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농장 모의고사 자료 목록
EF000 좌본우해
EF001 어휘정리 EF002 본문 한줄해석
EF003 본문영작연습 EF004 본문해석연습
EF005 내용일치 EF006 글의순서
EF007 문장삽입 EF008 어법어휘선택
EF01 종합변형문제 EF02 워크북 (EF002, EF005~8 합본)
전체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파카의 영어농장 http://cafe.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 네이버 카페
고등부 학생들, 고등부 선생님들께 필요한 모의고사 위주의 자료를 제공하는 영어카페입니다.
cafe.naver.com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쌤의 영어교실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학생은 없다,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blog.naver.com
영어회복제 Pacas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영어회복제Pacas
- 우리동네영어쌤 Alpaca Since 2019. 8. - 채널명을 변경하였습니다~* 올해 1월에 이사를 하고, 공부방을 열어 2월 1일 부터 첫 수업을 진행했어요~ 고3 수강생이 아직 1명이라 강의를 보면 수업 초점이
www.youtube.com
32.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We are often faced with high-level decisions, where we are unable to predict the results of those decisions. In such situations, most people end up quitting the option altogether, because the stakes are high and results are very unpredictable. But there is a solution for this. You should use the process of testing the option on a smaller scale. In many situations, it's wise to dip your toe in the water rather than dive in headfirst. Recently, I was about to enroll in an expensive coaching program. But I was not fully convinced of how the outcome would be. Therefore, I used this process by enrolling in a low-cost mini course with the same instructor. This helped me understand his methodology, style, and content; and I was able to test it with a lower investment, and less time and effort before committing fully to the expensive program.
*stakes: (계획․행동 등의 성공 여부에) 걸려 있는 것
우리는 종종 높은 수준의 결정에 직면하는데, 거기에서 우리는 그 결정의 결과를 예측할 수 없다. 그런 경우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결국 선택권을 전적으로 포기하는데, 왜냐하면 위험성이 높고 결과가 매우 예측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해결책이 있다. 당신은 선택을 좀 더 작은 규모로 시험해보는 과정을 활용해야 한다. 많은 경우에, 물 속에 머리부터 뛰어들기보다는 발끝을 담그는 것이 현명하다. 최근에, 나는 비싼 코칭 프로그램에 등록을 하려고 했었다. 그러나 나는 그 결과가 어떠할지 완전히 확신하지 못했다. 그러므로 나는 똑같은 강사의 저렴한 미니 코스에 등록함으로써 이러한 과정을 활용했다. 이것은 내가 그의 방법론, 스타일, 그리고 교육 내용을 이해하도록 도왔다; 그리고 비싼 프로그램에 완전히 전념하기 전에 나는 그것을 더 낮은 투자, 그리고 적은 시간과 노력으로 시험해 볼 수 있었다.
33.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Sociologists have proven that people bring their own views and values to the culture they encounter; books, TV programs, movies, and music may affect everyone, but they affect different people in different ways. In a study, Neil Vidmar and Milton Rokeach showed episodes of the sitcom All in the Family to viewers with a range of different views on race. The show centers on a character named Archie Bunker, an intolerant bigot who often gets into fights with his more progressive family members. Vidmar and Rokeach found that viewers who didn't share Archie Bunker's views thought the show was very funny in the way it made fun of Archie's absurd racism―in fact, this was the producers' intention. On the other hand, though, viewers who were themselves bigots thought Archie Bunker was the hero of the show and that the producers meant to make fun of his foolish family! This demonstrates why it's a mistake to assume that a certain cultural product will have the same effect on everyone.
*bigot: 고집쟁이
사회학자들은 사람들이 그들 자신의 관점이나 가치를 그들이 직면하는 문화로 가져온다는 것을 입증해 왔다; 책, TV 프로그램, 영화, 그리고 음악은 모두에게 영향을 줄지도 모르지만, 그것들은 다양한 사람들에게 다른 방식으로 영향을 준다. 한 연구에서, Neil Vidmar와 Milton Rokeach는 인종에 관한 다양한 관점을 가진 시청자들에게 시트콤 All in the Family의 에피소드들을 보여주었다. 이 쇼는 자주 그의 더 진보적인 가족 구성원들과 싸움에 휘말리는 편협한 고집쟁이 Archie Bunker라는 인물에 초점을 맞춘다. Vidmar와 Rokeach는 Archie Bunker의 관점을 공유하지 않는 시청자들이 Archie의 어처구니없는 인종 차별주의를 비웃는 방식에 있어 그 쇼가 아주 재미있다고 생각했다는 것을 발견했다―사실, 이것이 제작자의 의도였다. 그러나 반면에, 스스로가 고집쟁이인 시청자들은 Archie Bunker가 그 쇼의 영웅이라고 생각했고, 제작자가 Bunker의 어리석은 가족들을 비웃으려고 한다고 생각했다! 이것이 특정 문화적 산물이 모든 사람에게 똑같은 영향을 줄 것이다라고 가정하는 것이 잘못인 이유를 보여준다.
