지 않아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오해가 생길 것이다. 만약 거래에서 잠재적 상대방과의 완전한 의사소통이 가능하지 않다면 불확실성과 아마 어느 정도의 불신이 남아있을 것이다. 경제 생활이 중세 시대 후반에 더 복잡해지면서 더욱 완전하고 더욱 정확한 의사소통에 대한 필요가 강조되었다. 공유된 언어는 명확화와 아마도 어떤 분쟁의 해결을 용이하게 했다. 국제무역에서도 또한 정확하고 잘 표현된 언어의 사용은 통역의 과정을 도왔다. 실크로드가 그나마 기능할 수 있었던 이유는 교환 지점에서 통역가들이 항상 이용 가능했기 때문이다.

 

 

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One of the keys to insects' successful survival in the open air lies in their outer covering a hard waxy layer that helps prevent their tiny bodies from dehydrating. To take oxygen from the air, they use narrow breathing holes in the body-segments, which take in air passively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as needed. Instead of blood contained in vessels, they have free-flowing hemolymph, which helps keep their bodies rigid, aids movement, and assists the transportation of nutrients and waste materials to the appropriate parts of the body. The nervous system is modular in a sense, each of the body segments has its own individual and autonomous brain and some other body systems show a similar modularization. These are just a few of the many ways in which insect bodies are structured and function completely differently from our own.

* hemolymph: 혈림프

** modular: 모듈식의(여러 개의 개별 단위로 되어 있는)

야외에서 곤충의 성공적인 생존의 열쇠 중 하나는 그들의 작은 몸이 탈수가 되는 것을 막도록 돕는 단단한 밀랍 같은 층인 외피에 있다. 그들은 공기로부터 산소를 흡수하기 위해 몸의 마디에 있는 좁은 호흡구들을 사용하는데, 이들은 공기를 수동적으로 흡입하고 필요로 될 때 열리고 닫힐 수 있다. 혈관 내 담긴 피 대신 그들은 자유롭게 흐르는 혈림프를 갖고 있는데, 이는 그들의 몸이 단단하게 유지되도록 돕고 움직임을 거들고 영양분과 노폐물이 적절한 몸의 부위로 이동하는 것을 도와준다. 신경 체계가 모듈식으로 되어 있는데, 어떤 의미에서는 각각의 몸의 마디가 그 자체의 개별적이고 자율적인 뇌를 갖고 있으며, 몇몇 다른 몸의 체계가 유사한 모듈화를 보여 준다. 이것들은 곤충의 몸이 우리의 것과는 완전히 다르게 구조화되어 있고 기능하는 많은 방식들 중 몇 가지일 뿐이다.

 

30. (A), (B), (C)의 각 네모 안에서 문맥에 맞는 낱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On projects in the built environment, people consider safety and functionality nonnegotiable. But the aesthetics of a new project how it is designed is too often considered irrelevant. The question of how its design affects human beings is rarely asked. People think that design makes something highfalutin, called architecture, and that architecture differs from building, just as surely as the Washington National Cathedral differs from the local community church. This distinction between architecture and building or more generally, between design and utility couldn't be more wrong. More and more we are learning that the design of all our built environments matters so profoundly that safety and functionality must not be our only urgent priorities. All kinds of design elements influence people's experiences, not only of the environment but also of themselves. They shape our cognitions, emotions, and actions, and even our well-being. They actually help constitute our very sense of identity.

* highfalutin: 허세를 부리는

 

건축 환경에서의 설계에 대해 사람들이 안전성과 기능성은 협상의 여지가 없다고 여긴다. 하지만 어떻게 그것이 디자인되어 있는지와 같은 새로운 설계의 미학은 너무 종종 무관하다고 여겨진다. 어떻게 그것의 디자인이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질문은 거의 하지 않는다. 사람들은 디자인이 (미학적) 건축물이라고 불리는 허세를 부리는 것을 만들어 낸다고 생각하며, 워싱턴 국립 대성당이 지역사회 교회와는 다른 것과 마찬가지로 분명하게 (미학적) 건축물은 (일반적) 건축물과 다르다고 생각한다. (미학적) 건축물과 (일반적) 건축물, 더 일반적으로는 디자인과 실용성 사이의 이러한 구분은 더할 나위 없이 잘못된 것이다. 우리의 모든 건축 환경의 디자인이 너무나도 대단히 중요해서 안전성과 기능성이 우리의 유일한 긴박한 우선순위여서는 안된다는 것을 우리는 더욱더 알아가고 있다. 모든 종류의 디자인 요소들은 사람들의 환경에 대한 경험뿐 아니라 그들 자신에 대한 경험에도 영향을 미친다. 그것들은 우리의 인지, 감정, 행동, 심지어 웰빙까지 형성한다. 그것들은 실제로 우리의 정체성까지 만들어 내도록 돕는다.

