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농장 모의고사 자료 목록
EF000 좌본우해
EF001 어휘정리 EF002 본문 한줄해석
EF003 본문영작연습 EF004 본문해석연습
EF005 내용일치 EF006 글의순서
EF007 문장삽입 EF008 어법어휘선택
EF01 종합변형문제 EF02 워크북 (EF002, EF005~8 합본)
전체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파카의 영어농장 http://cafe.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 네이버 카페
고등부 학생들, 고등부 선생님들께 필요한 모의고사 위주의 자료를 제공하는 영어카페입니다.
cafe.naver.com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쌤의 영어교실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학생은 없다,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blog.naver.com
영어회복제 Pacas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영어회복제Pacas
- 우리동네영어쌤 Alpaca Since 2019. 8. - 채널명을 변경하였습니다~* 올해 1월에 이사를 하고, 공부방을 열어 2월 1일 부터 첫 수업을 진행했어요~ 고3 수강생이 아직 1명이라 강의를 보면 수업 초점이
www.youtube.com
22.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Personal blind spots are areas that are visible to others but not to you. The developmental challenge of blind spots is that you don't know what you don't know. Like that area in the side mirror of your car where you can't see that truck in the lane next to you, personal blind spots can easily be overlooked because you are completely unaware of their presence. They can be equally dangerous as well. That truck you don't see? It's really there! So are your blind spots. Just because you don't see them, doesn't mean they can't run you over. This is where you need to enlist the help of others. You have to develop a crew of special people, people who are willing to hold up that mirror, who not only know you well enough to see that truck, but who also care enough about you to let you know that it's there.
개인의 맹점은 다른 사람들에게는 보이지만 당신에게는 보이지 않는 부분이다. 맹점이 지닌 발달상의 어려움은 당신이 무엇을 모르는지 모른다는 것이다. 옆 차선의 트럭을 볼 수 없는 당신 차의 사이드미러 속의 부분과 같이, 개인의 맹점은 당신이 그것의 존재를 완전히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쉽게 간과될 수 있다. 그것들은 마찬가지로 똑같이 위험할 수 있다. 당신이 보지 못하는 그 트럭? 그것은 정말 거기에 있다! 그리고 당신의 맹점도 그러하다. 당신이 그것을 볼 수 없다고 해서 그것이 당신을 칠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 부분이 당신이 다른 사람의 도움을 구해야 할 부분이다. 당신은 기꺼이 그 거울을 들고, 그 트럭을 볼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당신을 잘 알 뿐만 아니라 또한 트럭이 거기에 있다는 것을 당신에게 알려 줄 만큼 충분히 당신을 아끼는 이런 특별한 동료들을 만들어야 한다.
23.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A child whose behavior is out of control improves when clear limits on their behavior are set and enforced. However, parents must agree on where a limit will be set and how it will be enforced. The limit and the consequence of breaking the limit must be clearly presented to the child. Enforcement of the limit should be consistent and firm. Too many limits are difficult to learn and may spoil the normal development of autonomy. The limit must be reasonable in terms of the child's age, temperament, and developmental level. To be effective, both parents (and other adults in the home) must enforce limits. Otherwise, children may effectively split the parents and seek to test the limits with the more indulgent parent. In all situations, to be effective, punishment must be brief and linked directly to a behavior.
*indulgent: 멋대로 하게 하는
행동이 통제되지 않는 아이는 행동에 대한 분명한 제한이 설정되고 시행될 때 개선된다. 그러나 부모들은 어디에 제한을 두고 어떻게 그것이 시행될지에 대해 반드시 합의를 해야 한다. 제한과 그 제한을 깨뜨리는 것의 결과는 반드시 아이에게 분명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제한의 시행은 일관성 있고 단호해야 한다. 너무 많은 제한은 배우기 어렵고 자율성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지도 모른다. 제한은 아이의 나이, 기질, 발달 수준의 측면에서 합당해야 한다. 효과적이려면 부모 모두가(그리고 가정의 다른 어른들도) 제한을 시행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아이들은 효과적으로 부모들을 따로 떼어서 좀 더 멋대로 하게 하는 부모에게 제한을 시험해 보려 한다. 모든 상황에서, 효과적이려면, 처벌은 간결하고 행동과 직접적으로 관련 있어야 한다.
24.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Many inventions were invented thousands of years ago so it can be difficult to know their exact origins. Sometimes scientists discover a model of an early invention and from this model they can accurately tell us how old it is and where it came from. However, there is always the possibility that in the future other scientists will discover an even older model of the same invention in a different part of the world. In fact, we are forever discovering the history of ancient inventions. An example of this is the invention of pottery. For many years archaeologists believed that pottery was first invented in the Near East (around modern Iran) where they had found pots dating back to 9,000 B.C. In the 1960s, however, older pots from 10,000 B.C. were found on Honshu Island, Japan. There is always a possibility that in the future archaeologists will find even older pots somewhere else.
