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1 고2 EF003 본문영작연습.pdf
1.18MB
2011 고2 EF004 본문해석연습.pdf
1.77MB

 

영어농장 모의고사 자료 목록

EF000 좌본우해

EF001 어휘정리 EF002 본문 한줄해석

EF003 본문영작연습 EF004 본문해석연습

EF005 내용일치 EF006 글의순서

EF007 문장삽입 EF008 어법어휘선택

EF01 종합변형문제 EF02 워크북 (EF002, EF005~8 합본)

 

전체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항 자료구매 ↓↓↓

http://naver.me/FLS3g52R

 

2020년 11월 고1/고2 모의고사 종합변형문제+워크북 판매

<알파카의 영어농장> 나눔자료 게시판에 샘플 파일을 올려놓았습니다 https:cafe.naver.com/forjr 합본형 선택시 할인이 적용됩니다

form.office.naver.com

 

 

알파카의 영어농장 http://cafe.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 네이버 카페

고등부 학생들, 고등부 선생님들께 필요한 모의고사 위주의 자료를 제공하는 영어카페입니다.

cafe.naver.com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쌤의 영어교실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학생은 없다,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blog.naver.com

 

영어회복제 Pacas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영어회복제Pacas

- 우리동네영어쌤 Alpaca Since 2019. 8. - 채널명을 변경하였습니다~* 올해 1월에 이사를 하고, 공부방을 열어 2월 1일 부터 첫 수업을 진행했어요~ 고3 수강생이 아직 1명이라 강의를 보면 수업 초점이

www.youtube.com

 


33.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We are now imposing ourselves on nature, instead of the other way around. Perhaps the clearest way to see this is to look at changes in the biomassthe total worldwide weightof mammals. A long time ago, all of us humans together probably weighed only about two-thirds as much as all the bison in North America, and less than one-eighth as much as all the elephants in Africa. But in the Industrial Era our population exploded and we killed bison and elephants at industrial scale and in terrible numbers. The balance shifted greatly as a result. At present, we humans weigh more than 350 times as much as all bison and elephants put together. We weigh over ten times more than all the earth's wild mammals combined. And if we add in all the mammals we've domesticatedcattle, sheep, pigs, horses, and so onthe comparison becomes truly ridiculous: we and our tamed animals now represent 97 percent of the earth's mammalian biomass. This comparison illustrates a fundamental point: instead of being limited by the environment, we learned to shape it to our own ends.

* bison: 들소

우리는 지금 우리 자신들을 자연에게 강요하고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는 아니다. 아마도 이것을 알 수 있는 가장 분명한 방법은 전 세계 포유류 무게의 총합, 즉 생물량의 변화를 보는 것이다. 오래전에 우리 모든 인간은 합쳐서 아마도 북미에 있는 모든 들소 무게의 대략 3분의 2 정도의 무게였고, 아프리카의 모든 코끼리의 8분의 1 무게보다 적었다. 하지만 산업 시대에 우리의 인구는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우리는 엄청난 규모와 끔찍한 숫자의 들소와 코끼리를 죽였다. 그 결과 균형이 엄청나게 바뀌었다. 현재는 우리 인간이 모든 들소와 코끼리를 합친 무게의 350배가 넘는 무게가 나간다. 우리는 지구상의 모든 야생 포유류를 합친 것보다 10배 이상 무게가 나간다. 그리고 만약 우리가 사육해 온 소, , 돼지, 말 등의 모든 포유류를 포함한다면 그 비교는 정말로 터무니없어지는데, 우리와 우리가 길들인 동물은 현재 지구 포유류 생물량의 97%에 해당한다. 이러한 비교는 기본적인 핵심을 보여주고 있는데, 우리가 환경에 의해 제약을 받는 것이 아니라, 우리 자신의 목적에 맞게 그것을 만들도록 배웠다.

 

 

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In the modern world, we look for certainty in uncertain places. We search for order in chaos, the right answer inambiguity, and conviction in complexity. “We spend far more time and effort on trying to control the world,” best-selling writer Yuval Noah Harari says, “than on trying to understand it.” We look for the easy-to-follow formula. Over time, we lose our ability to interact with the unknown. Our approach reminds me of the classic story of the drunk man searching for his keys under a street lamp at night. He knows he lost his keys somewhere on the dark side of the street but looks for them underneath the lamp, because that's where the light is. Our yearning for certainty leads us to pursue seemingly safe solutionsby looking for our keys under street lamps. Instead of taking the risky walk into the dark, we stay within our current state, however inferior it may be.

