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농장 모의고사 자료 목록
EF000 좌본우해
EF001 어휘정리 EF002 본문 한줄해석
EF003 본문영작연습 EF004 본문해석연습
EF005 내용일치 EF006 글의순서
EF007 문장삽입 EF008 어법어휘선택
EF01 종합변형문제 EF02 워크북 (EF002, EF005~8 합본)
전체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파카의 영어농장 http://cafe.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 네이버 카페
고등부 학생들, 고등부 선생님들께 필요한 모의고사 위주의 자료를 제공하는 영어카페입니다.
cafe.naver.com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쌤의 영어교실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학생은 없다,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blog.naver.com
영어회복제 Pacas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영어회복제Pacas
- 우리동네영어쌤 Alpaca Since 2019. 8. - 채널명을 변경하였습니다~* 올해 1월에 이사를 하고, 공부방을 열어 2월 1일 부터 첫 수업을 진행했어요~ 고3 수강생이 아직 1명이라 강의를 보면 수업 초점이
www.youtube.com
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The growing field of genetics is showing us what many scientists have suspected for years ― foods can immediately influence the genetic blueprint. This information helps us better understand that genes are under our control and not something we must obey. Consider identical twins; both individuals are given the same genes. In midlife, one twin develops cancer, and the other lives a long healthy life without cancer. A specific gene instructed one twin to develop cancer, but in the other the same gene did not initiate the disease. One possibility is that the healthy twin had a diet that turned off the cancer gene ― the same gene that instructed the other person to get sick. For many years, scientists have recognize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chemical toxins (tobacco for example), can contribute to cancer through their actions on genes. The notion that food has a specific influence on gene expression is relatively new.
성장하고 있는 유전학 분야는 많은 과학자가 여러 해 동안 의구심을 가져왔던 것, 즉 식품이 유전자 청사진에 직접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 이 정보는 유전자가 우리의 통제 하에 있는 것이지 우리가 복종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더 잘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일란성 쌍둥이를 생각해보자. 두 사람은 모두 똑같은 유전자를 부여받는다. 중년에, 쌍둥이 중 한 명은 암에 걸리고, 다른 한 명은 암 없이 건강하게 오래 산다. 특정 유전자가 쌍둥이 중 한 명에게 암에 걸리도록 명령했지만, 나머지 한 명에서는 똑같은 유전자가 그 질병을 발생시키지 않았다. 한 가지 가능성은 쌍둥이 중 건강한 사람이 암 유전자, 즉 나머지 한 명이 병에 걸리도록 명령했던 그 똑같은 유전자를 차단하는 식사를 했다는 것이다. 여러 해 동안 과학자들은 화학적 독소(예를 들어 담배)와 같은 다른 환경적 요인들이 유전자에 작용하여 암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해 왔다. 음식이 유전자 발현에 특정한 영향을 미친다는 생각은 비교적 새로운 것이다.
35.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There are many superstitions surrounding the world of the theater. Superstitions can be anything from not wanting to say the last line of a play before the first audience comes, to not wanting to rehearse the curtain call before the final rehearsal. Shakespeare's famous tragedy Macbeth is said to be cursed, and to avoid problems actors never say the title of the play out loud when inside a theater or a theatrical space (like a rehearsal room or costume shop). Since the play is set in Scotland, the secret code you say when you need to say the title of the play is “the Scottish play”. If you do say the title by accident, legend has it that you have to go outside, turn around three times, and come back into the theater.
연극계를 둘러싸고 있는 많은 미신이 있다. 미신은 첫 관객이 오기 전에 연극의 마지막 대사를 말하지 말아야 하는 것에서부터, 마지막 예행연습 전에 커튼콜을 예행연습하지 말아야 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무엇이든 될 수 있다. 셰익스피어의 유명한 비극 ‘Macbeth’는 저주받았다는 이야기가 있으며, 문제를 피하고자 배우들은 극장이나 (예행연습실이나 의상실 같은) 극장 공간 내에서 그 연극의 제목을 절대 소리 내어 말하지 않는다. 그 연극은 스코틀랜드를 배경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연극의 제목을 말할 필요가 있을 때 말하는 암호는 ‘그 스코틀랜드 연극’이다. 우연히 제목을 정말 말하게 된다면, 밖으로 나가 세 바퀴를 돌고 극장으로 다시 돌아와야 한다는 전설이 있다.