많은 발명품들은 수천 년 전에 발명이 되어서 그것들의 정확한 기원을 아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때때로 과학자들은 초기 발명품의 모형을 발견하고 이 모형으로부터 그것이 얼마나 오래되었고 어디에서 왔는지를 정확하게 우리에게 말해 줄 수 있다. 그러나 미래에 다른 과학자들이 세계의 다른 곳에서 똑같은 발명품의 훨씬 더 오래된 모형을 발견할 가능성이 항상 존재한다. 사실 우리는 고대 발명품들의 역사를 계속해서 발견하고 있다. 이것의 한 예는 도자기라는 발명품이다. 수 년 동안 고고학자들은 그들이 기원전 9,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도자기를 발견한 근동지역(현대의 이란 근처)에서 도자기가 처음 발명되었다고 믿었다. 그러나, 1960년대에 기원전 10,000년의 더 오래된 도자기가 일본의 혼슈섬에서 발견되었다. 미래에 고고학자들이 어딘가에서 훨씬 더 오래된 도자기를 발견할 가능성은 언제나 존재한다.
26. impala에 관한 다음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The impala is one of the most graceful four-legged animals. Impalas have the ability to adapt to different environments of the savannas. Both male and female impalas are similar in color, with white bellies and black-tipped ears. Male impalas have long and pointed horns which can measure 90 centimeters in length. Female impalas have no horns. Impalas feed upon grass, fruits, and leaves from trees. When conditions are harsh in the dry season, they come together to search for food in mixed herds which can number as many as 100-200 individuals. The breeding season occurs at the end of the wet season around May. Females give birth in an isolated spot away from the herd. The average life span of an impala is between 13 and 15 years in the wild.
임팔라는 가장 우아한 네발 동물 중의 하나이다. 임팔라는 대초원의 여러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이 있다. 수컷과 암컷 임팔라 모두는 색깔이 비슷한데 배가 하얗고 귀 끝부분이 검다. 수컷 임팔라는 길이가 90센티미터인 길고 뾰족한 뿔이 있다. 암컷 임팔라는 뿔이 없다. 임팔라들은 풀, 과일, 나뭇잎을 먹고 산다. 건기에 상황이 열악할 때, 그것들은 먹이를 찾기 위해 100에서 200마리의 수에 달할 수 있는 섞인 무리로 모인다. 번식기는 5월 무렵 우기의 끝에 일어난다. 암컷은 무리에서 떨어져 고립된 장소에서 출산한다. 임팔라의 평균 수명은 야생에서 13년에서 15년 사이이다.
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Every farmer knows that the hard part is getting the field prepared. Inserting seeds and watching them grow is easy. In the case of science and industry, the community prepares the field, yet society tends to give all the credit to the individual who happens to plant a successful seed. Planting a seed does not necessarily require overwhelming intelligence;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allows seeds to prosper does. We need to give more credit to the community in science, politics, business, and daily life. Martin Luther King Jr. was a great man. Perhaps his greatest strength was his ability to inspire people to work together to achieve, against all odds, revolutionary changes in society's perception of race and in the fairness of the law. But to really understand what he accomplished requires looking beyond the man. Instead of treating him as the manifestation of everything great, we should appreciate his role in allowing America to show that it can be great.
*manifestation: 표명
모든 농부들은 밭이 준비되도록 하는 것이 어려운 부분임을 안다. 씨앗을 심고 그것들이 자라는 것을 보는 것은 쉽다. 과학과 산업의 경우, 공동체가 밭을 준비하지만, 사회는 우연히 성공적인 씨앗을 심은 개인에게 모든 공로를 돌리는 경향이 있다. 씨를 심는 것은 반드시 엄청난 지능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씨앗이 번성하게 해 주는 환경을 만드는 것은 그러하다. 우리는 과학, 정치, 사업 그리고 일상에서 공동체에 좀 더 많은 공로를 인정해 줄 필요가 있다. Martin Luther King Jr.는 위대한 사람이었다. 아마도 그의 가장 큰 강점은 모든 역경에 맞서, 사회의 인종에 대한 인식과 법의 공정성에 있어 혁명적인 변화들을 성취하기 위해서 사람들이 함께 일하도록 고무시키는 능력이었다. 그러나 그가 성취한 것을 진정으로 이해하는 것은 그 사람을 넘어서 보는 것을 요구한다. 그를 모든 위대한 것들의 구현으로 여기는 대신에 우리는 미국이 위대해질 수 있음을 보여주게 하는 데 있어서 그의 역할을 인정해야 한다.
