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211 고2 EF000 좌본우해.pdf
4.93MB
2211 고2 EF001 어휘정리.pdf
0.61MB
2211 고2 EF001-1 의미테스트.pdf
0.47MB
2211 고2 EF001-2 철자테스트.pdf
0.30MB


2211 고2 EF000 좌본우해s.pdf
4.58MB
2211 고2 EF001 어휘정리s.pdf
0.54MB
2211 고2 EF001-1 의미테스트s.pdf
0.40MB
2211 고2 EF001-2 철자테스트s.pdf
0.22MB


파일명 뒤에 's' 가 붙은 자료가 로고가 없는 자료입니다~!

 

※ 타 카페 / 블로그에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 PDF로만 파일을 제공합니다.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만덕영어학원][만덕영어과외]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무능한 학생은 없다

blog.naver.com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알파카의영어농장

학생들과 호흡하며 수업을 진행하다보니 때로는 느슨한 호흡으로 진행할 수 밖에 없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교과 어휘 및 본문 자료, 모의고사 관련 변형 등 관련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를 통해

www.youtube.com

 


20.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Clarity in an organization keeps everyone working in one accord and energizes key leadership components like trust and transparency. No matter who or what is being assessed in your organization, what they are being assessed on must be clear and the people must be aware of it. If individuals in your organization are assessed without knowing what they are being assessed on, it can cause mistrust and move your organization away from clarity. For your organization to be productive, cohesive, and successful, trust is essential. Failure to have trust in your organization will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results of any assessment. It will also significantly hinder the growth of your organization. To conduct accurate assessments, trust is a must ― which comes through clarity. In turn, assessments help you see clearer, which then empowers your organization to reach optimal success.

조직 내의 신뢰와 조직의 성공을 위해 필요한 명확성

조직에서의 명확성은 모두가 계속 조화롭게 일하게 하고 신뢰와 투명성 같은 핵심적인 리더십 요소에 활력을 준다. 여러분의 조직에서 누가 또는 무엇이 평가되고 있는지 간에 그들이 무엇에 대해 평가되고 있는지는 분명해야 하고 사람들은 그것을 알고 있어야 한다. 만약 여러분의 조직에 있는 개개인들이 그들이 무엇에 대해 평가되고 있는지를 알지 못한 채로 평가된다면 그것은 불신을 초래하고 여러분의 조직을 명확성으로부터 멀어지게 할 수 있다. 여러분의 조직이 생산적이고 응집력이 있고 성공적이기 위해서는 신뢰가 필수적이다. 여러분의 조직에 대한 신뢰를 갖지 못하는 것은 어떤 평가의 결과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다. 그것은 또한 여러분의 조직의 성장을 상당히 방해할 것이다. 정확한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신뢰는 필수적인 것이고, 그것은 명확성으로부터 온다. 결국, 평가는 여러분이 더 분명하게 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그것은 그러고 나서 여러분의 조직이 최적의 성공에 도달하도록 해 준다.

21. 밑줄 친 "eating my problems for breakfast"가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Research in the science of peak performance and motivation points to the fact that different tasks should ideally be matched to our energy level. For example, analytical tasks are best accomplished when our energy is high and we are free from distractions and able to focus. I generally wake up energized. Over the years, I have consistently stuck to the habit of “eating my problems for breakfast.” I'm someone who tends to overthink different scenarios and conversations that haven't happened yet. When I procrastinate on talking with an unhappy client or dealing with an unpleasant email, I find I waste too much emotional energy during the day. It's as if the task hangs over my head, and I'll spend more time worrying about it, talking about it, and avoiding it, than it would actually take to just take care of it. So for me, it'll always be the first thing I get done. If you know you are not a morning person, be strategic about scheduling your difficult work later in the day.

*procrastinate 미루다

어려운 일은 하루 중 에너지가 가장 충만한 때에 다루어야 한다

최고의 수행과 동기 부여에 대한 과학 연구는 각각의 일이 우리의 에너지 수준에 이상적으로 맞춰져야 한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예를 들어 분석적인 일은 우리의 에너지가 높고 방해물이 없으며 집중할 수 있을 때 가장 잘 수행된다. 나는 보통 활기찬 상태로 일어난다. 몇 년 동안 나는 ‘아침 식사로 나의 문제를 먹는’ 습관을 꾸준히 고수해 왔다. 나는 아직 일어나지 않은 다양한 시나리오와 대화를 너무 많이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사람이다. 불만족스러워하는 고객과 이야기하거나 불쾌한 이메일을 처리하는 것을 미룰 때 나는 낮 동안에 너무 많은 감정적인 에너지를 낭비한다고 생각한다. 마치 그 일이 뇌리에서 떠나지 않는 것 같고, 나는 그것을 단지 처리하는 데 실제로 걸리는 것보다 더 많은 시간을 그것에 대해 걱정하고, 그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그리고 그것을 피하는 데 보낼 것이다. 그래서 나에게는 그것이 항상 내가 끝내는 첫 번째 일이 될 것이다. 만약 여러분이 자신이 아침형 인간이 아니라는 것을 안다면, 여러분의 어려운 일을 오후 늦은 시간에 하도록 일정을 짜는 것에 대한 전략을 세우라.

22.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In one study, when researchers suggested that a date was associated with a new beginning (such as “the first day of spring”), students viewed it as a more attractive time to kick-start goal pursuit than when researchers presented it as an unremarkable day (such as “the third Thursday in March”). Whether it was starting a new gym habit or spending less time on social media, when the date that researchers suggested was associated with a new beginning, more students wanted to begin changes right then. And more recent research by a different team found that similar benefits were achieved by showing goal seekers modified weekly calendars. When calendars depicted the current day (either Monday or Sunday) as the first day of the week, people reported feeling more motivated to make immediate progress on their goals.

새로운 시작과 관련된 날짜가 목표 추구와 동기 부여에 미치는 영향

한 연구에서 연구자들이 날짜가 새 시작 (‘봄의 첫 번째 날’처럼)과 관련이 있다고 제시했을 때, 연구자들이 그것을 평범한 날 (‘3월의 세 번째 목요일’처럼)로 제시했을 때보다 학생들은 그것을 목표 추구를 시작하기에 더 매력적인 때로 보았다. 그것이 새로운 운동 습관을 시작하는 것이든 혹은 소셜 미디어에 시간을 덜 쓰는 것이든 연구자들이 제시하는 날짜가 새로운 시작과 관련될 때 더 많은 학생들이 바로 그때 변화를 시작하기를 원했다. 그리고 다른 팀에 의한 더 최근의 연구는 목표를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수정된 주간 일정표를 보여 줌으로써 비슷한 이점들이 얻어졌다는 것을 알아냈다. 달력이 오늘을 (월요일이든 일요일이든) 한 주의 첫날로 표현했을 때, 사람들은 그들의 목표에 대한 즉각적인 진전을 이루는 데 더욱 동기 부여가 되는 것을 느낀다고 보고했다.

23.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Native Americans often sang and danced in preparation for launching an attack. The emotional and neurochemical excitement that resulted from this preparatory singing gave them stamina to carry out their attacks. What may have begun as an unconscious, uncontrolled act ― rushing their victims with singing and beating drums in a frenzy ― could have become a strategy as the victors saw firsthand the effect their actions had on those they were attacking. Although war dances risk warning an enemy of an upcoming attack, the arousal and synchronizing benefits for the attackers may compensate for the loss of surprise. Humans who sang, danced, and marched may have enjoyed a strong advantage on the battlefield as well as intimidated enemies who witnessed such a spectacle. Nineteenth-and twentieth-century Germans feared no one more than the Scots ― the bagpipes and drums were disturbing in their sheer loudness and visual spectacle.

*frenzy 격분 **synchronize 동시에 움직이게 하다

전쟁 시 적을 교란시키는 노래와 춤

북미 원주민들은 공격을 개시하기 위한 준비로 종종 노래를 불렀고 춤을 췄다. 이러한 준비의 노래에서 야기된 감정적이고 신경 화학적인 흥분 상태가 그들의 공격을 수행하기 위한 힘을 그들에게 제공했다. 무의식적이고 억제되지 않는 행동으로서 시작했을지도 모르는 것, 즉 격분하여 노래를 부르고 드럼을 치는 것으로 그들의 희생자를 공격하는 것은 승리자들이 그들이 공격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자신들의 행동이 미치는 영향을 직접 목격하면서 전략이 되었을 수도 있다. 비록 전쟁의 춤이 적에게 곧 있을 공격을 경고해 주는 위험을 감수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공격자들에게 주는 정서적 자극과 동시에 움직이게 하는 이점이 기습의 상실을 보상해 줄 수 있다. 노래하고, 춤추고, 행진했던 사람들은 그러한 장관을 목격한 적들을 겁먹게 했을 뿐만 아니라 전쟁터에서 강한 우세를 누렸을지도 모른다. 19세기와 20세기의 독일인들은 스코틀랜드인들을 가장 무서워했는데, 백파이프와 드럼이 순전한 시끄러움과 시각적인 장관으로 교란시켰다.

24.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recent “cycling as a lifestyle” craze has expressed itself i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active cyclists and in growth of cycling club membership in several European, American, Australian and Asian urban areas. It has also been accompanied by a symbolic reinterpretation of the bicycle. After the bicycle had been associated with poverty for many years, expensive recreational bicycles or recreationally-inspired commuting bicycles have suddenly become aspirational products in urban environments. In present times, cycling has become an activity which is also performed for its demonstrative value, its role in identity construction and its effectiveness in impressing others and signaling social status. To a certain extent, cycling has turned into a symbolic marker of the well-off. Obviously, value-laden consumption behavior is by no means limited to cycling. However, the link with identity construction and conspicuous consumption has become particularly manifest in the case of cycling.

*conspicuous 눈에 잘 띄는

자전거가 암시하는 위상의 변화

최근의 ‘생활 양식으로서의 자전거 타기’ 열풍은 유럽, 미국, 호주 그리고 아시아의 몇몇 도시 지역에서 적극적으로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 수의 증가와 자전거 타기 클럽 회원의 성장으로 나타났다. 그것은 또한 자전거의 상징적인 재해석과 동반되어 왔다. 자전거가 수년 동안 가난과 연관되었던 이후로, 비싼 여가용 자전거 또는 여가용으로부터 영감을 얻은 통근용 자전거가 도시 환경에서 갑자기 열망의 상품이 되었다. 현재 자전거 타기가 그것의 드러내 놓고 표현하는 가치, 정체성 형성에 있어서의 그것의 역할, 그리고 타인에게 깊은 인상을 주고 사회적 지위를 암시하는 것에 있어서의 그것의 효과를 위해 수행되기도 하는 활동이 되었다. 어느 정도는 자전거 타기가 부유한 사람들의 상징적 표시로 바뀌었다. 분명히 가치를 지닌 소비 행위는 자전거 타기에 결코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정체성 형성과 과시적 소비와의 관련성은 자전거 타기의 경우에 특히 분명해졌다.

26. Janaki Ammal에 관한 다음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Janaki Ammal, one of India's most notable scientists, was born in 1897, and was expected to wed through an arranged marriage. Despite living at a time when literacy among women in India was less than one percent, she decided to reject tradition and attend college. In 1924, she went to the U.S. and eventually received a doctorate in botany from the University of Michigan. Ammal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sweetest sugarcane variety in the world. She moved to England where she co-authored the Chromosome Atlas of Cultivated Plants. Following a series of famines, she returned to India to help increase food production at the request of the Prime Minister. However, Ammal disagreed with the deforestation taking place in an effort to grow more food. She became an advocate for the preservation of native plants and successfully saved the Silent Valley from the construction of a hydroelectric dam.