 

 

31.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Over 4.5 billion years ago, the Earth's primordial atmosphere was probably largely water vapour, carbon dioxide, sulfur dioxide and nitrogen. The appearance and subsequent evolution of exceedingly primitive living organisms (bacteria-like microbes and simple single-celled plants) began to change the atmosphere, liberating oxygen and breaking down carbon dioxide and sulfur dioxide. This made it possible for higher organisms to develop. When the earliest known plant cells with nuclei evolved about 2 billion years ago, the atmosphere seems to have had only about 1 percent of its present content of oxygen. With the emergence of the first land plants, about 500 million years ago, oxygen reached about one-third of its present concentration. It had risen to almost its present level by about 370 million years ago, when animals first spread on to land. Today's atmosphere is thus not just a requirement to sustain life as we know itit is also a consequence of life.

* primordial: 원시의 ** sulfur dioxide: 이산화황

45억 년도 더 전에 지구의 원시 대기는 아마도 대부분 수증기, 이산화탄소, 이산화황과 질소였을 것이다. 극히 원시적인 생물체(박테리아 같은 미생물과 단순한 단세포 식물)의 출현과 연이은 진화는 산소를 유리(遊離)시키고 이산화탄소와 이산화황을 분해하면서 대기를 변화시키기 시작했다. 이것은 더 상위 유기체가 발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가장 최초라고 알려진 핵이 있는 식물 세포가 약 20억 년전 진화했을 때, 대기는 현재 산소 함량의 고작 약 1%만을 가지고 있었던 것 같다. 5억 년 전에 최초의 육지 식물이 출현하면서 산소는 현재 농도의 약 3분의 1에 달했다. 그것은 약 37천만 년 전까지 거의 현재 수준으로 증가했고, 그때 동물들이 처음 육지에 퍼졌다. 그러므로 오늘날의 대기는 우리가 알고 있는 생명체를 유지하기 위한 필요조건일 뿐 아니라, 생명체의 결과이기도 하다.

 

 

32.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One of the primary ways by which music is able to take on significance in our inner world is by the way it interacts with memory. Memories associated with important emotions tend to be more deeply embedded in our memory than other events. Emotional memories are more likely to be vividly remembered and are more likely to be recalled with the passing of time than neutral memories. Since music can be extremely emotionally evocative, key life events can be emotionally heightened by the presence of music, ensuring that memories of the event become deeply encoded. Retrieval of those memories is then enhanced by contextual effects, in which a recreation of a similar context to that in which the memories were encoded can facilitate their retrieval. Thus, re-hearing the same music associated with the event can activate intensely vivid memories of the event.

* evocative: 불러일으키는 ** retrieval: 회복

음악이 우리의 내면세계에서 중요성을 가질 수 있는 주요한 방법 중 하나는 그것이 기억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의해서이다. 중요한 감정과 연관된 기억들은 다른 사건들보다 우리 기억 속에 더욱 깊이 박혀 있는 경향이 있다. 감정적인 기억들은 생생히 기억될 가능성이 더 크고 중립적인 기억들보다 시간이 지나도 기억될 가능성이 더 크다. 음악이 감정을 엄청나게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중요한 삶의 사건들은 음악의 존재에 의해 감정적으로 고조될 수 있고, 그 사건에 대한 기억들이 확실히 깊이 암호화 되도록 해 준다. 그러고 나서 그러한 기억들의 회복은 맥락 효과에 의해 강화되는데, 이 맥락 효과에서 그 기억들이 암호화되었던 것(맥락)과 비슷한 맥락의 재창조가 그것(기억)들의 회복을 촉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그 사건과 연관된 같은 음악을 다시 듣는 것이 그 사건에 대한 강렬하게 생생한 기억들을 활성화할 수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