30.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Sudden success or winnings can be very dangerous. Neurologically, chemicals are released in the brain that give a powerful burst of excitement and energy, leading to the desire to repeat this experience. It can be the start of any kind of addiction or manic behavior. Also, when gains come quickly we tend to lose sight of the basic wisdom that true success, to really last, must come through hard work. We do not take into account the role that luck plays in such sudden gains. We try again and again to recapture that high from winning so much money or attention. We acquire feelings of superiority. We become especially resistant to anyone who tries to warn us—they don't understand, we tell ourselves. Because this cannot be sustained, we experience an inevitable fall, which is all the more painful, leading to the depression part of the cycle. Although gamblers are the most prone to this, it equally applies to businesspeople during bubbles and to people whogain sudden attention from the public.
갑작스러운 성공이나 상금은 아주 위험할 수 있다. 신경학적으로 흥분과 에너지의 강력한 분출을 유발하는 화학물질들이 뇌에서 분비되고, 이 경험을 반복하고자 하는 욕구로 이어진다. 그것이 어떤 종류의 중독 또는 광적 행동의 출발점일 수 있다. 또한, 이익이 빨리 얻어질 때, 우리는 진정한 성공이 정말 지속되기 위해서는 노력을 통해야 한다는 기본적인 지혜를 보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는 그처럼 갑작스러운 이익에 있어 운이 하는 역할을 고려하지 않는다. 우리는 그만큼의 돈이나 관심을 얻는 것으로부터의 그 황홀감을 되찾기 위해 계속해서 시도한다. 우리는 우월감의 감정을 느낀다. 우리는 특히 우리에게 경고를 하려고 하는 사람에게 저항한다―그들은 이해하지 못한다고 스스로에게 이야기한다. 이것은 지속될 수 없기 때문에 우리는 필연적인 추락을 경험하고 그것은 더 고통스럽고, 그 사이클의 우울한 시기로 이어진다. 도박꾼들이 가장 이러기 쉽지만, 이것은 거품 경제일 때의 사업가들과 대중으로부터 갑작스러운 관심을 얻은 사람들에게도 똑같이 적용된다.
31.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When is the right time for the predator to consume the fruit? The plant uses the color of the fruit to signal to predators that it is ripe, which means that the seed's hull has hardened—and therefore the sugar content is at its height. Incredibly, the plant has chosen to manufacture fructose, instead of glucose, as the sugar in the fruit. Glucose raises insulin levels in primates and humans, which initially raises levels of leptin, a hunger-blocking hormone—but fructose does not. As a result, the predator never receives the normal message that it is full. That makes for a win-win for predator and prey. The animal obtains more calories, and because it keeps eating more and more fruit and therefore more seeds, the plant has a better chance of distributing more of its babies.
*hull: 겉껍질 **primate: 영장류
포식자가 과일을 섭취하기에 적절한 시기는 언제인가? 식물은 포식자에게 과일이 익었음을 알려주기 위해 그것의 색깔을 사용하며, 그것은 씨의 껍질이 딱딱해져서―그래서 당도가 최고에 이르렀음을 의미한다. 놀랍게도, 식물은 과일의 당분으로서 포도당 대신 과당을 만들기로 선택해왔다. 포도당은 영장류와 인간의 인슐린 수치를 높이는데, 그것은 처음에는 배고픔을 막는 호르몬인 렙틴의 수치를 높이지만―과당은 그렇지 않다. 그 결과 포식자는 결코 배가 부르다는 일반적인 메시지를 받지 못한다. 그것이 포식자와 먹이에게 상호 이익이 된다. 동물은 더 많은 열량을 얻고, 그것이 계속해서 더 많은 과일을, 따라서 더 많은 씨를 먹기 때문에 식물은 더 많은 후손을 퍼뜨리는 더 나은 기회를 얻는다.
'2020 모의고사 자료 > 고2'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6월 고2 모의고사 워크북(나눔) (0) | 2020.07.29 |
---|---|
2020년 6월 고2 모의고사 본문영작연습 / 본문해석연습 (0) | 2020.07.29 |
2020년 6월 고2 모의고사 본문 좌본우해 / 한줄 해석 자료 (0) | 2020.07.29 |
2020년 3월 고2 모의고사 워크북(나눔) (0) | 2020.07.29 |
2020년 3월 고2 모의고사 본문영작연습 / 본문해석연습 (0) | 2020.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