과학자 Janaki Ammal

인도의 가장 유명한 과학자 중 한 명인 Janaki Ammal은 1897년에 태어났고, 중매를 통해 결혼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인도 여성들의 식자율이 1%보다 낮았던 시기에 살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관습을 따르지 않고 대학에 입학하기로 결심했다. 1924년에 그녀는 미국으로 갔고 마침내 Michigan 대학에서 식물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Ammal은 세계에서 가장 단 사탕수수 품종 개발에 기여했다. 그녀는 영국으로 건너가 그곳에서 Chromosome Atlas of Cultivated Plants를 공동 집필했다. 연이은 기근이 있은 후, 그녀는 수상의 요청으로 식량 생산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인도로 돌아갔다. 그러나 Ammal은 더 많은 식량을 재배하기 위한 노력으로써 삼림 벌채가 일어나는 것에 동의하지 않았다. 그녀는 토종 식물 보존에 대한 옹호자가 되었고, 수력 발전 댐의 건설로부터 Silent Valley를 성공적으로 지켰다.

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Pre-emption means that a strategy is designed to prevent a rival from starting some particular activity. In some case a pre-emptive move may simply be an announcement of some intent that might discourage rivals from doing the same. The idea of pre-emption implies that timing is sometimes very important ― a decision or an action at one point in time might be much more rewarding than doing it at a different time point. Pre-emption may involve up-weighting advertising for a period before and during when a new entrant launches into a market. The intent is to make it more difficult for the new entrant's advertising to make an impression on potential buyers. Product proliferation is another potential pre-emption strategy. The general idea is to launch a large variety of product variants so that there is very little in the way of market demand that is not accommodated. Arguably, if a market is already filled with product variants it is more difficult for competitors to find untapped pockets of market demand.

*pre-emption 선매 행위 **proliferation 확산

시장경쟁자를 견제하는 수단으로서의 선매 행위

선매 행위는 어떤 전략이 경쟁자로 하여금 어떤 특정한 활동을 시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경우에는 선제적 조치는 단순히 경쟁자들이 같은 행동을 하는 것을 단념시킬 수 있는 어떤 의도의 공표일 수도 있다. 선매 행위 개념은 때로 타이밍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암시하는데, 즉 어떤 시점의 결정이나 조치는 다른 시점에 그것을 하는 것보다 훨씬 더 득이 될 수 있다. 선매 행위는 새로운 진입자가 시장에 진출하기 이전과 진출해 있는 동안에 광고의 가중치를 높이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취지는 신규 진입자의 광고가 잠재적 구매자들에게 인상을 남기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드는 것이다. 제품 확산은 또 다른 잠재적인 선매 행위 전략이다. 일반적인 아이디어는 수용되지 않는 시장 수요의 방식이 거의 없도록 다양한 제품 변형을 출시하는 것이다. 거의 틀림없이, 만약 시장이 제품 변형으로 이미 채워져 있다면 경쟁자들은 아직 점유되지 않은 시장 수요 주머니를 찾기가 더 어렵다.

반응형
반응형

2211 고1 EF000 좌본우해.pdf
4.66MB
2211 고1 EF001 어휘정리.pdf
0.55MB
2211 고1 EF001-1 의미테스트.pdf
0.43MB
2211 고1 EF001-2 철자테스트.pdf
0.28MB


2211 고1 EF000 좌본우해s.pdf
4.31MB
2211 고1 EF001 어휘정리s.pdf
0.50MB
2211 고1 EF001-1 의미테스트s.pdf
0.36MB
2211 고1 EF001-2 철자테스트s.pdf
0.22MB

 

파일명 뒤에 's' 가 붙은 자료가 로고가 없는 자료입니다~!

 

※ 타 카페 / 블로그에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 PDF로만 파일을 제공합니다.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만덕영어학원][만덕영어과외]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무능한 학생은 없다

blog.naver.com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알파카의영어농장

학생들과 호흡하며 수업을 진행하다보니 때로는 느슨한 호흡으로 진행할 수 밖에 없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교과 어휘 및 본문 자료, 모의고사 관련 변형 등 관련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를 통해

www.youtube.com

 


20.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You already have a business and you're about to launch your blog so that you can sell your product. Unfortunately, here is where a ‘business mind’ can be a bad thing. Most people believe that to have a successful business blog promoting a product, they have to stay strictly ‘on the topic.’ If all you're doing is shamelessly promoting your product, then who is going to want to read the latest thing you're writing about? Instead, you need to give some useful or entertaining information away for free so that people have a reason to keep coming back. Only by doing this can you create an interested audience that you will then be able to sell to. So, the best way to be successful with a business blog is to write about things that your audience will be interested in.

상업용 블로그는 흥미 있는 정보로 고객을 끌어들여야 한다

여러분은 이미 사업체를 가지고 있고 여러분의 제품을 팔 수 있도록 여러분의 블로그를 시작하려는 참이다. 유감스럽게도, 여기가 ‘비즈니스 정신’이 나쁜 것이 될 수 있는 지점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제품을 홍보하는 성공적인 상업용 블로그를 가지기 위해서 그들이 엄격하게 ‘그 주제에’ 머물러야 한다고 믿는다. 만일 여러분이 하는 일의 전부가 뻔뻔스럽게 여러분의 제품을 홍보하는 것이라면, 그렇다면 누가 여러분이 쓰고 있는 최신의 것을 읽고 싶어할까? 대신에, 사람들이 계속해서 다시 방문할 이유를 가지도록 여러분은 어떤 유용하거나 재미있는 정보를 무료로 줄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해야만 여러분은 여러분이 그 다음에 판매를 할 수 있게 될 관심 있는 독자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상업용 블로그로 성공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여러분의 독자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것들에 대해 쓰는 것이다.

21. 밑줄 친 challenge this sacred cow가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Our language helps to reveal our deeper assumptions. Think of these revealing phrases: When we accomplish something important, we say it took “blood, sweat, and tears.” We say important achievements are “hard-earned.” We recommend a “hard day's work” when “day's work” would be enough. When we talk of “easy money,” we are implying it was obtained through illegal or questionable means. We use the phrase “That's easy for you to say” as a criticism, usually when we are seeking to invalidate someone's opinion. It's like we all automatically accept that the “right” way is, inevitably, the harder one. In my experience this is hardly ever questioned. What would happen if you do challenge this sacred cow? We don't even pause to consider that something important and valuable could be made easy. What if the biggest thing keeping us from doing what matters is the false assumption that it has to take huge effort?

*invalidate 틀렸음을 입증하다

가치 있는 일은 반드시 어려운 것이라 여기는 관념에 대한 의문 제기

우리의 언어는 우리의 더 깊은 전제를 드러내는 것을 돕는다. 이것을 잘 드러내는 다음과 같은 문구들을 생각해 보라. 우리가 중요한 무언가를 성취할 때, 우리는 그것이 ‘피, 땀, 그리고 눈물’을 필요로 했다고 말한다. 우리는 중요한 성과는 ‘힘들게 얻은’ 것이라고 말한다. 우리는 ‘하루 동안의 일’이라는 말로도 충분할 때 ‘힘든 하루 동안의 일’이라는 말을 권한다. 우리가 ‘쉬운 돈’이라는 말을 할 때, 우리는 그것이 불법적이거나 의심스러운 수단을 통해 얻어졌다는 것을 넌지시 드러내고 있다. 우리는 보통 누군가의 의견이 틀렸음을 입증하려고 할 때, 우리는 ‘말은 쉽지’라는 문구를 비판으로 사용한다. 이는 마치 우리 모두가 ‘올바른’ 방법은 반드시 더 어려운 방법이라는 것을 자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과 같다. 나의 경험상 이것은 거의 한 번도 의문이 제기되지 않는다. 만약 여러분이 정말로 이 신성한 소에 맞선다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우리는 중요하고 가치 있는 무언가를 쉬운 것으로 만들 수 있다고 잠시 멈춰 생각해 보지도 않는다. 만약 우리가 중요한 일을 하지 못하게 하는 가장 큰 것이 중요한 일은 엄청난 노력을 필요로 한다는 잘못된 전제라면 어떨까?

22.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old saying is that “knowledge is power,” but when it comes to scary, threatening news, research suggests the exact opposite. Frightening news can actually rob people of their inner sense of control, making them less likely to take care of themselves and other people. Public health research shows that when the news presents health-related information in a pessimistic way, people are actually less likely to take steps to protect themselves from illness as a result. A news article that's intended to warn people about increasing cancer rates, for example, can result in fewer people choosing to get screened for the disease because they're so terrified of what they might find. This is also true for issues such as climate change. When a news story is all doom and gloom, people feel depressed and become less interested in taking small, personal steps to fight ecological collapse.

비관적인 방식으로 제시되는 정보에 사람들은 소극적으로 반응한다

오래된 격언에 따르면 ‘아는 것이 힘이다’라고 하지만, 무섭고 위협적인 뉴스에 관한 한, 연구는 정반대를 시사한다. 두려움을 주는 뉴스는 실제로 사람들로부터 내면의 통제력을 빼앗을 수 있어서, 그들이 스스로와 다른 사람들을 돌볼 가능성을 더 낮게 만든다. 공중 보건 연구는 뉴스가 건강과 관련된 정보를 비관적인 방식으로 제시할 때, 결과적으로 사람들이 질병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실제로 더 낮다는 것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증가하는 암 발생률에 대해 사람들에게 경고하려 하는 뉴스 기사는 그들이 발견할지도 모를 것에 대해 너무 두려워하기 때문에 더 적은 사람들이 그 병에 대해 검사받는 것을 선택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것은 기후 변화와 같은 문제에도 해당된다. 뉴스가 온통 파멸과 암울한 상황일 때, 사람들은 우울하게 느끼고 생태학적 붕괴와 싸우기 위한 작고 개인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에 흥미를 덜 느끼게 된다.

23.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most remarkable and unbelievable consequence of melting ice and rising seas is that together they are a kind of time machine, so real that they are altering the duration of our day. It works like this: As the glaciers melt and the seas rise, gravity forces more water toward the equator. This changes the shape of the Earth ever so slightly, making it fatter around the middle, which in turns slows the rotation of the planet similarly to the way a ballet dancer slows her spin by spreading out her arms. The slowdown isn't much, just a few thousandths of a second each year, but like the barely noticeable jump of rising seas every year, it adds up. When dinosaurs lived on the Earth, a day lasted only about twenty-three hours.

해수면 상승이 초래하는 지구 자전의 감속화

녹는 얼음과 상승하는 바다의 가장 놀랍고 믿을 수 없는 결과는 그것들이 합쳐서 일종의 타임머신이라는 것이고, 이것은 너무나 현실적이어서 그것들이 우리 하루의 기간을 바꾸고 있다. 그것은 이와 같이 작동한다. 즉, 빙하가 녹고 바다가 높아지면서 중력이 적도를 향해 더 많은 물을 밀어 넣는다. 이것은 지구의 모양을 아주 약간 변화시켜 가운데 주변으로 그것을 더 불룩하게 만들고, 이것은 결과적으로 발레 무용수가 양팔을 뻗어서 그녀의 회전을 늦추는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행성의 회전을 늦춘다. 이 감속이 매년 단지 몇천 분의 1초로 크지는 않지만, 해마다 상승하는 바다의 알아차리기 힘든 증가처럼, 그것은 쌓인다. 공룡들이 지구에 살았을 때, 하루는 약 23시간만 지속되었다.

24.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Have you ever brought up an idea or suggestion to someone and heard them immediately say “No, that won't work.”? You may have thought, “He/she didn't even give it a chance. How do they know it won't work?” When you are right about something, you close off the possibility of another viewpoint or opportunity. Being right about something means that “it is the way it is, period.” You may be correct. Your particular way of seeing it may be true with the facts. However, considering the other option or the other person's point of view can be beneficial. If you see their side, you will see something new or, at worse, learn something about how the other person looks at life. Why would you think everyone sees and experiences life the way you do? Besides how boring that would be, it would eliminate all new opportunities, ideas, invention, and creativity.