현대 세계에서 우리는 불확실한 곳에서 확실성을 찾는다. 우리는 혼란 속에서 질서를, 애매모호함에서 정답을, 복잡함에서 확신을 찾는다. 베스트셀러 작가인 Yuval Noah Harari,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려고 하는 것보다 세상을 통제하려고 하는 것에 훨씬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는다.”라고 말한다. 우리는 쉽게 따라할 수 있는 공식을 찾는다. 시간이 지나면서 우리는 미지의 것과 상호 작용하는 우리의 능력을 잃어버린다. 우리의 접근법은 나에게 밤에 가로등 아래에서 자신의 열쇠를 찾는 술 취한 남자에 대한 전형적인 이야기를 생각나게 한다. 그는 자신의 열쇠를 어두운 길가 어딘가에서 잃어버렸다는 것을 알지만 가로등 밑에서 그것을 찾는데, 왜냐하면 그곳이 빛이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확실성에 대한 우리의 열망은 가로등 아래에서 우리의 열쇠를 찾음으로써 겉으로 보기에 안전한 해결책을 우리가 추구하도록 이끈다. 어둠 속으로 위험한 걸음을 내딛는 대신, 우리는 그것이 아무리 열등할 수 있을지라도 우리의 현재 상태 안에 머문다.

 

 

35.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As far back as the seventeenth century, hair had a special spiritual significance in Africa. Many African cultures saw the head as the center of control, communication, and identity in the body. Hair was regarded as a source of power that personified the individual and could be used for spiritual purposes or even to cast a spell. Since it rests on the highest point on the body, hair itself was a means to communicate with divine spirits and it was treated in ways that were thought to bring good luck or protect against evil. According to authors Ayana Byrd and Lori Tharps, “communication from the gods and spirits was thought to pass through the hair to get to the soul.” In Cameroon, for example, medicine men attached hair to containers that held their healing potions in order to protect the potions and enhance their effectiveness.

* potion: (마법의) 물약

과거 17세기 정도에 머리카락은 아프리카에서 특별한 영적인 중요성을 가졌다. 많은 아프리카의 문화들은 신체에서 머리를 지배, 소통, 그리고 정체성의 중심이라고 여겼다. 머리카락은 개인을 인격화하는 힘의 원천으로 여겨졌고 영적인 목적을 위해서나 심지어 주문을 걸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었다. 그것이 신체의 가장 높은 지점에 있기 때문에, 머리카락은 그 자체로 신성한 영혼들과 소통할 수 있는 수단이었고 그것은 행운을 가져오거나 악으로부터 지켜준다고 생각되는 방법들로 여겨졌다. 작가 Ayana ByrdLori Tharps에 따르면, “신과 영혼들로부터의 의사소통이 머리카락을 통과하여 영혼에 다다른다고 여겨졌다.” 예를 들어 Cameroon에서는 치료 주술사들이 (마법의) 물약을 보호하고 그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머리카락을 자신의 (마법의) 치료 물약을 담은 용기에 붙였다.

 

36.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Mark Granovetter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information about jobs flowed through weak versus strong ties among a group of people. He found that only a sixth of jobs that came via the network were from strong ties, with the rest coming via medium or weak ties; and with more than a quarter coming via weak ties. Strong ties can be more homophilistic. Our closest friends are often those who are most like us. This means that they might have information that is most relevant to us, but it also means that it is information to which we may already be exposed. In contrast, our weaker relationships are often with people who are more distant both geographically and demographically. Their information is more novel. Even though we talk to these people less frequently, we have so many weak ties that they end up being a sizable source of information, especially of information to which we don't otherwise have access.

* demographically: 인구통계학적으로 ** homophilistic: 동족친화적인

Mark Granovetter는 한 무리의 사람들 사이에서 약한 유대관계 대 강한 유대관계를 통해 유입되는 직업에 대한 정보의 정도를 조사했다. 그는 관계망을 통해 오는 직업의 6분의 1만이 강한 유대관계로부터 오며 나머지는 중간이나 약한 유대관계를 통해 오고 4분의 1이상이 약한 유대관계로부터 온다는 것을 발견했다. 강한 유대관계는 더 동족친화적일 수 있다. 우리의 가장 친한 친구들은 종종 우리와 가장 비슷한 사람들이다. 이것은 그들이 우리와 가장 관련 있는 정보를 가지고 있을지 모른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또한 이는 그것이 우리가 이미 접하고 있을지도 모르는 정보라는 것을 의미한다. 대조적으로, 우리의 더 약한 인간 관계는 종종 지리적으로나 인구통계학적으로나 둘 다 더 먼 사람들을 상대로 한다. 그들의 정보는 더 새롭다. 우리가 이러한 사람들과 덜 빈번하게 말은 하지만, 우리는 매우 많은 약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어서 결국 그것이 정보, 특히 우리가 그렇지 않다면 접근하지 못하는 정보의 엄청난 원천이 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