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의순서] 및 [문장삽입] 문제는 각각 3회차 분량으로 제작하였습니다.
※ 각 1회차씩을 로고 버전으로 제공해 드리며 무로고 버전의 3회차 분량 자료는 유료로 판매하고 있으며, 판매 경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www.moby-dick.wiki/mobydick/kor/mock/listBoard1_1.php?pageMode=view&boardId=3431
모비딕영어자료실
중고등 영어자료실
www.moby-dick.wiki
※ 타 사이트에 무단 전제시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본 자료는 PDF로만 제공하며 로고는 없습니다.
※ 본 자료는 내신 대비 자료로 본문의 흐름을 정확히 익히고 있는지에 초점을 두어 제작되었으므로 평가원에서 구성하는 순서, 삽입의 메커니즘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은, 즉 개연성이 없는 문항이 있을 수 있습니다.
36.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The right to be forgotten is a right distinct from but related to a right to privacy. The right to privacy is, among other things, the right for information traditionally regarded as protected or personal not to be revealed. The right to be forgotten, in contrast, can be applied to information that has been in the public domain. The right to be forgotten broadly includes the right of an individual not to be forever defined by information from a specific point in time. One motivation for such a right is to allow individuals to move on with their lives and not be defined by a specific event or period in their lives. For example, it has long been recognized in some countries, such as the UK and France, that even past criminal convictions should eventually be “spent” and not continue to affect a person's life. Despite the reason for supporting the right to be forgotten, the right to be forgotten can sometimes come into conflict with other rights. For example, formal exceptions are sometimes made for security or public health reasons.
잊힐 권리
잊힐 권리는 사생활 권리와 구별되지만 관련이 있는 권리이다. 사생활 권리는 무엇보다도 전통적으로 보호되거나 공개되지 않아야 할 개인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정보에 대한 권리이다. 반면에 잊힐 권리는 공공의 영역에 있었던 정보에 적용될 수 있다. 잊힐 권리는 특정 시점의 정보에 의해 영원히 정의되지 않아야 할 개인의 권리를 광범위하게 포함한다. 그러한 권리의 한 가지 이유는 개인이 자신의 삶을 영위할 수 있게 해 주고 자신의 삶의 특정한 사건이나 기간에 의해 정의되지 않도록 해 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영국과 프랑스와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과거의 범죄 유죄 판결조차도 결국 ‘소모되어야’ 하고 한 사람의 삶에 계속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고 오랫동안 인식되어왔다. 잊힐 권리를 지지하는 그러한 이유에도 불구하고 잊힐 권리는 다른 권리와 때때로 충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식적인 예외가 안보와 공공 보건의 이유로 인해 때때로 만들어진다.
37.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To an economist who succeeds in figuring out a persons preference structure ― understanding whether the satisfaction gained from consuming one good is greater than that of another ― explaining behavior in terms of changes in underlying likes and dislikes is usually highly problematic. To argue, for instance, that the baby boom and then the baby bust resulted from an increase and then a decrease in the public's inherent taste for children, rather than a change in relative prices against a background of stable preferences, places a social scientist in an unsound position. In economics, such an argument about birth rates would be equivalent to saying that a rise and fall in mortality could be attributed to an increase in the inherent desire change for death. For an economist, changes in income and prices, rather than changes in tastes, affect birth rates. When income rises, for example, people want more children (or, as you will see later, more satisfaction derived from children), even if their inherent desire for children stays the same.
소비의 변화를 단순히 호불호의 변화로 인식해서는 안 된다
한 사람의 선호도 구조를 알아내는 것, 즉 한 상품을 소비함으로써 얻는 만족도가 또 다른 상품을 소비함으로써 얻는 만족도보다 더 큰지를 이해하는 것에 성공한 경제학자에게는 행동을 기저에 있는 호불호의 변화의 관점에서 설명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매우 문제가 많다. 예를 들어, 베이비 붐과 그 후의 출산율의 급락이 변동이 없는 선호도를 배경으로 한 상대적 비용의 변화보다는 아이에 대한 대중의 내재적인 기호의 증가와 그 후의 감소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하는 것은 사회 과학자를 불안정한 입지에 놓는다. 경제학에서 출생률에 대한 그러한 주장은 사망률의 상승과 하락이 죽음에 대한 내재적 욕구 변화의 증가에 기인한다고 말하는 것과 같다. 경제학자에게는 기호의 변화보다는 소득과 물가의 변화가 출산율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소득이 증가할 때 사람들은 자녀에 대한 자신의 내재적 욕구가 그대로 유지되더라도 더 많은 자녀(또는 여러분이 나중에 알게 되겠지만, 아이로부터 오는 더 큰 만족감)를 원한다.
