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농장 모의고사 자료 목록
EF000 좌본우해
EF001 어휘정리 EF002 본문 한줄해석
EF003 본문영작연습 EF004 본문해석연습
EF005 내용일치 EF006 글의순서
EF007 문장삽입 EF008 어법어휘선택
EF01 종합변형문제 EF02 워크북 (EF002, EF005~8 합본)
전체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항 자료구매 ↓↓↓
2020년 6월 고1/고2 모의고사 종합변형문제+워크북 판매
<알파카의 영어농장> 나눔자료 게시판에 샘플 파일을 올려놓았습니다 https:cafe.naver.com/forjr 합본형 선택시 할인이 적용됩니다
form.office.naver.com
알파카의 영어농장 http://cafe.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 네이버 카페
고등부 학생들, 고등부 선생님들께 필요한 모의고사 위주의 자료를 제공하는 영어카페입니다.
cafe.naver.com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쌤의 영어교실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학생은 없다,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blog.naver.com
영어회복제 Pacas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영어회복제Pacas
- 우리동네영어쌤 Alpaca Since 2019. 8. - 채널명을 변경하였습니다~* 올해 1월에 이사를 하고, 공부방을 열어 2월 1일 부터 첫 수업을 진행했어요~ 고3 수강생이 아직 1명이라 강의를 보면 수업 초점이
www.youtube.com
40.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Some natural resourcerich developing countries tend to create an excessive dependence on their natural resources, which generates a lower productive diversification and a lower rate of growth. Resource abundance in itself need not do any harm: many countries have abundant natural resources and have managed to outgrow their dependence on them by diversifying their economic activity. That is the case of Canada, Australia, or the US, to name the most important ones. But some developing countries are trapped in their dependence on their large natural resources. They suffer from a series of problems since a heavy dependence on natural capital tends to exclude other types of capital and thereby interfere with economic growth.
Relying on rich natural resources without varying economic activities can be a barrier to economic growth.
천연자원이 풍부한 일부 개발 도상국들은 자국의 천연자원에 대한 지나친 의존을 초래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더 낮은 생산적 다양화와 더 낮은 성장률을 초래한다. 자원의 풍요가 그 자체로 해가 되어야하는 것은 아니다. 많은 나라들이 풍부한 천연자원을 가지고 있으며 자국의 경제 활동을 다양화함으로써 그것(풍부한 천연자원)에 대한 의존에서 그럭저럭 벗어났다. 가장 중요한 나라들을 꼽자면 캐나다, 호주, 또는 미국의 경우가 그러하다. 하지만 일부 개발 도상국들은 자국의 많은 천연자원에 대한 의존에 갇혀 있다. 자연 자본에 대한 과도한 의존은 다른 형태의 자본을 배제하고 그로 인해 경제 성장을 저해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그들은 일련의 문제를 겪고 있다.
경제 활동을 다양화하지 않은 채 풍부한 천연자원에 의존하는 것은 경제 성장에 장애가 될 수 있다.
[41-4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Animal studies have dealt with the distances creatures may keep between themselves and members of other species. These distances determine the functioning of the socalled ‘flight or fight’ mechanism. As an animal senses what it considers to be a predator approaching within its ‘flight’ distance, it will quite simply run away. The distance at which this happens is amazingly consistent, and Hediger, a Swiss biologist, claimed to have measured it remarkably precisely for some of the species that he studied. Naturally, it varies from species to species, and usually the larger the animal the longer its flight distance. I have had to use a long focus lens to take photographs of giraffes, which have very large flight distances. By contrast, I have several times nearly stepped on a squirrel in my garden before it drew attention to itself by suddenly escaping! We can only assume that this variation in distance matches the animal's own assessment of its ability to accelerate and run.
The ‘fight’ distance is always smaller than the flight distance. If a perceived predator approaches within the flight distance but the animal is trapped by obstacles or other predators and cannot flee, it must stand its ground. Eventually, however, attack becomes the best form of defence, and so the trapped animal will turn and fight.
동물 연구는 동물들이 그들과 다른 종의 구성원들 사이에 유지할 수도 있는 거리를 다루어 왔다. 이러한 거리는 소위 ‘도주 또는 공격’ 메커니즘의 기능을 결정짓는다. 동물은 자기가 포식자라고 여기는 것이 자신의 ‘도주’ 거리 내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면, 정말 그야말로 도망갈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거리는 놀라울 정도로 일관되며, 스위스 생물학자 Hediger는 자신이 연구하는 일부 종에 대해 그것을 놀라울 만큼 정확하게 측정했다고 주장했다. 당연히 그것은 종에 따라 다르며, 보통 동물이 더 클수록 그것의 도주 거리는 더 길다. 나는 기린의 사진을 찍기 위해서는 원거리 초점 렌즈를 사용해야만 했는데, 기린은 도주 거리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대조적으로, 다람쥐가 갑자기 도망쳐서 자신에게 관심을 갖게 하기 전에 나는 내 정원에서 다람쥐를 거의 밟을 뻔한 적이 몇 번 있었다! 우리는 거리에서의 이러한 차이가 속력을 내서 달릴 수 있는 능력에 대한 동물 자신의 평가와 일치한다고 추정할 수 있을 뿐이다.