옳은 것이라고 굳게 여기는 관점은 무언가 배울 기회를 막는다

누군가에게 아이디어나 제안을 내놓고, 그들이 즉시 “아니, 그건 안 될 거야.”라고 말한 것을 들은 적이 있는가? 여러분은 아마도 “그 사람은 기회조차 주지 않았어. 어떻게 그들은 그것이 안 될 것이라는 것을 알지?”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여러분이 어떤 일에 대해 옳다면, 여러분은 다른 관점이나 기회의 가능성을 닫아 버린다. 어떤 일에 대해 옳다는 것은 “그것은 원래 그런 거야, 끝.”이라고 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러분이 맞을 수도 있다. 여러분이 그것을 보는 특정한 방법이 사실에 부합할 수도 있다. 하지만 다른 선택지나 다른 사람의 관점을 고려하는 것은 이로울 수 있다. 만약 여러분이 그들의 관점을 안다면, 여러분이 새로운 것을 보거나 그것보다는 나쁘더라도 다른 사람이 삶을 바라보는 방식에 대한 무언가를 배울 것이다. 왜 모두가 여러분이 하는 방식대로 삶을 보거나 경험할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그것이 얼마나 지루할지는 제외하고라도, 그것은 모든 새로운 기회, 아이디어, 발명, 그리고 창의성을 없앨 것이다.

26. Margaret Knight에 관한 다음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Margaret Knight was an exceptionally prolific inventor in the late 19th century; journalists occasionally compared her to Thomas Edison by nicknaming her “a woman Edison.” From a young age, she built toys for her older brothers. After her father died, Knight's family moved to Manchester. Knight left school in 1850, at age 12, to earn money for her family at a nearby textile factory, where she witnessed a fellow worker injured by faulty equipment. That led her to create her first invention, a safety device for textile equipment, but she never earned money from the invention. She also invented a machine that cut, folded and glued flat-bottomed paper bags and was awarded her first patent in 1871 for it. It eliminated the need for workers to assemble them slowly by hand. Knight received 27 patents in her lifetime and entered the National Inventors Hall of Fame in 2006.

*prolific 다작(多作)의 **patent 특허

발명가 Margaret Knight

Margaret Knight는 19세기 후반에 특출나게 다작한 발명가였고, 기자들은 가끔 그녀에게 ‘여자 Edison’이라는 별명을 지어 주어 Thomas Edison과 비교했다. 어린 나이부터, 그녀는 오빠들을 위해 장난감을 만들었다. 그녀의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Knight의 가족은 Manchester로 이사했다. Knight는 가족을 위해 가까이에 있는 직물 공장에서 돈을 벌기 위해 1850년, 12세의 나이에 학교를 그만두었는데, 그곳에서 그녀는 동료 노동자가 결함이 있는 장비에 의해 부상을 당하는 것을 목격했다. 그것은 그녀가 자신의 첫 번째 발명품, 즉 직물 장비에 쓰이는 안전장치를 만들도록 이끌었지만, 그녀는 결코 그 발명품으로 돈을 벌지 못했다. 그녀는 또한 밑이 평평한 종이 가방을 자르고, 접고, 붙이는 기계를 발명했고 1871년에 그것으로 자신의 첫 특허를 받았다. 그것은 작업자들이 손으로 그것들을 천천히 조립할 필요를 없앴다. Knight는 자신의 일생 동안 27개의 특허를 받았고, 2006년에 국립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

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You may have seen headlines in the news about some of the things machines power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can do. However, if you were to consider all the tasks that AI-powered machines could actually perform, it would be quite mind-blowing! One of the key featur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that it enables machines to learn new things, rather than requiring programming specific to new tasks. Therefore, the core difference between computers of the future and those of the past is that future computers will be able to learn and self-improve. In the near future, smart virtual assistants will know more about you than your closest friends and family members do. Can you imagine how that might change our lives? These kinds of changes are exactly why it is so important torecognize the implications that new technologies will have for our world.

기계가 새로운 것을 학습할 수 있게 하는 AI

여러분은 인공 지능으로 구동되는 기계가 할 수 있는 몇 가지 일에 대한 헤드라인들을 뉴스에서 본 적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AI로 구동되는 기계가 실제로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작업을 고려한다면, 그것은 꽤 놀라울 것이다! 인공 지능의 핵심 특징들 중 하나는 그것이 새로운 작업에 특화된 프로그래밍을 필요로 하기보다는 기계들이 새로운 것을 학습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미래의 컴퓨터들과 과거의 그것들 사이의 핵심적인 차이점은 미래의 컴퓨터가 학습하고 스스로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가까운 미래에, 스마트 가상 비서는 여러분에 대해 여러분의 가장 가까운 친구나 가족이 아는 것보다 더 많이 알게 될 것이다. 그것이 우리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상상할 수 있는가? 왜 이러한 종류의 변화는 정확히 새로운 기술들이 우리 세계에 미칠 영향을 인식하는 것이 아주 중요한가에 대한 이유이다.

반응형
반응형

2209 고1 EF000 좌본우해 본문.pdf
4.64MB
2209 고1 EF003 영작연습.pdf
0.47MB
2209 고1 EF004 해석연습.pdf
1.22MB


2209 고1 EF000 좌본우해 본문s.pdf
4.29MB
2209 고1 EF003 영작연습s.pdf
0.29MB
2209 고1 EF004 해석연습s.pdf
1.03MB


22. 9. 5  13:00 수정본 업로드

 

파일명 뒤에 's' 가 붙은 자료가 로고가 없는 자료입니다~!

※ 타 카페 / 블로그에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 PDF로만 파일을 제공합니다.

 

영어농장 모의고사 자료 목록 (순차 업로드) 2022 개편

EF000 좌본우해

EF001 어휘정리 EF002 본문 한줄해석

EF003 본문영작연습 EF004 본문해석연습

EF01 종합변형문제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만덕영어학원][만덕영어과외]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무능한 학생은 없다

blog.naver.com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알파카의영어농장

학생들과 호흡하며 수업을 진행하다보니 때로는 느슨한 호흡으로 진행할 수 밖에 없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교과 어휘 및 본문 자료, 모의고사 관련 변형 등 관련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를 통해

www.youtube.com


Dear Parents/Guardians,

Class parties will be held on the afternoon of Friday December 16th, 2022. Children may bring in sweets, crisps, biscuits, cakes, and drinks. We are requesting that children do not bring in home-cooked or prepared food. All food should arrive in a sealed packet with the ingredients clearly listed. Fruit and vegetables are welcomed if they are pre-packed in a sealed packet from the shop. Please DO NOT send any food into school containing nuts as we have many children with severe nut allergies. Please check the ingredients of all food your children bring carefully. Thank you for your continued support and cooperation.

Yours sincerely, Lisa Brown, Headteacher

학급 파티 관련 유의사항 안내

부모님들/보호자들께,

학급 파티가 2022년 12월 16일 금요일 오후에 열릴 것입니다. 아이들은 사탕류, 포테이토 칩, 비스킷, 케이크, 그리고 음료를 가지고 올 수 있습니다. 우리는 아이들이 집에서 만들거나 준비한 음식을 가져오지 않기를 요청합니다. 모든 음식은 성분을 명확하게 목록으로 작성하여 밀봉된 꾸러미로 가져와야 합니다. 과일과 채소는 가게에서 밀봉된 꾸러미로 사전 포장된 것이라면 환영합니다. 심각한 견과류 알레르기를 가진 학생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견과류가 포함된 어떤 음식도 학교에 보내지 마십시오. 아이들이 가져오는 모든 음식의 성분을 주의 깊게 확인해 주십시오. 여러분의 지속적인 지원과 협조에 감사드립니다.

교장 Lisa Brown 드림

It was two hours before the submission deadline and I still hadn't finished my news article. I sat at the desk, but suddenly, the typewriter didn't work. No matter how hard I tapped the keys, the levers wouldn't move to strike the paper. I started to realize that I would not be able to finish the article on time. Desperately, I rested the typewriter on my lap and started hitting each key with as much force as I could manage. Nothing happened. Thinking something might have happened inside of it, I opened the cover, lifted up the keys, and found the problem ― a paper clip. The keys had no room to move. After picking it out, I pressed and pulled some parts. The keys moved smoothly again. I breathed deeply and smiled. Now I knew that I could finish my article on time.

뉴스 마감 시간에 고장 난 타자기

제출 마감 시간 두 시간 전이었고 나는 여전히 나의 뉴스 기사를 끝내지 못했다. 나는 책상에 앉았는데, 갑자기, 타자기가 작동하지 않았다. 내가 아무리 세게 키를 두드려도, 레버는 종이를 두드리려 움직이지 않았다. 나는 내가 제시간에 그 기사를 끝낼 수 없으리라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다. 필사적으로, 나는 타자기를 내 무릎 위에 올려놓고 각각의 키를 내가 할 수 있을 만큼의 많은 힘을 가지고 누르기 시작했다.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그것의 내부에 무슨 일이 일어났을지도 모르겠다고 생각하면서, 나는 그 덮개를 열고, 키들을 들어 올리고, 문제를 발견했다.―종이 집게. 키들이 움직일 공간이 없었다. 그것을 집어서 꺼낸 후에, 나는 몇 개의 부품들을 누르고 당겼다. 키들이 매끄럽게 다시 움직였다. 나는 깊게 숨을 내쉬고 미소 지었다. 이제는 제시간에 내가 기사를 끝낼 수 있음을 알았다.

Experts on writing say, “Get rid of as many words as possible.” Each word must do something important. If it doesn't, get rid of it. Well, this doesn't work for speaking. It takes more words to introduce, express, and adequately elaborate an idea in speech than it takes in writing. Why is this so? While the reader can reread, the listener cannot rehear. Speakers do not come equipped with a replay button. Because listeners are easily distracted, they will miss many pieces of what a speaker says. If they miss the crucial sentence, they may never catch up. This makes it necessary for speakers to talk longer about their points, using more words on them than would be used to express the same idea in writing.

글쓰기 전문가들은 “가능한 한 많은 단어를 삭제하라”고 말한다. 각 단어는 무언가 중요한 일을 해야 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그것을 삭제하라. 자, 이 방법은 말하기에서는 통하지 않는다. 말을 할 때는 아이디어를 소개하고, 표현하며, 적절히 부연 설명하는 데 글을 쓸 때보다 더 많은 단어가 필요하다. 이것은 왜 그러한가? 독자는 글을 다시 읽을 수 있으나 청자는 다시 들을 수 없다. 화자는 반복 재생 버튼을 갖추고 있지 않다. 청자들은 쉽게 주의력이 흐려지기 때문에 화자가 말하는 것 중 많은 부분을 놓칠 것이다. 그들이 중요한 문장을 놓친다면, 절대로 따라잡을 수 없을 것이다. 이것은 화자들이 같은 아이디어를 표현하기 위해 글을 쓸 때 사용될 단어 수보다 그것들(요점)에 대해 더 많은 단어를 사용하여 그들의 요점에 대해 더 길게 말할 필요가 있게 한다.

Is the customer always right? When customers return a broken product to a famous company, which makes kitchen and bathroom fixtures, the company nearly always offers a replacement to maintain good customer relations. Still, “there are times you've got to say ‘no,’ ” explains the warranty expert of the company, such as when a product is undamaged or has been abused. Entrepreneur Lauren Thorp, who owns an e-commerce company, says, “While the customer is ‘always’ right, sometimes you just have to fire a customer.” When Thorp has tried everything to resolve a complaint and realizes that the customer will be dissatisfied no matter what, she returns her attention to the rest of her customers, who she says are “the reason for my success.”