36.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Habits create the foundation for mastery. In chess, it is only after the basic movements of the pieces have become automatic that a player can focus on the next level of the game. Each chunk of information that is memorized opens up the mental space for more effortful thinking. This is true for anything you attempt. When you know the simple movements so well that you can perform them without thinking, you are free to pay attention to more advanced details. In this way, habits are the backbone of any pursuit of excellence. However, the benefits of habits come at a cost. At first, each repetition develops fluency, speed, and skill. But then, as a habit becomes automatic, you become less sensitive to feedback. You fall into mindless repetition. It becomes easier to let mistakes slide. When you can do it “good enough” automatically, you stop thinking about how to do it better.
습관은 숙달의 토대를 만든다. 체스에서 체스를 두는 사람이 게임의 다음 레벨에 집중할 수 있게 되는 것은 오직 말의 기본적인 움직임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고 나서이다. 암기된 각각의 정보 덩어리는 더 노력이 필요한 사고를 할 수 있도록 정신적 공간을 열어준다. 이것은 여러분이 시도하는 어떤 것에도 적용된다. 간단한 동작을 매우 잘 알고 있어서 생각하지 않고도 할 수 있을 때, 더 높은 수준의 세부 사항에 자유롭게 집중하게 된다. 이런 식으로, 습관은 그 어떤 탁월함을 추구할 때도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습관의 이점에는 대가가 따른다. 처음에, 각각의 반복은 유창함, 속도, 그리고 기술을 발달시킨다. 그러나 그 다음에 습관이 자동화되면서 여러분은 피드백에 덜 민감해지게 된다. 여러분은 무의식적인 반복으로 빠져든다. 실수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기가 더 쉬워진다. 여러분이 저절로 ‘충분히 잘’ 할 수 있을 때, 그것을 더 잘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생각하기를 멈춘다.
37.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Regardless of whether the people existing after agriculture were happier, healthier, or neither, it is undeniable that there were more of them. Agriculture both supports and requires more people to grow the crops that sustain them. Estimates vary, of course, but evidence points to an increase in the human population from 1-5 million people worldwide to a few hundred million once agriculture had become established. And a larger population doesn't just mean increasing the size of everything, like buying a bigger box of cereal for a larger family. It brings qualitative changes in the way people live. For example, more people means more kinds of diseases, particularly when those people are sedentary. Those groups of people can also store food for long periods, which creates a society with haves and havenots.
*sedentary: 한 곳에 정착해 있는
농경 이후에 존재했던 사람들이 더 행복했든, 더 건강했든, 아니면 둘 다 아니었든 간에 관계없이, 더 많은 수의 사람들이 있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농경은 더 많은 사람을 부양하는 동시에, 그들을 지탱해주는 농작물을 기를 더 많은 사람을 필요로 한다. 물론, 추정치는 다양하지만, 증거는 농경이 확립된 후 전 세계적으로 인구가 1~5백만 명에서 수억 명으로 증가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더 큰 가족을 위해 더 큰 상자의 시리얼을 사는 것 같이, 더 많은 인구는 단지 모든 것의 규모를 확장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것은 사람들의 생활 방식에 질적인 변화를 가져온다. 예를 들어 더 많은 사람은 더 많은 종류의 질병을 의미하는데, 특히 그 사람들이 한 곳에 정착해 있을 때 그렇다. 그러한 사람들의 집단은 또한 음식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고, 이것은 가진 자와 가지지 못한 자로 이루어진 사회를 만들어 낸다.
