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06 고1 EF001 어휘정리.pdf
0.80MB
2006 고1 EF001-1 어휘테스트.pdf
0.38MB
2006 고1 EF001-2 의미테스트.pdf
0.49MB

 

영어농장 모의고사 자료 목록

EF000 좌본우해

EF001 어휘정리 EF002 본문 한줄해석

EF003 본문영작연습 EF004 본문해석연습

EF005 내용일치 EF006 글의순서

EF007 문장삽입 EF008 어법어휘선택

EF01 종합변형문제 EF02 워크북 (EF002, EF005~8 합본)

 

전체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파카의 영어농장 http://cafe.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 네이버 카페

고등부 학생들, 고등부 선생님들께 필요한 모의고사 위주의 자료를 제공하는 영어카페입니다.

cafe.naver.com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쌤의 영어교실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학생은 없다,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blog.naver.com

 

영어회복제 Pacas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영어회복제Pacas

- 우리동네영어쌤 Alpaca Since 2019. 8. - 채널명을 변경하였습니다~* 올해 1월에 이사를 하고, 공부방을 열어 2월 1일 부터 첫 수업을 진행했어요~ 고3 수강생이 아직 1명이라 강의를 보면 수업 초점이

www.youtube.com

 


22.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A goaloriented mindset can create a “yoyo” effect. Many runners work hard for months, but as soon as they cross the finish line, they stop training. The race is no longer there to motivate them. When all of your hard work is focused on a particular goal, what is left to push you forward after you achieve it? This is why many people find themselves returning to their old habits after accomplishing a goal. The purpose of setting goals is to win the game. The purpose of building systems is to continue playing the game. True longterm thinking is goalless thinking. It's not about any single accomplishment. It is about the cycle of endless refinement and continuous improvement. Ultimately, it is your commitment to the process that will determine your progress.

목표 지향적인 사고방식은 요요효과를 낼 수 있다. 많은 달리기 선수들이 몇 달 동안 열심히 연습하지만, 결승선을 통과하는 순간 훈련을 중단한다. 그 경기는 더 이상 그들에게 동기를 주지 않는다. 당신이 애쓰는 모든 일이 특정한 목표에 집중될 때, 당신이 그것을 성취한 후에 당신을 앞으로 밀고 나갈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이것이 많은 사람들이 목표를 성취한 후 옛 습관으로 되돌아가는 자신을 발견하는 이유다. 목표를 설정하는 목적은 경기에서 이기는 것이다. 시스템을 구축하는 목적은 게임을 계속하기 위한 것이다. 진정한 장기적 사고는 목표 지향적이지 않은 사고이다. 그것은 어떤 하나의 성취에 관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끝없는 정제와 지속적인 개선의 순환에 관한 것이다. 궁극적으로, 당신의 발전을 결정짓는 것은 그 과정에 당신이 전념하는 것이다.

 

23.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Like anything else involving effort, compassion takes practice. We have to work at getting into the habit of standing with others in their time of need. Sometimes offering help is a simple matter that does not take us far out of our wayremembering to speak a kind word to someone who is down, or spending an occasional Saturday morning volunteering for a favorite cause. At other times, helping involves some real sacrifice. “A bone to the dog is not charity,” Jack London observed. “Charity is the bone shared with the dog, when you are just as hungry as the dog.” If we practice taking the many small opportunities to help others, we'll be in shape to act when those times requiring real, hard sacrifice come along.

노력과 관련된 다른 어떤 것과 마찬가지로, 연민은 연습이 필요하다. 우리는 곤경에 빠진 다른 사람들과 함께 하는 습관을 기르는 데 매진해야 한다. 때때로 도움을 주는 것은 우리의 일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단순한 일낙담한 사람에게 친절한 말을 해 줄 것을 기억하거나 가끔 토요일 아침에 좋아하는 자원 봉사를 하는 것이다. 다른 때에는, 남을 돕는 것은 진정한 희생을 수반한다. Jack London개에게 뼈를 주는 것은 자선이 아니다. 당신이 개만큼 배가 고플 때 개와 함께 나누는 그 뼈가 자선이다.”라고 했다. 만약 우리가 다른 사람들을 돕기 위해 많은 작은 기회들을 가지는 연습을 하면, 우리는 진정한 힘든 희생이 필요한 시기가 올 때 행동할 준비가 될 것이다.

 

24.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Every event that causes you to smile makes you feel happy and produces feelgood chemicals in your brain. Force your face to smile even when you are stressed or feel unhappy. The facial muscular pattern produced by the smile is linked to all the “happy networks” in your brain and will in turn naturally calm you down and change your brain chemistry by releasing the same feelgood chemicals. Researchers studied the effects of a genuine and forced smile on individuals during a stressful event. The researchers had participants perform stressful tasks while not smiling, smiling, or holding chopsticks crossways in their mouths (to force the face to form a smil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smiling, forced or genuine, during stressful events reduced the intensity of the stress response in the body and lowered heart rate levels after recovering from the stress.

여러분을 미소 짓게 만드는 온갖 사건들은 여러분이 행복감을 느끼게 하고, 여러분의 뇌에서 기분을 좋게 만들어주는 화학물질을 생산해내도록 한다. 심지어 스트레스를 받거나 불행하다고 느낄 때조차 미소를 지어보자. 미소에 의해 만들어지는 안면 근육의 형태는 뇌의 모든 행복 연결망과 연결되어 있고, 따라서 자연스럽게 여러분을 안정시키고 기분을 좋게 만들어주는 동일한 화학물질들을 배출함으로써 뇌의 화학 작용을 변화시킬 것이다. 연구자들은 스트레스가 상당한 상황에서 진정한 미소와 억지 미소가 개개인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자들은 참가자들이 미소 짓지 않거나, 미소 짓거나, (억지 미소를 짓게 하기 위해) 입에 젓가락을 옆으로 물고서 스트레스를 수반한 과업을 수행하도록 했다. 연구의 결과는 미소가, 억지이든 진정한 것이든, 스트레스가 상당한 상황에서 인체의 스트레스 반응의 강도를 줄였고, 스트레스로부터 회복한 후의 심장 박동률의 수준도 낮추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26. Sigrid Undset에 관한 다음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Sigrid Undset was born on May 20, 1882, in Kalundborg, Denmark. She was the eldest of three daughters. She moved to Norway at the age of two. Her early life was strongly influenced by her father's historical knowledge. At the age of sixteen, she got a job at an engineering company to support her family. She read a lot, acquiring a good knowledge of Nordic as well as foreign literature, English in particular. She wrote thirty six books. None of her books leaves the reader unconcerned. She received the Nobel Prize for Literature in 1928. One of her novels has been translated into more than eighty languages. She escaped Norway during the German occupation, but she returned after the end of World War .

*Nordic: 북유럽 사람()

Sigrid Undset1882520일 덴마크의 Kalundborg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세 자매 중 첫째 딸이었다. 그녀는 2살에 노르웨이로 이주하였다. 그녀의 어린 시절은 아버지의 역사적 지식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그녀는 16세에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기술 회사에 취업을 하였다. 그녀는 책을 많이 읽었고, 외국 문학, 특히 영국 문학 뿐만 아니라, 북유럽 문학에 관한 상당한 지식을 습득하였다. 그녀는 36권의 책을 집필하였다. 독자의 관심을 끌지 못한 책은 없다. 1928년에 그녀는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였다. 그녀의 소설 중 한 권은 8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그녀는 독일 점령 기간 중 노르웨이를 떠났으나, 2차 세계대전이 종료된 후 돌아왔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