고객은 항상 옳은가

? 주방과 욕실 설비를 만드는 한 유명한 회사에 고객들이 고장 난 제품을 반품할 때 그 회사는 좋은 고객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거의 항상 대체품을 제공한다. 그럼에도, 그 회사의 상품 보증 전문가는 상품이 멀쩡하거나 남용되었을 때와 같이, “‘안 돼요.’라고 말을 해야 할 때가 있다.”고 설명한다. 전자 상거래 회사를 소유한 기업가 Lauren Thorp는 “고객이 ‘항상’ 옳지만, 때로는 당신이 고객을 해고해야만 한다.”고 말한다. Thorp가 고객의 불만을 해결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왔는데 그 고객이 어떠한 경우에도 만족하지 않을 것이란 사실을 깨달을 때, 그녀는 자신의 주의를 나머지 다른 고객들에게 돌리는데, 그 고객들은 “내 성공의 이유”라고 그녀는 말한다.

A recent study from Carnegie Mellon University in Pittsburgh, called “When Too Much of a Good Thing May Be Bad,” indicates that classrooms with too much decoration are a source of distraction for young children and directly affect their cognitive performance. Being visually overstimulated, the children have a great deal of difficulty concentrating and end up with worse academic results.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t much decoration on the classroom walls, the children are less distracted, spend more time on their activities, and learn more. So it's our job, in order to support their attention, to find the right balance between excessive decoration and the complete absence of it.

피츠버그시 Carnegie Mellon University의 “너무 많은 좋은 것이 나쁠 수도 있을 때”라고 불리는 최근 한 연구는, 너무 많은 장식이 있는 교실이 어린이들의 주의 산만의 원인이고 직접적으로 그들의 인지적인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준다. 시각적으로 지나치게 자극되었을 때, 아이들은 집중하는 데 많이 어려워하고 결국 더 나쁜 학습 결과로 끝이 난다. 반면에, 교실 벽에 장식이 많지 않으면, 아이들은 덜 산만해지고, 그들의 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고, 더 많이 배운다. 그래서, 그들의 집중을 돕기 위해, 지나친 장식과 장식이 전혀 없는 것 사이의 적절한 균형을 찾는 것이 우리가 할 일이다.

For creatures like us, evolution smiled upon those with a strong need to belong. Survival and reproduction are the criteria of success by natural selection, and forming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can be useful for both survival and reproduction. Groups can share resources, care for sick members, scare off predators, fight together against enemies, divide tasks so as to improve efficiency, and contribute to survival in many other ways. In particular, if an individual and a group want the same resource, the group will generally prevail, so competition for resources would especially favor a need to belong. Belongingness will likewise promote reproduction, such as by bringing potential mates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n particular by keeping parents together to care for their children, who are much more likely to survive if they have more than one caregiver.

우리와 같은 창조물에게 있어 진화는 소속하려는 강한 욕구를 가진 것들에 미소를 지었다. 생존과 번식은 자연 선택에 의한 성공의 기준이고,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형성하는 것은 생존과 번식 모두에 유용할 수 있다. 집단은 자원을 공유하고, 아픈 구성원을 돌보고, 포식자를 쫓아버리고, 적에 맞서서 함께 싸우고,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을 나누고, 많은 다른 방식에서 생존에 기여한다. 특히, 한 개인과 한 집단이 같은 자원을 원하면, 집단이 일반적으로 이기고, 그래서 자원에 대한 경쟁은 소속하려는 욕구를 특별히 좋아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소속되어 있다는 것은 번식을 촉진시키는데, 이를테면 잠재적인 짝을 서로 만나게 해주거나, 특히 부모가 자녀를 돌보기 위해 함께 있도록 함으로써인데, 자녀들은 한 명보다 많은 돌보는 이가 있으면 훨씬 더 생존하기 쉬울 것이다.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고1 동(이) 4과 본문(좌본우해).pdf
0.21MB
고1 동(이) 4과 본문(한줄해석).pdf
0.26MB
고1 동(이) 4과 본문해석연습.pdf
0.18MB
고1 동(이) 4과 어휘 테스트.pdf
0.20MB
고1 동(이) 4과 어휘정리.pdf
0.19MB


※ 타 카페 / 블로그에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 PDF로만 파일을 제공합니다.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만덕영어학원][만덕영어과외]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무능한 학생은 없다

blog.naver.com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알파카의영어농장

학생들과 호흡하며 수업을 진행하다보니 때로는 느슨한 호흡으로 진행할 수 밖에 없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교과 어휘 및 본문 자료, 모의고사 관련 변형 등 관련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를 통해

www.youtube.com


Artificial Lighting: misuse or overuse

What images come to mind when you think of pollution? Skies filled with smoke? Plastic bottles floating in the ocean? Maybe chemicals buried in the soil? We are all familiar with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air, water and land pollution. But there is another type of pollution that has been ignored by many because of its seemingly harmless nature. It goes by the name of light pollution.

Light pollution is generally defined as the misuse or overuse of artificial lighting. To put it simply, when too much light is used or pointed up to the sky, it comes in contact with the dust, water, and clouds in the atmosphere. The light bounces off them and is scattered all over the sky, creating a glow.

Some people may innocently wonder, "What’s the big deal? The glow makes it easier to see at night." No one could argue with the fact that light allows people to see better in the dark. But what they fail to realize is that the glow actually robs them of their stars. The glow increases the brightness of the dark areas of the sky, which reduces the contrast of stars against the dark sky.

When was the last time you saw a sky full of bright stars? In the past, about 2,500 stars were visible to the naked human eye.

Nowadays, the number has shrunk to less than 300, and that’s in less populated areas. In big cities, you would be lucky if you could see even one or two stars, since artificial lighting is very intense in urban areas. In fact, scientists estimate that only 10% of the world can enjoy truly dark skies at night.

Not only does light pollution take away the beauty of the night, but it also harms the environment and the creatures living in it. For example, birds that are active at night have difficulty navigating the night skies because of light pollution. These birds depend on light from the moon and the stars to find the right direction. Artificial lighting confuses these birds and they either end up crashing into buildings or flying in circles until they drop from exhaustion.

Sea turtles are also threatened by light pollution. They live in the ocean but hatch on the beach at night. Newly hatched sea turtles find the ocean by following the bright horizon. Millions of baby turtles die every year because artificial lighting keeps them from finding the ocean.

Light Pollution: animals, plants, and people are affected

Plants are also victims of light pollution. Plants use light from the sun for photosynthesis, but they also need darkness to rest and create the chemicals necessary for their daily functioning. Artificial lighting reduces the production of these chemicals and alters the flowering cycle. Ultimately, it hurts their chances of reproduction.

If you think that only animals and plants are affected by light pollution, you are in for a big surprise. More and more scientists are claiming that light pollution is harmful for human beings, too. For example, many people today have trouble sleeping at night. The human body creates hormones at night, which help the body sleep in order to recover and prepare for the following day. Studies have shown that getting a good night's sleep helps fight depression and even cancer. In the presence of artificial lighting at night, however, the human body is tricked into thinking that it is day, and produces less of the beneficial hormones.

Earth Hour: one hour from 8:30 p.m. to 9:30 p.m. on a day in March

Today,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recommend that we join hands in an effort to reduce light pollution. In a global movement called “Earth Hour,” people all around the world turn off unnecessary lights for one hour from 8:30 p.m. to 9:30 p.m. on a day in March. But you don't have to wait for Earth Hour. You can do things every day like turning off lights that are not in use. You can also change the way you live to become more active during the day and less active at night. Remember that the darkest nights produce the brightest stars. So, do your best to help the next generation see a sky full of stars. Let's turn off the lights and turn on the stars!

인공조명: 오용 혹은 남용

여러분은 공해를 생각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나요? 연기로 가득 찬 하늘? 바다를 떠다니고 있는 플라스틱 병? 어쩌면 땅 속에 파묻힌 화학물질들? 우리 모두는 공기, , 토양 오염과 같은 환경 문제들에 익숙합니다. 그러나 겉보기에 해로워 보이지 않는 속성 때문에 많은 이들에 의해 간과되어 온 또 다른 형태의 공해가 있습니다. 그것은 빛 공해라는 이름으로 통합니다.

빛 공해는 일반적으로 인공조명의 오용이나 남용으로 정의됩니다. 간단히 말하면, 과도한 빛이 사용되거나 하늘로 향하면, 그것은 대기 중의 먼지, 물 그리고 구름과 접촉합니다. 빛이 그것들에 튕겨 하늘 전체에 흩뿌려지고, 불빛을 만들어냅니다.

어떤 사람들은 천진난만하게 궁금해 할지도 모릅니다. “그게 무슨 대수야? 불빛이 밤에 보는 것을 더 쉽게 해 주지.” 어느 누구도 빛이 사람들로 하여금 어둠 속에서 더 잘 볼 수 있도록 해준다는 사실에 반박할 수 없을 겁니다. 그러나 그들이 깨닫지 못한 것은 그 빛이 실제로 그들로부터 별들을 빼앗아간다는 것입니다. 그 불빛은 하늘의 어두운 부분의 밝기를 증가시키는데, 그것은 어두운 하늘에 대한 별의 (밝기) 대비를 감소시킵니다.

마지막으로 밝은 별로 가득한 밤을 본 게 언제였나요? 과거에는, 2,500개의 별들을 인간의 육안으로 볼 수 있었답니다.

요즘에는, 그 수가 300개 이하로 줄어들었는데, 그것은 저밀도 인구 지역에서입니다. 대도시에서는, 도심 지역의 인공조명이 매우 강렬하기 때문에 여러분이 한 두 개의 별을 볼 수 있다면 여러분은 운이 좋은 것입니다. 사실, 과학자들은 세계의 단지 10%만이 밤에 진정으로 어두운 하늘을 즐길 수 있다고 추정합니다.

빛 공해는 밤의 아름다움을 앗아갔을 뿐만 아니라, 환경과 거기에 살고 있는 생명체들에게 해를 입힙니다. 예를 들어, 빛 공해 때문에 밤에 활동하는 새들은 밤하늘을 비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러한 새들은 올바른 방향을 찾기 위해 달과 별에서 오는 빛에 의지합니다. 인공조명은 이런 새들을 혼란시켜서, 그들은 결국 건물에 부딪히거나 탈진해서 추락할 때까지 원을 그리며 날게 됩니다.

바다거북 또한 빛 공해에 의해 위협을 받고 있습니다. 그들은 바다에 살지만 밤에 해변에서 부화합니다. 갓 부화한 바다거북은 밝은 수평선을 따라 바다를 찾습니다. 인공조명이 그들이 바다를 찾지 못하도록 하기 때문에 매년 수백만 마리의 새끼 바다거북이 죽습니다.

빛 공해: 동물들, 식물들, 그리고 사람들이 영향을 받는다

식물들 또한 빛 공해의 피해자들입니다. 식물들은 광합성을 위해 태양빛을 이용하지만, 쉬고 그것들의 일상 기능에 필수적인 화학물질들을 만들기 위해 어둠도 필요로 합니다. 인공조명은 이 화학물질들의 생산을 줄이고 개화 주기를 바꿉니다. 결국, 그것은 번식 가능성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만약 여러분이 동물과 식물만이 빛 공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한다면, 곧 크게 놀라게 될 거에요. 점점 더 많은 과학자들이 빛공해가 인간에게도 또한 해롭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오늘 날 많은 사람들이 밤에 잠을 자는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인간의 신체는 밤에 호르몬을 생성하는데, 그 호르몬은 신체가 회복을 하고 그 다음 날을 준비하기 위해 수면을 취하도록 돕습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숙면을 취하는 것이 우울증과 심지어 암과 맞서 싸우는 데 도움을 줍니다. 그러나, 밤에 인공조명이 있으면, 인간의 신체는 낮이라고 생각하도록 속아서, 이로운 호르몬을 덜 생산하게 됩니다.