38.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The boundary between uniquely human creativity and machine capabilities continues to change. Returning to the game of chess, back in 1956, thirteenyearold child prodigy Bobby Fischer made a pair of remarkably creative moves against grandmaster Donald Byrne. First he sacrificed his knight, seemingly for no gain, and then exposed his queen to capture. On the surface, these moves seemed insane, but several moves later, Fischer used these moves to win the game. His creativity was praised at the time as the mark of genius. Yet today if you program that same position into an ordinary chess program, it will immediately suggest the exact moves that Fischer made. It's not because the computer has memorized the FischerByrne game, but rather because it searches far enough ahead to see the these moves really do pay off.
*prodigy: 신동, 영재
인간 고유의 창의력과 기계의 능력 사이의 경계가 계속 변화하고 있다. 과거 1956년의 체스 게임으로 돌아가 보면, 13세 신동 Bobby Fischer는 거장 Donald Byrne을 상대로 대단히 창의적인 두 수를 두었다. 먼저 그는 겉으로 보기에 아무런 이득도 없이 자신의 나이트를 희생시켰고, 그런 다음 퀸을 노출시켜 잡히게 했다. 겉으로 보기에는 이렇게 말을 쓰는 것이 비상식적으로 보였지만, 몇 수를 더 두고 나서, Fischer는 이 수를 이용하여 그 게임에서 승리했다. 당시 그의 창의성은 천재성을 나타내는 표시로 칭송받았다. 하지만 오늘날 보통의 체스 프로그램에 그와 똑같은 배치를 설정하면, 그것은 즉시 Fischer가 두었던 바로 그 수를 제안할 것이다. 그것은 컴퓨터가 Fischer와 Byrne의 게임을 암기했기 때문이 아니라, 이러한 수가 실제로 성과를 거둔다는 것을 볼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멀리 앞을 탐색하기 때문이다.
39.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Of all the medical achievements of the 1960s, the most widely known was the first heart transplant, performed by the South African surgeon Christiaan Barnard in 1967. The patient's death 18 days later did not weaken the spirits of those who welcomed a new era of medicine. The ability to perform heart transplants was linked to the development of respirators, which had been introduced to hospitals in the 1950s. Respirators could save many lives, but not all those whose hearts kept beating ever recovered any other significant functions. In some cases, their brains had ceased to function altogether. The realization that such patients could be a source of organs for transplantation led to the setting up of the Harvard Brain Death Committee, and to its recommendation that the absence of all “discernible central nervous system activity” should be “a new criterion for death”. The recommendation has since been adopted, with some modifications, almost everywhere.
*respirator: 인공호흡기 **discernible: 식별 가능한 ***criterion: 기준
1960년대의 모든 의학적 성취 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1967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외과 의사Christiaan Barnard에 의해서 행해진 최초의 심장 이식이었다. 18일 후에 그 환자가 사망한 것이 의학의 새로운 시대를 환영하는 사람들의 사기를 떨어뜨리지 않았다. 심장 이식을 할 수 있는 능력은 1950년대에 병원에 도입된 인공호흡기의 개발과 관련이 있었다. 인공호흡기는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었지만, 심장이 계속해서 뛰는 사람들이 모두 다 어떤 다른 중요한 기능을 회복한 것은 아니었다. 어떤 경우에는 그들의 뇌가 완전히 기능을 멈추었다. 그러한 환자들이 이식용 장기 공급자가 될 수 있다는 인식으로 인해 하버드 뇌사 위원회가 설립되었고, 모든 ‘식별 가능한 중추 신경계 활동’의 부재는 ‘사망의 새로운 기준’이 되어야 한다는 그 위원회의 권고로 이어졌다. 그 권고는 그 후 일부 수정을 거쳐 거의 모든 곳에서 받아들여졌다.
'2020 모의고사 자료 > 고2'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6월 고2 모의고사 본문영작연습 / 본문해석연습 (0) | 2020.07.29 |
---|---|
2020년 6월 고2 모의고사 어휘정리 / 어휘테스트 자료 (0) | 2020.07.29 |
2020년 6월 고2 모의고사 본문 좌본우해 / 한줄 해석 자료 (0) | 2020.07.29 |
2020년 3월 고2 모의고사 워크북(나눔) (0) | 2020.07.29 |
2020년 3월 고2 모의고사 어휘정리 / 어휘테스트 자료 (0) | 2020.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