38.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In the natural world, if an animal consumes a plant with enough antinutrients to make it feel unwell, it won't eat that plant again. Intuitively, animals also know to stay away from these plants. Years of evolution and information being passed down created this innate intelligence. This “intuition,” though, is not just seen in animals. Have you ever wondered why most children hate vegetables? Dr. Steven Gundry justifies this as part of our genetic programming, our inner intelligence. Since many vegetables are full of antinutrients, your body tries to keep you away from them while you are still fragile and in development. It does this by making your taste buds perceive these flavors as bad and even disgusting. As you grow and your body becomes stronger enough to tolerate these antinutrients, suddenly they no longer taste as bad as before.
*taste bud 미뢰(味蕾)
진화적으로 섭취를 꺼리게 만드는 야채 속 항영양소
자연계에서 만약 동물이 자신의 상태를 안 좋게 하기에 충분한 항영양소가 있는 식물을 섭취하면 그 동물은 그 식물을 다시는 먹지 않을 것이다. 직관적으로 동물은 또한 이러한 식물을 멀리할 줄 안다. 오랜 시간의 진화와 전해 내려오는 정보는 이 타고난 지능을 만들어 냈다. 그러나 이 ‘직관’은 동물에게서만 보이는 것은 아니다. 여러분은 대부분의 아이들이 왜 야채를 싫어하는지 궁금해 한 적이 있는가? Dr. Steven Gundry는 이것을 우리의 유전적 프로그래밍, 즉 우리의 내적 지능의 일부로 정당화한다. 많은 야채들이 항영양소로 가득 차 있기 때문에 여러분이 아직 연약하고 성장 중에 있을 때 여러분의 몸은 여러분을 그것들로부터 멀리하게 하려고 노력한다. 그것은 여러분의 미뢰(味蕾)로 하여금 이러한 맛을 나쁘고 심지어 역겨운 것으로 인식하게 만듦으로써 이를 수행한다. 여러분이 성장하고 여러분의 신체가 이러한 항영양소를 견딜 만큼 충분히 더 강해지면 갑자기 그것들은 더 이상 이전만큼 맛이 나쁘게 느껴지지 않는다.
39.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The difference in the Moon's gravitational pull on different parts of our planet effectively creates a “stretching force.” It makes our planet slightly stretched out along the line of sight to the Moon and slightly compressed along a line perpendicular to that. The tidal stretching caused by the Moon's gravity affects our entire planet, including both land and water, inside and out. However, the rigidity of rock means that land rises and falls with the tides by a much smaller amount than water, which is why we notice only the ocean tides. The stretching also explains why there are generally two high tides (and two low tides) in the ocean each day. Because Earth is stretched much like a rubber band, the oceans bulge out both on the side facing toward the Moon and on the side facing away from the Moon. As Earth rotates, we are carried through both of these tidal bulges each day, so we have high tide when we are in each of the two bulges and low tide at the midpoints in between.
*rigidity 단단함 **perpendicular 직각을 이루는 ***bulge 팽창하다
간조와 만조가 발생하는 이유
우리 행성의 서로 다른 부분들에 대한 달 중력의 차이는 효과적으로 ‘잡아 늘리는 힘’을 만든다. 그것은 우리 행성을 달을 보는 방향으로 약간 늘어나게 하고 그것에 직각을 이루는 선을 따라 약간 눌리게 된다. 달의 중력에 의해 발생되는 조수의 늘어남은 땅과 물을 포함한 우리의 전체 행성에 안팎으로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암석의 단단함은 땅이 물보다는 훨씬 적은 양만큼 조수와 함께 오르락내리락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이 우리가 오직 바다의 조수만을 알아차리는 이유이다. 그 늘어남은 또한 왜 일반적으로 매일 바다에서 ‘두 번의’ 만조(그리고 두 번의 간조)가 발생하는지 설명한다. 지구가 고무줄처럼 늘어나기 때문에, 바다는 달을 향하는 쪽과 달에서 멀어지는 쪽 모두에서 팽창해 나간다. 지구가 자전함에 따라 우리는 매일 이 두 개의 조수 팽창부를 통과하게 되어서 우리가 각각 두 개의 팽창부에 있을 때 만조를 겪고 그 사이의 중간 지점에 있을 때 간조를 겪는다.
'2022 모의고사 자료 > 고2'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11월 고2 모의고사 [한줄해석/영작연습/해석연습] (1) | 2022.12.02 |
---|---|
2022년 11월 고2 모의고사 [좌본우해/어휘정리/어휘테스트] (1) | 2022.12.02 |
2022년 9월 고2 모의고사 [한줄해석/어휘정리/어휘테스트] (1) | 2022.09.06 |
2022년 9월 고2 모의고사 [좌본우해/영작연습/해석연습] (1) | 2022.09.05 |
22년 6월 고2 모의고사 본문(한줄해석) / 영작연습 / 해석연습 (0) | 2022.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