Earth Hour: 3월의 어느 하루 오후 830분에서 오후 930분까지 1시간

오늘 날, 전 세계의 정부들은 빛 공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우리가 협력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습니다. ‘Earth Hour’라고 불리는 세계적인 운동에서, 전 세계 사람들은 3월의 어느 하루 오후 830분에서 930분까지 한 시간 동안 불필요한 전등을 끕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지구촌 전등 끄기를 기다릴 필요는 없습니다. 여러분은 사용 중이 아닌 전등을 끄는 것 같은 일들을 매일 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또한 낮 동안에는 좀 더 활동적이고 밤에는 덜 활동적으로 사는 방식을 바꿀 수 있습니다. 가장 어두운 밤이 가장 밝은 별을 만들어낸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그러므로, 다음 세대가 별들로 가득한 하늘을 볼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최선을 다하세요. 전등을 끄고 별을 켭시다!

반응형
반응형

고2 영어2 능(김) SL 본문(좌본우해).pdf
0.27MB
고2 영어2 능(김) SL 본문(한줄해석).pdf
0.31MB
고2 영어2 능(김) SL 본문해석연습.pdf
0.20MB
고2 영어2 능(김) SL 어휘정리.pdf
0.18MB
고2 영어2 능(김) SL 어휘테스트.pdf
0.19MB


※ 타 카페 / 블로그에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 PDF로만 파일을 제공합니다.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만덕영어학원][만덕영어과외]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무능한 학생은 없다

blog.naver.com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알파카의영어농장

학생들과 호흡하며 수업을 진행하다보니 때로는 느슨한 호흡으로 진행할 수 밖에 없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교과 어휘 및 본문 자료, 모의고사 관련 변형 등 관련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를 통해

www.youtube.com


Isn't it strange that one can think about so much in such a short time? People in life-threatening situations can recall years of their lives in just a few seconds. Likewise, one can remember a romance from beginning to end, all while taking off his or her gloves.

That is exactly what Trysdale was doing as he stood in his room. On the table next to him was a unique green plant in a red earthen jar. It was a rare species of cactus, with long green leaves that moved in the slightest breeze. The way they moved seemed to say “come closer.”

Also in the room was Trysdale's best friend. He was the brother of the bride. The two stood in the room, wearing suits, ready to relax after the wedding. For Trysdale, however, there would be no relaxation.

As he slowly unbuttoned his gloves, the horrible recollection of the last few hours ran through his mind. He could still smell the wedding flowers. The love song for the bride and bridegroom still played in his head. Most of all, he remembered the minister's voice, declaring the marriage official in front of all the guests.

Even now, he tried to figure out why and how he had lost her. He also faced the new feeling of seeing his own miserable self clearly. The pride he had had looked like foolishness now. He had always had plenty of confidence, but now he was disgraced. His vanity and ego had been his armor, but now they were rags. With all these gone, the only thing that remained was his pitiful self.

When she was walking up the aisle toward the altar, he saw that she looked pale and somehow sad. Trysdale felt a meaningless dark pleasure from this. Perhaps it meant she still thought about him. Maybe she knew she was making a mistake. However, when he saw her happily looking up at the bridegroom with shining eyes, he knew she had forgotten him. Memories of the time when she used to look at him this way came flooding back. This was the final blow to his pride. Why had their romance ended this way? They hadn't fought with each other even once.

For the thousandth time, he replayed the last days of their relationship in his mind. He constantly tried to find the reason that everything had ended so suddenly.

She had always adored him and looked up to him. He had accepted her admiration like a king accepts reverence from his people. To him, her adoration had seemed so childlike, so faithful, and so worshipful. He had believed it was sincere. She had always seen the best in him. He had received her praise, like the desert absorbs the rain and doesn't promise fruit in return.

As Trysdale removed his second glove, the worst memory returned. It was the night when he asked her to spend the rest of their lives together. Now it was too painful to think of her beauty that night. It was her beauty that had always made him accept her praise. During their conversation she said, “Captain Carruthers says that you speak Spanish like a native speaker. Why haven't you ever told me? Is there anything you aren't good at?”

It occurred to Trysdale that he had repeated an old Spanish saying to Carruthers. He had heard it from somewhere by chance and then said it later, pretending to be smart. Carruthers, who loved to exaggerate, must have overestimated Trysdale's ability. However, her praise was so sweet that he could not tell her the truth. He just let her continue believing that he was a fluent speaker of Spanish.

How glad, how shy, how nervous she was when he proposed! How surprised she seemed when he kneeled in front of her! He could have sworn, and he could swear now, that the look in her eyes meant “yes.” However, she avoided a direct response and shyly said, “I will send you my answer tomorrow.” Trysdale, like a confident victor, happily allowed this short delay.

The next day he waited eagerly to hear from her. At noon, one of her servants came to Trysdale's door and left the strange cactus in the red earthen jar. There was no note, no message. There was merely a tag on the plant showing some foreign or botanical name. He waited until night, but her answer did not come. With his pride so deeply wounded, he did not try to visit her.

Two days later, they met by chance at a dinner. They greeted each other politely, but she looked at him breathlessly, waiting for some sign of what he was thinking. Trysdale just stared back at her gravely, wanting her explanation for not answering his proposal. Noticing a sudden mood change, she followed Trysdale's lead, turning cold and distant. From that night on, they grew apart. What had he done wrong? Was he the one to blame? Now, after her wedding, he searched for the answer in his ruined pride.

Just then, the voice of the other man in the room interrupted his thoughts and awakened him from his deep reflection.

“Trysdale, what in the world is wrong with you? You look sad. Look at me. I came 2,000 miles on a crowded old boat all the way from South America to attend my only little sister's wedding. Now she's gone, but I'm still enjoying the night. Come now! Let's have some tea together.”

“I don't want any tea, thanks,” said Trysdale.

“Your tea,” his friend replied, “is awful. Come down to my place in South America one day, and try the tea there. It's worth the trip. Oh! This looks familiar! Where did you come by this cactus, Trysdale?”

“A present,” said Trysdale, “from a friend. Do you know the species?”

“Oh yes. It's very common where I live. I see hundreds of them every day. Here's the name on this tag tied to it. Do you know any Spanish, Trysdale?”

“No,” said Trysdale, with a trace of a bitter smile. “Is it Spanish?”

“Yes. The people there think the leaves look like they are reaching out and telling you to come. They call it ventomarme. In English it means ‘Come and take me.’”

사람이 그렇게 짧은 시간 안에 그토록 많은 생각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이상하지 않은가? 생명을 위협받는 상황에 처한 사람들은 단 몇 초 안에 자신의 인생을 되돌아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어떤 사람은 장갑을 벗는 동안 연애의 시작부터 끝까지 기억해 낼 수 있다.

그것이 바로 Trysdale이 자신의 방에 서서 하고 있던 일이다. 그의 옆에 있는 탁자에는 붉은 토기 화분에 든 독특한 녹색 식물이 있었다. 그것은 미풍에 흔들리는 긴 초록색 잎을 가진 희귀한 종의 선인장이었다. 잎이 움직이는 모습은 가까이 오라고 말하는 것 같았다.

방에는 Trysdale의 가장 친한 친구도 있었다. 그는 신부의 오빠였다. 정장을 차려입은 두 사람은 결혼식이 끝난 후에 쉴 준비를 하며 방에 서 있었다. 하지만, Trysdale에게 휴식이란 없을 것이다.

그가 천천히 장갑의 단추를 푸는 동안, 지난 몇 시간의 끔찍한 기억이 그의 머릿속에 번졌다. 그는 아직도 결혼식 꽃향기를 맡을 수 있었다. 신랑 신부를 위한 사랑 노래가 아직도 그의 머릿속에서 맴돌았다. 무엇보다도, 그는 모든 하객들 앞에서 결혼을 공식으로 선언하던 목사의 목소리를 기억했다.

아직까지도, 그는 자신이 왜 그리고 어떻게 그녀를 잃게 되었는지 이해하려고 애를 썼다. 그는 또한 비참한 자신을 또렷하게 보는 새로운 감정과 마주했다. 그가 가졌던 자부심은 이제 어리석음처럼 보였다. 그는 항상 자신감이 넘쳤지만, 지금은 굴욕을 느꼈다. 그의 허영심과 자존심은 그의 갑옷이었지만, 이제 그것들은 누더기가 되었다. 이것들이 모두 사라지자, 남아있는 유일한 것은 자신의 초라한 모습뿐이었다.

그녀가 제단을 향해 통로를 걸어갈 때, 그는 그녀가 창백해 보이고 왠지 슬퍼 보이는 것을 알아챘다. Trysdale은 이것으로부터 무의미하고 음흉한 기쁨을 느꼈다. 어쩌면 이는 그녀가 여전히 그를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지도 모른다. 아마도 그녀는 자신이 실수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녀가 빛나는 눈으로 신랑을 행복하게 올려다보는 것을 봤을 때, 그는 그녀가 자신을 잊었다는 것을 알았다. 그녀가 자신을 그렇게 바라보곤 했던 때의 기억들이 물밀 듯이 밀려왔다. 이것은 그의 자존심에 결정타였다. 그들의 사랑이 왜 이렇게 끝난 것인가? 그들은 심지어 단 한 번도 싸웠던 적이 없었다.

수천 번 그는 마음속으로 그들 관계의 지난날들을 되돌려 보았다. 그는 모든 것이 그렇게 갑자기 끝나버린 이유를 찾으려 끊임없이 노력했다.

그녀는 항상 그를 흠모하고 존경했다. 그는 마치 왕이 자신의 국민들로부터 숭배를 받아들이듯 그녀의 존경을 받아들였다. 그에게, 그녀의 흠모는 너무나 순진했고, 너무나 충실했으며, 너무나 경건해 보였다. 그는 그것이 진심이라고 믿었다. 그녀는 항상 그에게서 최고의 것을 보았다. 그는 마치 사막이 빗물을 빨아들이고 그 보답으로 과실을 맺는다는 기약을 하지 않듯이 그녀의 칭찬을 받아들였다.

Trysdale이 그의 두 번째 장갑을 벗었을 때, 최악의 기억이 되살아났다. 그가 그녀에게 남은 생을 함께하자고 했던 날 밤이었다. 이제 그날 밤 그녀의 아름다움에 대해 생각하는 것은 너무나 고통스러웠다. 그로 하여금 항상 그녀의 칭찬을 받아들이게 했던 것은 바로 그녀의 아름다움이었다. 그들이 대화하던 중에 그녀가 말했다. “Carruthers 선장님께서 당신이 스페인어를 원어민처럼 한다고 말했어요. 왜 제게 얘기해주지 않았나요? 당신이 못하는 게 있기는 한가요?”

Trysdale은 자신이 Carruthers에게 옛 스페인 속담을 옮겨 읊었던 기억이 났다. 그는 그것을 어딘가에서 우연히 듣고서, 똑똑한 척하면서 후에 그것을 말했다. 과장하기 좋아하는 CarruthersTrysdale의 능력을 과대평가했음이 틀림없다. 하지만, 그녀의 칭찬이 너무나 달콤해서 그는 그녀에게 진실을 말할 수 없었다. 그는 그저 그녀가 자신이 스페인어를 유창하게 한다고 계속해서 믿게 하였다.

그가 청혼했을 때, 그녀가 얼마나 기뻐하고, 얼마나 수줍어하며, 얼마나 긴장하였던가! 그가 그녀 앞에 무릎을 꿇었을 때 그녀가 얼마나 놀라는 것처럼 보였던가! 그는 그녀의 눈빛이 좋아요를 의미했다고 맹세할 수 있었고, 지금도 맹세할 수 있다. 하지만 그녀는 직접적인 대답을 피했고 수줍어하며 말했다. “내일 제 답변을 보내드릴게요.” Trysdale은 자신감에 찬 승리자처럼 이 잠깐의 지체를 기쁘게 허락했다.

