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농장 모의고사 자료 목록
EF000 좌본우해
EF001 어휘정리 EF002 본문 한줄해석
EF003 본문영작연습 EF004 본문해석연습
EF005 내용일치 EF006 글의순서
EF007 문장삽입 EF008 어법어휘선택
EF01 종합변형문제 EF02 워크북 (EF002, EF005~8 합본)
전체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항 자료구매 ↓↓↓
2020년 11월 고1/고2 모의고사 종합변형문제+워크북 판매
<알파카의 영어농장> 나눔자료 게시판에 샘플 파일을 올려놓았습니다 https:cafe.naver.com/forjr 합본형 선택시 할인이 적용됩니다
form.office.naver.com
알파카의 영어농장 http://cafe.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 네이버 카페
고등부 학생들, 고등부 선생님들께 필요한 모의고사 위주의 자료를 제공하는 영어카페입니다.
cafe.naver.com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쌤의 영어교실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학생은 없다,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blog.naver.com
영어회복제 Pacas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영어회복제Pacas
- 우리동네영어쌤 Alpaca Since 2019. 8. - 채널명을 변경하였습니다~* 올해 1월에 이사를 하고, 공부방을 열어 2월 1일 부터 첫 수업을 진행했어요~ 고3 수강생이 아직 1명이라 강의를 보면 수업 초점이
www.youtube.com
[41-4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Evolutionary biologists believe sociability drove the evolution of our complex brains. Fossil evidence shows that as far back as 130,000 years ago, it was not unusual for Homo sapiens to travel more than a hundred and fifty miles to trade, share food and, no doubt, gossip. Unlike the Neanderthals, their social groups extended far beyond their own families. Remembering all those connections, who was related to whom, and where they lived required considerable processing power.
It also required wayfinding savvy. Imagine trying to maintain a social network across tens or hundreds of square miles of Palaeolithic wilderness. You couldn't send a text message to your friends to find out where they were ― you had to go out and visit them, remember where you last saw them or imagine where they might have gone. To do this, you needed navigation skills, spatial awareness, a sense of direction, the ability to store maps of the landscape in your mind and the motivation to travel around. Canadian anthropologist Ariane Burke believes that our ancestors developed all these attributes while trying to keep in touch with their neighbours. Eventually, our brains became primed for wayfinding. Meanwhile the Neanderthals, who didn't travel as far, never fostered a spatial skill set; despite being sophisticated hunters, well adapted to the cold and able to see in the dark, they went extinct. In the prehistoric badlands, nothing was more helpful than a circle of friends.
* savvy: 요령, 지식 ** Palaeolithic: 구석기 시대의
진화생물학자들은 사회성이 우리의 복잡한 뇌의 진화를 이끌었다고 믿는다. 화석 증거는 13만년 전 아주 과거에 호모사피엔스가 거래하러, 음식을 공유하러, 그리고 의심의 여지 없이 잡담을 하러 150마일 이상을 이동하는 것이 이상한 일이 아니었다는 것을 보여 준다. 네안데르탈인과는 다르게 그들의 사회 집단은 그들 자신의 가족을 훨씬 넘어서서 뻗어 있었다. 누가 누구와 관련이 있는지 그리고 그들이 어디에 사는지의 모든 그런 연결을 기억하는 것은 상당한 처리력을 요구했다.
그것은 또한 길 찾기 요령을 요구했다. 구석기 시대 황야의 수십 혹은 수백 제곱 마일을 가로지르는 사회 관계망을 유지하려고 한다고 상상해 보아라. 여러분은 친구들이 어디에 있는지 알아내기 위해 그들에게 문자 메시지를 보낼 수도 없다. 여러분은 나가서 그들을 방문하고, 마지막으로 그들을 어디에서 보았는지 기억하고 혹은 그들이 어디로 갔을지 상상해야만 했다. 이것을 하기 위해, 여러분은 길 찾기 능력, 공간 인식, 방향 감각, 풍경의 지도를 머릿속에 저장하는 능력, 그리고 여기저기를 이동할 동기를 필요로 했다. 캐나다 인류학자인 Ariane Burke는 우리의 조상이 자신의 이웃과 연락하고 지내려고 하는 동안 이러한 모든 특징들을 발달시켰다고 믿는다. 마침내 우리의 두뇌가 길 찾기를 위한 준비를 하게 된 것이다. 한편, 네안데르탈인은 그만큼 멀리 이동하지 않았고 다양한 공간 능력을 발전시키지 못했다. 수준 높은 사냥꾼이었고 추위에 잘 적응했으며 어둠 속에서도 볼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멸종하게 되었다. 선사 시대의 불모지에서는 그 어떤 것도 친구 집단보다 도움이 되는 것은 없었다.
[43-4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A)
“You've been a very good girl this year, Emma. Tonight, Santa will drop by our house to leave you some presents.” Martha told (a)her little girl, smiling. “And for you too, Fred,” she added. She wanted to give her two children so much more, but this year had been especially hard for Martha. She had worked day and night to buy some Christmas gifts for her children.