‘공격’ 거리는 항상 도주 거리보다 더 짧다. 인식된 포식자가 도주 거리 내로 접근하지만, 그 동물이 장애물이나 다른 포식자들에 의해 갇혀서 달아날 수 없다면, 그것(그 동물)은 물러나지 않고 버텨야 한다. 하지만, 결국에는 공격이 가장 좋은 형태의 방어 수단이 되므로, 그 갇힌 동물은 돌아서서 싸울 것이다.
[43-4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A)
Eightyearold Yolanda went to her grandmother's and proudly announced that she was going to be very successful when she grew up and asked her grandmother if she could give her any tips on how to achieve this. The grandmother nodded, took the girl by the hand, and walked her to a nearby plant nursery. There, the two of them chose and purchased two small trees.
(C)
They returned home and planted one of them in the back yard and planted the other tree in a pot and kept it indoors. Then her grandmother asked her which of the trees she thought would be more successful in the future. Yolanda thought for a moment and said the indoor tree would be more successful because it was protected and safe, while the outdoor tree had to cope with the elements. Her grandmother shrugged and said, “We'll see.” Her grandmother took good care of both trees.
*elements: 악천후
(D)
In a few years, Yolanda, now a teenager, came to visit her grandmother again. Yolanda reminded her that (d)she had never really answered her question from when she was a little girl about how she could become successful when she grew up. The grandmother showed Yolanda the indoor tree and then took her outside to have a look at the towering tree outside. “Which one is greater?” the grandmother asked. Yolanda replied, “The outside one. But that doesn't make sense; it had to cope with many more challenges than the one inside.”
(B)
The grandmother smiled and said, “Remember this, and you will be successful in whatever you do: If you choose the safe option all of your life, you will never grow. But if you are willing to face the world with all of its challenges, you will learn from those challenges and grow to achieve great heights.” Yolanda looked up at the tall tree, took a deep breath, and nodded her head, realizing that her wise grandmother was right.
(A) 여덟 살의 Yolanda는 할머니 댁에 가서 자기가 커서 크게 성공할 것이라고 자랑스럽게 선언하고 할머니께 이것을 성취할 방법에 대해 조언을 해줄 수 있는지 여쭈었다. 할머니는 고개를 끄덕이더니, 소녀의 손을 잡고 그녀를 가까운 식물 묘목장으로 데리고 갔다. 그곳에서 두 사람은 두 개의 작은 나무를 골라서 샀다.
(C) 그들은 집으로 돌아와 그 중 하나를 뒷마당에 심고 다른 하나의 나무는 화분에 심어 실내에 두었다. 그런 다음 그녀의 할머니는 그녀에게 그녀가 생각하기에 그 나무 중 어느 것이 미래에 더 성공적일 것인지 물었다. Yolanda는 잠시 생각하더니, 실내의 나무는 보호를 받아 안전하지만 집 밖의 나무는 악천후를 이겨내야 하기 때문에, 실내의 나무가 더 성공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녀의 할머니는 어깨를 으쓱하더니, “두고 보자꾸나.”라고 말했다. 그녀의 할머니는 두 나무를 모두 정성스럽게 돌보았다.
(D) 몇 년 후, 이제 십 대가 된 Yolanda가 자신의 할머니를 다시 찾아왔다. Yolanda는 어떻게 하면 커서 성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어렸을 때의 질문에 그녀가 실제로 대답한 적이 전혀 없었다는 것을 할머니께 일깨워주었다. 할머니는 Yolanda에게 실내의 나무를 보여주고는 그녀를 밖으로 데리고 나가 밖에 있는 높이 솟은 나무를 보게 했다. “어느 것이 더 크니”라고 할머니가 물었다. Yolanda는 “밖에 있는 거요. 하지만 말이 되질 않아요. 그것은 실내의 것보다 더 많은 역경을 이겨내야만 했잖아요.”라고 대답했다.
(B) 할머니는 미소를 지으며, “이것을 기억하면, 네가 무엇을 하든 그 일에서 성공할 것이다. 평생 안전한 선택을 한다면 너는 결코 성장하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네가 모든 역경에도 불구하고 세상에 기꺼이 맞선다면, 너는 그 역경으로부터 배우게 되고 성장하여 대단히 높은 수준까지 성취하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Yolanda는 큰 나무를 올려다보고, 심호흡을 하고, 지혜로운 자신의 할머니가 옳다는 것을 깨닫고 자신의 머리를 끄덕였다.
'2020 모의고사 자료 > 고2'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6월 고2 모의고사 본문영작연습 / 본문해석연습 (0) | 2020.07.29 |
---|---|
2020년 6월 고2 모의고사 어휘정리 / 어휘테스트 자료 (0) | 2020.07.29 |
2020년 6월 고2 모의고사 본문 좌본우해 / 한줄 해석 자료 (0) | 2020.07.29 |
2020년 3월 고2 모의고사 본문영작연습 / 본문해석연습 (0) | 2020.07.29 |
2020년 3월 고2 모의고사 어휘정리 / 어휘테스트 자료 (0) | 2020.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