다음 날 그는 간절히 그녀의 연락을 기다렸다. 정오에 그녀의 하인 중 한 명이 Trysdale의 집으로 와서 붉은 토기 화분에 담긴 특이한 선인장을 두고 갔다. 쪽지나 편지도 없었다. 식물에는 단지 어떤 외국어인지 또는 식물학상의 이름인지를 보여 주는 이름표가 있었다. 그는 밤까지 기다렸지만, 그녀의 대답은 오지 않았다. 자존심이 너무나 깊게 상처 받아서, 그는 그녀를 찾아가려고 하지 않았다.

이틀 후, 그들은 저녁 모임에서 우연히 만났다. 그들은 서로 공손하게 인사했지만, 그녀는 그가 무엇을 생각하고 있는지 신호를 기다리며 그를 숨죽인 채 바라보았다. Trysdale은 자신의 청혼에 대답하지 않은 것에 대한 설명을 바라며 그저 진지하게 그녀를 다시 빤히 쳐다볼 뿐이었다. 갑작스러운 분위기 변화를 알아차리고서 그녀는 Trysdale의 태도를 따라, 차갑게 돌아서서 거리를 두었다. 그날 밤부터, 그들은 사이가 멀어졌다. 그가 무엇을 잘못했을까? 그가 잘못한 것일까? 이제, 그녀의 결혼식 후에, 그는 황폐해진 자존심 속에서 답을 찾고 있었다.

바로 그때, 방에 있던 다른 남자의 목소리가 그의 생각을 방해했고 깊은 생각으로부터 그를 깨웠다.

“Trysdale, 도대체 뭐가 문제야? 자네 슬퍼 보이는군. 나를 봐. 나는 내 하나뿐인 여동생의 결혼식에 참석하려고 멀리 남아메리카에서부터 사람들로 붐비는 낡은 증기선을 타고 2,000 마일을 왔다고. 이제 그녀는 가버렸지만, 나는 여전히 이 밤을 즐기고 있어. 자자! 같이 차나 마시자고.”

고맙지만, 차는 사양할게.” Trysdale이 말했다.

자네의 차는,” 그의 친구가 대답했다, “형편없어. 언젠가 남아메리카에 내가 사는 곳으로 와서 그곳의 차를 마셔봐. 여행 올 만한 가치가 있을 거야. ! 이건 낯이 익은데! 이 선인장을 어디서 구했어, Trysdale?”

선물이야,” Trysdale이 말했다, “친구한테 받았어. 무슨 종인지 알아?”

오 그럼. 내가 사는 곳에서는 매우 흔해. 나는 그것들을 매일 수백 개씩 본다네. 여기 달린 이름표에 이름이 있군. Trysdale, 스페인어 좀 알아?”

아니,” Trysdale이 약간의 쓴웃음을 지으며 말했다. “그게 스페인어야?”

. 그곳의 사람들은 잎들이 팔을 뻗어서 오라고 손짓하는 것 같이 생겼다고 생각해. 그들은 그것을 ventomarme라고 불러. 영어로는 와서 나를 데려가세요라는 뜻이지.”

반응형
반응형

고1 동(이) 2과 본문(좌본우해).pdf
0.23MB
고1 동(이) 2과 본문(한줄해석).pdf
0.24MB
고1 동(이) 2과 본문해석연습.pdf
0.16MB
고1 동(이) 2과 어휘정리.pdf
0.13MB
고1 동(이) 2과 어휘테스트.pdf
0.12MB


※ 타 카페 / 블로그에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 PDF로만 파일을 제공합니다.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만덕영어학원][만덕영어과외]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무능한 학생은 없다

blog.naver.com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알파카의영어농장

학생들과 호흡하며 수업을 진행하다보니 때로는 느슨한 호흡으로 진행할 수 밖에 없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교과 어휘 및 본문 자료, 모의고사 관련 변형 등 관련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를 통해

www.youtube.com


Can you think of any English expressions about food? It's a piece of cake! Food expressions are all around us. We can even find them on the breakfast table. Take a look, for example, at the popular Western breakfast dish, Eggs Benedict. It is made with eggs, bread, Canadian bacon, salt, and sometimes cheese. Did you know that each of these ingredients has its own English expression with a story behind it? Let's find out more!

She had egg on her face.

Meaning: She was very embarrassed.

Story Behind It: Long ago, some crowds were overly responsive to theatrical performances. When they did not like the performance, they threw things at the performer, sometimes even eggs! Needless to say, having egg on the face was very embarrassing. Not only did the appearance look funny, but it also meant that the performer had given a poor performance. Today, we no longer throw eggs at people on stage, but we still use the expression egg on one's face to mean an embarrassing situation.

A: How was Jessie's performance?

B: To be honest, she had egg on her face.

The driverless car is the greatest thing since sliced bread.

Meanings: The driverless car is a wonderful invention.

Story Behind It: Although bread has fed mankind for over 30,000 years, it was not mass-produced until the Industrial Revolution. Even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brought the convenience of factory-produced bread to the dining table, people still had to cut it by hand. Otto Frederick Rohwedder from Iowa invented the first bread slicing machine and put it into service in 1928. Several bread companies used his machine and advertised sliced bread as "the greatest forward step in the baking industry since bread was wrapped." From there, the expression the greatest thing since sliced bread was coined to refer to a wonderful invention.

A: What do you think about the driverless car?

B: It is the greatest thing since sliced bread.

Who brings home the bacon in your house?

Meaning: Who supports your family financially?

Story Behind It: There was a couple living in England in the 1100s. The couple loved each other so much that a priest awarded them some bacon. From then on, any couple who did not argue with each other for a year and a day was also awarded bacon. Since bacon was very expensive at that time, the expression to bring home the bacon took on the meaning of making money for the family.

A: Who brings home the bacon in your house?

B: Both my parents do. My father is a teacher and my mother is a lawyer.

Her father is the big cheese in this company.

Meaning: Her father is a very important person in this company.

Story Behind It: The expression the big cheese most likely came from the U.S. in the early 20th century. Back then, it was common practice to display a big wheel of cheese at a large public event for some time. It would then be ceremonially cut up at a later date by a very important person. For example, in 1911, U.S. President William Howard Taft cut up a big cheese wheel at an event in Chicago. Gradually, the expression the big cheese took on the meaning of a person of great power or importance.

A: What does her father do here?

B: You didn't know? He is the big cheese in this company.

Take what she says with a grain of salt.

Meaning: Don't believe everything she says.

Story Behind It: Long, long ago, there lived a king who feared being poisoned by his enemies. So, he created a recipe for a remedy against poison. His recipe contained seventy-two ingredients, including leaves of trees and nuts. In the last line of his recipe, he wrote with a grain of salt. This line became very famous since the grain of salt was the deciding ingredient in protecting against being poisoned. Later, the expression take something with a grain of salt came to have the meaning that a little bit of doubt can help protect against being poisoned by inaccurate or misleading information.

A: I believe everything she says.

B: You should take what she says with a grain of salt.

음식에 관련한 영어 표현을 생각해 볼 수 있나요? 식은 죽 먹기죠! 음식에 관련한 표현은 우리 주변 어디에나 있습니다. 우리는 그것들을 아침 식탁 위에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양의 인기있는 아침 식사 메뉴인 에그 베네딕트를 봅시다. 그것은 달걀과 빵, 캐나다식 베이컨, 소금, 때때로 치즈로 만들어집니다. 이 각각의 재료들이 숨겨진 이야기가 있는 고유의 영어식 표현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나요? 좀 더 알아보기로 해요!

그녀는 얼굴에 달걀이 묻었어요.

의미: 그녀는 망신을 당했어요.

숨겨진 이야기: 오래 전에, 일부 관중들은 연극 공연에 지나치게 반응했습니다. 그들은 공연이 마음에 들지 않을 때, 공연자에게 물건을 던졌는데, 가끔 달걀도 던졌습니다. 말할 것도 없이, 얼굴에 달걀을 뒤집어쓰는 일은 매우 수치스러운 일이었습니다. 모양이 우스워 보일 뿐만 아니라 그 공연자가 형편없는 공연을 했다는 의미이기도 했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무대 위의 사람들에게 더 이상 달걀을 던지지 않지만, 당혹스러운 상황을 의미하기 위해 여전히 ‘egg on one's face’이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A: Jessie의 공연은 어땠어?

B: 솔직히 말해서, 그녀는 매우 창피를 당했어.

무인자동차는 자른 빵 이후로 가장 위대한 것이다.

의미: 무인자동차는 놀라운 발명품이다.

숨겨진 이야기: 빵이 인류를 3만년 이상 먹여 살려왔지만, 그것은 산업 혁명이 되어서야 대량 생산되었습니다. 산업혁명이 공장에서 생산된 빵의 편의를 저녁 식탁으로 가지고 온 후에도, 사람들은 여전히 빵을 손으로 잘라야 했습니다. 아이오와 주 출신의 Otto Frederick Rohwedder 최초로 빵 자르는 기계를 발명했고, 1928년에는 그것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몇몇의 빵 회사가 그의 기계를 사용했고, 슬라이스된 빵을 빵이 포장된 이후로 제빵계에서의 가장 위대한 진보라고 광고했습니다. 거기서부터, ‘the greatest thin since sliced bread’라는 표현은 놀라운 발명품을 가리키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A: 무인자동차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니?

B: 아주 유용한 물건이지.

누가 당신의 집에 베이컨을 가지고 오나요?

의미: 누가 당신을 가족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나요?

숨겨진 이야기: 1100년대 영국에서 살고 있는 한 커플이 있었습니다. 그 커플은 서로를 아주 많이 사랑해서 한 신부가 그들에게 약간의 베이컨을 상으로 주었지요. 그때 이후로, 1년하고도 하루 동안 서로 다투지 않은 커플에게도 베이컨이 주어졌습니다. 그 당시 베이컨은 아주 비쌌기 때문에, ‘to bring home the bacon’이라는 표현은 그 가족을 위해 돈을 벌어온다는 의미를 지니기 시작했습니다.

A: 누가 너희 집에서 생활비를 벌어오니?

B: 부모님 두 분 다야. 아빠는 교사시고 엄마는 변호사이셔.

그녀의 아버지는 이 회사의 큰 치즈이다.

의미: 그녀의 아버지는 이 회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이다.

숨겨진 이야기: 큰 치즈라는 표현은 아마도 20세기 초 미국에서 왔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 당시, 한동안 대규모의 공공 행사에서 커다란 치즈 덩어리를 선보이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나중에 아주 중요한 인물에 의해 의례적으로 잘게 썰려지곤 했습니다. 예를 들어, 1911년에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대통령이 시카고의 한 행사에서 큰 치즈 덩어리를 잘랐습니다. 점차, ‘the big cheese’라는 표현은 막대한 권력이나 중요한 인물이라는 의미를 지니기 시작했습니다.

A: 그녀의 아버지는 이곳에서 무슨 일을 하시니?

B: 몰랐어? 이 회사의 대표시잖아.

그녀가 말하는 것을 소금을 조금 쳐서 들어라.

의미: 그녀가 말하는 모든 것을 믿지는 마라.

숨겨진 이야기: 아주 오래 전, 적들에 의해 독살당할 것을 두려워했던 한 왕이 살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는 독에 대항할 치료 비법을 고안했습니다. 그의 레시피는 나뭇잎과 견과를 포함한 72개의 재료를 포함하고 있었습니다. 레시피의 마지막 줄에, 그는 'with a grain of salt'라고 썼습니다. 약간의 소금이 독살당하는 것을 막아주는데 있어 결정적인 재료였기 때문에, 이 줄은 매우 유명해졌습니다. 나중에, ‘take something with a grain of salt’라는 표현은 약간의 의심이 부정확하거나 오해의 소지가 있는 정보에 의해 중독되는 것으로부터 지켜주도록 도울 수 있다는 의미를 지니게 되었습니다.

A: 나는 그녀가 하는 말을 모두 믿어.

B: 그녀가 하는 말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서는 안 돼.