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The availability heuristic refers to a common mistake that our brains make by assuming that the instances or examples that come to mind easily are also the most important or prevalent. It shows that we make our decisions based on the recency of events. We often misjudge the frequency and magnitude of the events that have happened recently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our memories. According to Harvard professor, Max Bazerman, managers conducting performance appraisals often fall victim to the availability heuristic. The recency of events highly influences a supervisor's opinion during performance appraisals. Managers give more weight to performance during the three months prior to the evaluation than to the previous nine months of the evaluation period because the recent instances dominate their memories. The availability heuristic is influenced by the ease of recall or retrievability of information of some event. Ease of recall suggests that if something is more easily recalled in your memory, you think that it will occur with a high probability.
*appraisal: 평가 **retrievability: 회복력
가용성 휴리스틱은 우리의 뇌가 머릿속에 쉽게 떠오르는 사례들이 가장 중요하거나 널리 퍼져 있다고 가정함으로써 저지르는 일반적인 오류를 가리킨다. 그것은 우리가 사건들의 최신성에 기반하여 의사 결정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리 기억의 한계 때문에 우리는 종종 최근에 발생한 사건들의 빈도와 규모를 잘못 판단한다. Harvard대학 교수, Max Bazerman에 따르면, 직무 수행 평가를 수행하는 관리자들은 종종 이 가용성 휴리스틱의 희생양이 된다. 사건의 최신성은 직무 수행 평가 기간 동안 관리자의 의견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최근의 사례들이 그들의 기억을 지배하기 때문에 관리자들은 평가 기간 앞의 9개월 보다 평가 직전 3개월 동안의 수행에 더 무게를 둔다. 가용성 휴리스틱은 어떤 사건에 대한 정보의 회상 또는 복구 가능성의 용이함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회상의 용이함은 만약 어떤 것이 당신의 기억 속에서 더 쉽게 회상되어진다면, 그것이 높은 가능성으로 일어날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35.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Marketing management is concerned not only with finding and increasing demand but also with changing or even reducing it. For example, Uluru (Ayers Rock) might have too many tourists wanting to climb it, and Daintree National Park in North Queensland can become overcrowded in the tourist season. Power companies sometimes have trouble meeting demand during peak usage periods. In these and other cases of excess demand, the needed marketing task, called demarketing, is to reduce demand temporarily or permanently. The aim of demarketing is not to completely destroy demand, but only to reduce or shift it to another time, or even another product. Thus, marketing management seeks to affect the level, timing, and nature of demand in a way that helps the organisation achieve its objectives.
마케팅 경영은 수요를 찾고 증가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그것을 바꾸고 또는 심지어 줄이는 것과도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Uluru (Ayers Rock)에는 그것을 등반하기를 원하는 너무 많은 관광객이 있을지도 모르고, 그리고 North Queensland의 Daintree 국립공원은 관광 시즌에 과도하게 붐비게 될 수 있다. 전력 회사들은 때때로 최고 사용 기간 동안 수요를 충족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다. 과도한 수요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경우들에서, 필요로 되어지는 반 마케팅이라고 불리는 마케팅 과업은 일시적으로 혹은 영구적으로 수요를 줄이는 것이다. 반 마케팅의 목적은 수요를 완전히 없애는 것이 아니라, 단지 그것을 줄이거나 또는 다른 시기 또는 심지어 다른 제품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마케팅 경영은 조직이 그것의 목표들을 달성하는 것을 돕는 방식으로 수요의 수준, 시기, 그리고 특성에 영향을 주는 것을 추구한다.
'2020 모의고사 자료 > 고2'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6월 고2 모의고사 변형문제(나눔) (0) | 2020.07.29 |
---|---|
2020년 6월 고2 모의고사 워크북(나눔) (0) | 2020.07.29 |
2020년 6월 고2 모의고사 어휘정리 / 어휘테스트 자료 (0) | 2020.07.29 |
2020년 6월 고2 모의고사 본문 좌본우해 / 한줄 해석 자료 (0) | 2020.07.29 |
2020년 3월 고2 모의고사 워크북(나눔) (0) | 2020.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