“Emma, 올해 너는 참 착한 아이였어. 오늘밤, 산타 할아버지가 우리 집에 들러서 너에게 선물을 몇 개 두고 가실 거야.” Martha가 그녀(Martha)의 귀여운 딸에게 웃으며 말했다. “Fred 너에게도.” 그녀가 덧붙였다. 그녀는 자신의 두 아이들에게 더 많은 것을 주길 원했지만 올해는 Martha에게 특히 힘들었다. 그녀는 자신의 두 아이들을 위한 크리스마스 선물들을 사기 위해 밤낮으로 일했다.
(C)
That night, after everyone had gone to bed, Emma slowly climbed out of bed. She took out a page from a notebook to write a letter to Santa. She whispered to herself as she wrote. “Dear Santa, will you send a few smiles and laughs for my mother? (c)She doesn't laugh much. And will you send a few toys for Fred as well? Thank you.” Emma folded the letter twice and sealed it within an envelope. She left the envelope outside the front door and went back to sleep.
그날 밤, 모두가 잠들고 난 후 Emma는 천천히 침대 밖으로 기어 나왔다. 그녀는 산타 할아버지에게 편지를 쓰기 위해 공책 한 장을 찢어 냈다. 그녀는 쓰면서 혼자 작은 소리로 속삭였다. “산타 할아버지께, 저희 엄마를 위해서 미소와 웃음을 조금 보내주실 수 있나요? 그녀(Martha)는 별로 웃지 않아요. 그리고 Fred를 위한 장난감도 몇 개 보내주실 수 있나요? 고맙습니다.” Emma는 그 편지를 두 번 접어 봉투에 넣고 붙였다. 그녀는 현관 밖에 그 봉투를 두고 나서 다시 잠자리에 들었다.
(B)
Emma came running up to her mother the next morning. “Mommy, Santa really did come last night!” Martha smiled, thinking of the candies and cookies (b)she must have found in her socks. “Did you like his gifts?” “Yes, they are wonderful. Fred loves his toys, too.” Martha was confused? She wondered how the candies and cookies had become toys overnight. Martha ran into Emma's room and saw a small red box that was half open. She knelt down and glanced inside to see its contents.
다음 날 아침 Emma가 자신의 엄마에게 뛰어왔다. “엄마, 어젯밤 정말로 산타 할아버지가 오셨어요!” 양말 속에서 그녀(Emma)가 틀림없이 발견했을 사탕과 쿠키를 떠올리며 Martha가 미소 지었다. “산타 할아버지가 주신 선물들이 마음에 들었니?” “네, 멋져요. Fred도 그분이 주신 장난감들이 마음에 든대요.” Martha는 혼란스러웠다. 그녀는 사탕과 쿠키가 하룻밤 사이에 어떻게 장난감으로 바뀌게 되었는지 궁금했다. Martha는 Emma의 방으로 뛰어 들어가서 반쯤 열려 있는 작은 빨간 상자를 보았다. 그녀는 무릎을 꿇고 그 내용물을 알기 위해 안을 들여다보았다.
(D)
The box contained some toys, countless little candies and cookies. “Mommy, this is for you from Santa.” Emma said holding out a card towards Martha. Puzzled, (d)she opened it. It said, “Dear Emma's mother. A very merry Christmas! Hi, I am Amelia. I found your child's letter blowing across the street last night. I was touched and couldn't help but respond. Please accept the gift as a Christmas greeting.” Martha felt tears falling down (e)her cheeks. She slowly wiped them off and hugged her daughter. “Merry Christmas, Emma. Didn't I tell you Santa would come?”
그 상자는 장난감 몇 개, 그리고 셀 수 없이 많은 작은 사탕과 쿠키를 담고 있었다. “엄마, 이건 산타할아버지가 엄마에게 주신 거예요.” Emma가 Martha를 향해 카드 하나를 내밀며 말했다. 당황한 채로, 그녀(Martha)는 그것을 열었다. 그것이 쓰여 있길, “Emma 어머님께. 정말 메리 크리스마스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Amelia입니다. 어젯밤 길 건너편에서 바람에 날리는 당신의 아이가 쓴 편지를 발견했습니다. 제가 감동을 받아 답장을 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부디 이 선물을 크리스마스 인사로 받아주세요.” Martha는 눈물이 그녀(Martha)의 볼을 타고 흘러내리는 것을 느꼈다. 그녀는 천천히 눈물을 닦고 자신의 딸을 껴안았다. “Emma, 메리 크리스마스. 엄마가 너에게 산타 할아버지가 오실 거라고 말했었지?”
'2020 모의고사 자료 > 고2'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11월 고2 모의고사 워크북(나눔) (0) | 2020.12.03 |
---|---|
2020년 11월 고2 모의고사 본문영작연습 / 본문해석연습 (0) | 2020.11.28 |
2020년 11월 고2 모의고사 어휘정리 / 어휘테스트 (0) | 2020.11.27 |
2020년 11월 고2 모의고사 본문 좌본우해 / 한줄 해석 (0) | 2020.11.27 |
2020년 9월 고2 모의고사 변형문제 22제 (나눔) (0) | 2020.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