반응형
반응형

고2 영어2 능(김) 4과 본문(좌본우해).pdf
0.29MB
고2 영어2 능(김) 4과 본문(한줄해석).pdf
0.32MB
고2 영어2 능(김) 4과 본문해석연습.pdf
0.23MB
고2 영어2 능(김) 4과 어휘정리.pdf
0.18MB
고2 영어2 능(김) 4과 어휘테스트.pdf
0.18MB


※ 타 카페 / 블로그에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 PDF로만 파일을 제공합니다.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만덕영어학원][만덕영어과외]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무능한 학생은 없다

blog.naver.com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알파카의영어농장

학생들과 호흡하며 수업을 진행하다보니 때로는 느슨한 호흡으로 진행할 수 밖에 없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교과 어휘 및 본문 자료, 모의고사 관련 변형 등 관련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를 통해

www.youtube.com


Today, it is common knowledge that butterflies go through an egg-caterpillar-pupa cycle. However, until the 17th century, many people regarded the butterfly and the caterpillar as entirely different creatures. They believed insects were evil creatures that came from mud. Butterflies, on the other hand, were considered “summer birds,” and it was commonly believed that they just fell from the sky in warm weather and vanished in the fall.

In those days, one woman stood out as a pioneer. Although having an interest in insects was considered odd and weird, she observed many cases of insect metamorphosis and recorded these invaluable scientific observations through her unique paintings. Her name was Maria Sibylla Merian.

Merian was born in 1647 in the city of Frankfurt, Germany. When she was still little, she became very interested in painting flowers. It is said that she once climbed over a wealthy neighbor's wall to find flowers that she could paint. She took some tulips without the owner's permission. She must have been unaware of how expensive they were at the time. When little Maria confessed her act, the neighbor asked to see the painting. Seeing her painting, he was so impressed that he only asked for the painting as compensation.

When she was 13, Merian began to develop a keen interest in bugs. It was unusual for a young girl to be passionate about caterpillars, spiders, and other insects, but Merian was obsessed to the point that she would sometimes watch them for weeks on end. She carefully painted each step of their life cycles, depicting even subtle changes.

Even after Merian got married and had children, her passion for insects did not die down. She kept caterpillars and butterflies at home in order to study and paint them. To capture each moment of change, she spent many nights awake, watching and waiting. In her house were so many plants and jars of insects that her kitchen began to look more like a research lab.

After almost 20 years of hard work, Merian published a book about insects in 1679. There had already been books about insects, but Merian's was special. While no other books had ever depicted the full life cycle of insects, Merian's showed each stage of metamorphosis in detail. In addition, Merian revealed the relationships between living things by illustrating insects within their natural surroundings. This was different from other drawings of the time, which displayed only single specimens on a plain background. In an era when most scientists perceived plants and animals individually, Merian paid attention to how they fit together.

Many years passed and Merian moved to Amsterdam, where she was able to sell her paintings and view marvelous and exotic butterfly specimens that other enthusiasts had collected. However, seeing these lifeless creatures stuck in cases only made Merian desire to see them in their real habitat.

Finally, in June 1699, at 52 years of age, Merian and her youngest daughter got on a ship headed for Surinam, a territory belonging to the Netherlands in South America. This was a bold challenge. In addition to being a female naturalist in the male-dominated world of 17th-century science, Merian was also setting out on an expedition with purely scientific goals before it became common.

She spent about two years in Surinam, exploring the rainforests. Confronted with intense heat, fierce tropical storms, and dangerous animals such as tarantulas and flesh-eating fish, Merian continued to collect every sample she could get. In her own house, she kept the insects she brought out of the forests and made numerous descriptions and paintings. Eventually she painted more than 90 species of insects and at least 60 species of plants.

With these paintings she published her life's work, Metamorphosis of the Insects of Surinam, in 1705. The book showed Merian's passion for both insects and painting. It was a truly remarkable book for its time, which contained colorful and detailed paintings of butterflies, bees, spiders, frogs, and even snakes.

One illustration shows a bright blue butterfly flying over the colorful flowers of a pomegranate plant, with another butterfly sitting nearby and a caterpillar creeping down the flower stem. Another depicts two spider webs stretched between tree branches, with tarantulas and ants attacking their prey.

When the book was published, it had a tremendous influence on the scientific understanding of insects at the time. Some scientists even used her illustrations in the classification of species. Her work also brought new life not just to insect study but to the art world. Goethe, a celebrated German poet, also must have been impressed by her work. He praised Merian's talent for weaving art and science together.

In spite of this success, the popularity of her work faded after her death. It is thought that this was because she was not a professional researcher and had no formal education. Furthermore, her work dealt with flowers and insects, not the historical or religious topics that prevailed in those days.

In the 20th century, however, Maria Sibylla Merian's work was reevaluated. Historians and artists began to recognize her extraordinary accomplishments and her passion that contributed so much to early modern science. In recognition of her achievement, Germany put her portrait on their 500-mark bill, and today many schools there are named after her.

Maria Sibylla Merian was a naturalist whose passion for plants and insects left its mark on the science world. While other scientists of the day were debating whether or not insects grew out of mud, she demonstrated the stages of metamorphosis. To the art world, Merian was one of the first to show the artistic power of nature. Despite the doubts, suspicion, and ridicule she faced for being so different from “typical” women, Merian is now known as one of the greatest scientific illustrators in history.

오늘날, 나비가 알-애벌레-번데기의 주기를 거친다는 것은 상식이다. 그러나, 17세기까지만 해도 많은 사람들은 나비와 애벌레를 완전히 다른 생명체로 여겼다. 그들은 곤충이 진흙에서 생기는 사악한 생물이라고 믿었다. 반면, 나비는 여름 새로 여겨졌으며, 따뜻한 날씨에 하늘에서 떨어졌다가 가을이면 사라진다고 흔히 믿어졌다.

그러한 시대에, 한 여성이 선구자로서 두각을 보였다. 곤충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 이상하고 기이하게 여겨졌음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곤충 변태의 많은 사례들을 관찰했고 이런 귀중한 과학적 관찰들을 자신의 독특한 그림을 통해 기록했다. 그녀의 이름은 Maria Sibylla Merian이었다.

Merian1647년에 독일의 프랑크푸르트에서 태어났다. 그녀가 아직 어렸을 때, 그녀는 꽃을 그리는 것에 매우 관심이 있었다. 한번은 그녀가 그림을 그릴 꽃을 찾기 위해 부유한 이웃의 담을 넘었다고 한다. 그녀는 주인의 허락 없이 몇 송이의 튤립을 가져갔다. 그녀는 당시에 그것이 얼마나 비싼지 몰랐던 것이 분명하다. 어린 Maria가 자신의 행동을 자백했을 때, 이웃은 그 그림을 보여 달라고 요청했다. 그녀의 그림을 보고, 그는 매우 감동해서 보상으로 그저 그 그림만을 요구했다.

그녀가 열세 살이었을 때, Merian은 곤충에 깊은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어린 여자아이가 애벌레, 거미, 그리고 다른 곤충들에 열정적인 것은 흔치 않았지만, Merian은 때로 그것들을 몇 주 동안 계속 지켜볼 정도로 사로잡혀 있었다. 그녀는 미묘한 변화들까지도 묘사하며 그것들의 생명 주기의 각 단계를 세심히 그렸다.

Merian이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은 후에도, 곤충에 대한 그녀의 열정은 사그라지지 않았다. 그녀는 연구를 하고 그림을 그리기 위해 애벌레와 나비를 집에서 길렀다. 변화의 매 순간을 포착하기 위해, 그녀는 관찰하고 기다리며 많은 밤을 지새웠다. 그녀의 집에는 식물들과 곤충이 담긴 병들이 너무 많아서 그녀의 주방은 연구실처럼 보이기 시작했다.

거의 20년의 노력 끝에, Merian1679년에 곤충에 관한 책을 출간했다. 곤충에 관한 책들은 이미 있었지만, Merian의 책은 특별했다. 어떤 책도 곤충들의 완전한 생명 주기를 묘사한 적이 없었던 반면에, Merian의 책은 변태의 각 단계를 자세히 보여 주었다. 게다가, Merian은 자연환경 내에 있는 곤충들을 그림으로써 생물들 사이의 관계를 밝혔다. 이것은 그 당시의 다른 그림들과는 달랐는데, 그것들은 단순한 배경에 단 하나의 표본들만을 보여 주었을 뿐이었다. 대부분의 과학자들이 식물과 동물을 개별적으로 여겼던 시대에, Merian은 그것들이 어떻게 잘 어울리는지에 주목했다.

몇 년이 지나 Merian은 암스테르담으로 갔는데, 그곳에서 그녀는 자신의 그림들을 판매하고 다른 열정적인 사람들이 수집한 신기하고 이국적인 나비 표본들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진열장에 박혀 있는 이러한 죽은 생물들을 보는 것은 Merian으로 하여금 그것들을 실제 서식지에서 보고 싶게 만들었을 뿐이었다.

마침내, 16996, 52세의 나이에 Merian과 그녀의 막내딸은 네덜란드에 속하는 영토인 남아메리카의 수리남으로 향하는 배에 올랐다. 이것은 대담한 도전이었다. 남성 중심의 17세기 과학계에서 여성 동식물 학자였을 뿐만 아니라, Merian은 또한 오직 과학적인 목적으로 탐험을 떠나는 것이 보편화되기 전에 탐험을 떠나고 있었다.

그녀는 열대 우림을 탐험하면서 수리남에서 약 2년을 보냈다. 폭염, 극심한 열대성 폭풍, 그리고 타란툴라 거미와 육식 물고기 같은 위험한 동물들에 맞서며, Merian은 구할 수 있는 모든 표본을 계속해서 수집했다. 자신의 집에서 그녀는 숲에서 가져온 곤충들을 길렀고 많은 묘사와 그림들을 만들어냈다. 마침내 그녀는 90종 이상의 곤충들과 최소 60종의 식물들을 그렸다.

이 그림들을 가지고 그녀는 자신의 필생의 역작인 수리남 곤충의 변태1705년에 출간했다. 그 책은 곤충과 그림에 대한 Merian의 열정을 보여 주었다. 이것은 이 당시에 정말 놀라운 책으로, 나비, , 거미, 개구리, 그리고 심지어 뱀에 대한 다채롭고 상세한 그림들을 포함했다.

한 그림은 석류나무의 다채로운 꽃들 위로 날고 있는 밝은 파란색 나비를 보여 주는데, 또 다른 나비가 가까이에 앉아 있고 애벌레 한 마리가 꽃줄기를 기어 내려가고 있다. 또 다른 그림은 나뭇가지들 사이에 펼쳐진 두 개의 거미줄을 묘사하는데, 타란툴라와 개미들이 그들의 먹이를 공격하고 있다.

이 책이 출간되었을 때, 그것은 그 당시 곤충에 대한 과학적인 이해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어떤 과학자들은 심지어 종의 분류에 그녀의 그림들을 사용했다. 그녀의 작품은 곤충 연구뿐 아니라 예술계에도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었다. 독일의 유명한 시인인 괴테 또한 그녀의 작품에 감명받았음이 틀림없다. 그는 예술과 과학을 접목한 Merian의 재능을 칭찬했다.

이러한 성공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작품의 인기는 그녀의 사망 이후 시들해졌다. 이것은 그녀가 전문적인 연구가가 아니었고 정규 교육을 받지 못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게다가, 그녀의 작품은 당시에 유행했던 역사적이거나 종교적인 소재가 아닌 꽃과 곤충을 다루었다.

하지만, 20세기에 Maria Sibylla Merian의 작품은 재평가되었다. 역사가들과 예술가들은 초기 현대 과학에 지대하게 기여했던 그녀의 뛰어난 업적과 열정을 인정하기 시작했다. 그녀의 업적을 인정하여 독일은 500마르크 지폐에 그녀의 초상화를 넣었으며, 오늘날 그곳의 많은 학교들은 그녀의 이름을 따서 이름이 지어졌다.

Maria Sibylla Merian은 식물과 곤충에 대한 열정이 과학계에 자취를 남긴 동식물 학자였다. 당시의 다른 과학자들이 곤충이 진흙에서 생겨나는지 아닌지를 논쟁하고 있던 동안 그녀는 변태의 단계들을 입증하였다. 예술계에는, Merian이 자연의 예술적인 힘을 보여준 최초의 인물 중 하나였다. ‘일반적인여성과 매우 다르다는 이유로 그녀가 직면했던 의심과 의혹, 조롱에도 불구하고, Merian은 이제 역사상 가장 위대한 과학 삽화가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

반응형
반응형

고2 영어2 능(김) 1과 본문(좌본우해).pdf
0.26MB
고2 영어2 능(김) 1과 본문(한줄해석).pdf
0.30MB
고2 영어2 능(김) 1과 본문해석연습.pdf
0.20MB
고2 영어2 능(김) 1과 어휘정리.pdf
0.19MB
고2 영어2 능(김) 1과 어휘테스트.pdf
0.20MB


※ 타 카페 / 블로그에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 PDF로만 파일을 제공합니다.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만덕영어학원][만덕영어과외]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무능한 학생은 없다

blog.naver.com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알파카의영어농장

학생들과 호흡하며 수업을 진행하다보니 때로는 느슨한 호흡으로 진행할 수 밖에 없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교과 어휘 및 본문 자료, 모의고사 관련 변형 등 관련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를 통해

www.youtube.com


One of the best things that travel gives us is the memories of the places we've visited and the special experiences we had there. In order to hold on to these precious memories, we often bring home souvenirs. These souvenirs tend to be objects like postcards, fridge magnets, and key chains. However, a souvenir doesn't have to be something purchased in a gift shop. In fact, the word souvenir means "memory" in French, so whatever brings back memories could be called a "souvenir." Then what can we keep as souvenirs to preserve our travel memories other than ordinary gift shop products? Let's look into what other travelers do to make their travel memories last longer.

Make a Plate with Your Travel Maps Matthew (24, UK)

Buying souvenirs and taking photos can be good ways to remember a trip, but most of the time I would store these things somewhere and hardly ever look at them, and thus they would be slowly forgotten. So I came up with my own method of preserving memories in a more interesting and visible way.

I started doing this two years ago when I got an opportunity to travel around Europe with one of my best friends. It was a spontaneous trip, so we relied mainly on paper maps from hostels or tourist information offices. Every day, we planned our route and sightseeing stops on those maps. When I returned home, I realized I had accumulated lots of these maps, and suddenly I thought I could make a souvenir out of them.

I began by cutting out some landmarks from the map that showed the best parts of our trip, such as the Eiffel Tower, St. Peter's Basilica, and the Colosseum. Then I got an ordinary plate and pasted the map pieces onto it using special glue. Finally, I put a layer of sealant over the whole plate so that the paper wouldn't fade or wear out over time. The result is a wonderful decoration that I can look at every day. It is also a terrific reminder of every place I visited.

Keep Charms on a Bracelet Sarah (56, USA)

Shortly after my wedding 30 years ago, I went on a road trip with my husband. We started in New York City and drove across the entire country to San Francisco. There, at a tiny souvenir shop, my husband found a bracelet charm in the shape of the Golden Gate Bridge. When I saw this cute little charm, I thought it would be a great souvenir to remember the trip, so I bought it to hang on my silver bracelet. This turned out to be the beginning of a lifelong tradition.

After a few months, my husband and I got a chance to travel to Moscow. There, we happened to find a tiny St. Basil's Cathedral charm and it reminded me of the first charm from San Francisco. Without a moment's hesitation, we bought it to add to the bracelet. Since then, we have managed to find the perfect charm on every trip. We now have nearly 20 different charmsone from each trip. We have a Taj Mahal charm from India, a Parthenon charm from Greece, and even an elephant charm from Kenya. As my children grew up, they helped choose some of the charms, so our whole family can look back at every trip we've taken together.

Save Your SIM Cards and Hotspots Aamir (32, India)

Whether it's for uploading status messages and selfies on social networks or for looking up the best restaurants, staying connected online is not an option but a must for many travelers these days. However, finding an affordable way to get a reliable connection when traveling overseas can be very challenging. So I buy a SIM card when I get to a foreign country. At a reasonable price I can get the same connection speed as the locals. That's not all. Because countries all have different telecommunication companies, each SIM card is a unique souvenir of my trip to that country. What's more, as SIM cards don't take up luggage space, they're very easy to take home. I have a collection of nine already, and it's growing fast!

Another thing I collect might sound strange: Wi-Fi hotspots. Whenever I'm in a place I want to remember, I purposely connect to the Wi-Fi. Then, the hotspot name is automatically stored on my phone from that time on! Occasionally I glance through the list of all the museums, resorts, restaurants, and other places I've visited in my travels. Although I can't connect to these hotspots when I get home, just catching a glimpse of one of their names on the list makes me excited. All the memories from that place come flooding into my mind, and I can remember exactly what it was like to be, for example, at that peaceful terrace near the shore in Bali. For a moment, it's almost like I'm actually there!

Make Friends and Keep in Touch Hyojeong (18, Korea)

For me, the best souvenirs are new friends I make while traveling. Obviously, I can't put the people in my suitcase to take them home, but while we're together, I can have conversations and laugh with them. Sometimes I add them on social media or ask for their contact information so that I can stay in touch with them.

Two years ago I made friends with an elderly couple from Japan I met at the Jeonju Hanok Village. While in the restroom, I happened upon a woman's bag. Right away, I took it to a nearby police station. When I got there, I met an elderly couple who had come there looking for their lost bag. Happily, the woman was the owner of the bag that I had found, so I handed it to them.

They were so thankful that they treated me to dinner, and we had a great time together. We still keep in touch, and last year they even visited my home in Gyeongju. For me, this proves that a good relationship is the best souvenir, because it can make the memories of a trip last for a long time.

Save Precious Memories with Your Own Souvenirs

In the end, travel is really about personal memories and unique experiences that will color your soul and enrich your life. So the next time you think about grabbing a souvenir as a reminder of your trip, remember: whatever captures your own priceless moments will be better than any souvenir you can easily buy with money.

여행이 우리에게 주는 최고의 것들 중 하나는 우리가 방문했던 장소들에 대한 추억들과 우리가 그곳에서 가졌던 특별한 경험들이다. 이런 소중한 추억들을 간직하기 위해 우리는 종종 집에 기념품들을 가져온다. 이 기념품들은 엽서, 냉장고에 붙이는 자석, 열쇠고리와 같은 물건들이기 쉽다. 하지만, 기념품이 선물 가게에서 구입한 것일 필요는 없다. 사실, souvenir 라는 단어는 프랑스어로 '기억'을 뜻하므로, 기억을 떠올리게 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souvenir'라 불릴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여행의 추억을 간직할 기념품으로 선물 가게의 평범한 제품들 외에 무엇을 간직할 수 있을까? 다른 여행자들은 그들의 여행의 추억을 더 오래 간직하기 위해 무엇을 하는지 살펴보자.

Matthew (24, 영국):

당신의 여행 지도로 접시를 만들어라

기념품을 사고 사진을 찍는 것은 여행을 기억하는 좋은 방법일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나는 이런 것들을 어딘가에 보관해 두고는 거의 들여다보지 않아서, 그것들은 서서히 잊혀지곤 했다. 그래서 나는 더 흥미롭고 눈에 보이는 방식으로 추억을 간직하는 나만의 방법을 생각해냈다.

나는 2년 전 나의 가장 친한 친구들 중 한 명과 유럽을 일주할 기회가 있었을 때 이것을 하기 시작했다. 그건 즉흥적인 여행이어서, 우리는 주로 호스텔이나 관광안내소에서 얻은 종이 지도에 의존했다. 매일 우리는 그 지도들 위에 우리의 경로와 관광을 위해 들를 곳들을 계획했다. 집에 돌아왔을 때, 나는 이런 지도들을 많이 모았다는 걸 깨달았고, 이것들로 기념품을 만들 수 있겠다는 생각이 갑자기 들었다.

나는 에펠탑, 성 베드로 대성당, 콜로세움과 같이 우리 여행에서 가장 좋았던 부분들을 보여 주는 몇몇 명소들을 지도에서 오려내는 것부터 시작했다. 그런 다음 평범한 접시를 가져다가 그 위에 특수 접착제를 사용해서 지도 조각들을 붙였다. 마지막으로, 시간이 흐르면서 종이가 바래거나 닳지 않도록 접시 전체에 밀봉제를 한 겹 발랐다. 그 결과 내가 매일 볼 수 있는 멋진 장식품이 되었다. 그것은 또한 내가 방문했던 모든 곳을 생각나게 하는 훌륭한 기념품이기도 하다.

Sarah (56, 미국):

장식물을 팔찌에 간직해라

30년 전 결혼식 직후 나는 남편과 함께 자동차 여행을 떠났다. 우리는 뉴욕시에서 출발하여 전국을 횡단해서 샌프란시스코까지 운전해 갔다. 그곳의 아주 작은 기념품 가게에서 남편이 금문교 모양의 팔찌 장식물을 발견했다. 이 귀엽고 작은 장식물을 봤을 때, 나는 그것이 그 여행을 기념할 훌륭한 기념품이 될 거라고 생각했고, 그래서 내 은팔찌에 걸기 위해 그것을 샀다. 이것은 결국 평생 이어지는 전통의 시작이 되었다.

몇 달 뒤, 남편과 나는 모스크바로 여행할 기회를 얻었다. 그곳에서, 우린 우연히 성 바실리 성당 모양의 아주 작은 장식물을 발견했고, 그것은 내게 샌프란시스코에서 샀던 첫 번째 장식물을 생각나게 했다. 한 순간의 망설임도 없이 우린 팔찌에 추가하기 위해 그것을 샀다. 그때부터, 우린 모든 여행에서 완벽한 장식물을 용케 찾아내 오고 있다. 우린 이제 각 여행에서 하나씩 거의 스무 개의 서로 다른 장식물을 가지고 있다. 인도에서 산 타지마할 장식물, 그리스에서 산 파르테논 장식물, 심지어는 케냐에서 산 코끼리 장식물까지 가지고 있다. 우리 아이들이 자라면서, 그들이 몇몇 장식물들을 고르는 걸 도와줘서, 온 가족이 우리가 함께 했던 모든 여행을 돌아볼 수 있다.

Aamir (32, 인도):

SIM 카드와 핫스팟을 모아라

소셜 네트워크에 상태 메시지와 자신의 사진을 올리기 위해서든 아니면 최고의 식당을 찾기 위해서든 간에,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요즘 많은 여행자들에게 선택사항이 아니라 필수사항이다. 하지만, 해외여행을 할 때 믿을 만한 연결을 얻을 수 있는 적당한 가격의 방법을 찾기는 매우 힘들다. 그래서 나는 외국에 도착하면 SIM 카드를 산다. 적당한 가격에 현지인들과 같은 연결 속도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이 전부가 아니다. 나라마다 모두 다른 통신회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SIM 카드는 그 나라로의 내 여행의 독특한 기념품이다. 게다가, SIM 카드는 짐 공간을 차지하지도 않아서 집에 가져가기에 굉장히 쉽다. 나는 이미 아홉 개를 수집했고, 그것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내가 모으는 또 다른 것은 이상하게 들릴지도 모르지만 와이파이 핫스팟이다. 기억하고 싶은 장소에 있을 때마다 나는 일부러 와이파이에 연결한다. 그러면, 그때부터 그 핫스팟의 이름이 자동으로 내 전화기에 저장된다! 가끔 나는 내가 여행할 때 방문했던 모든 박물관, 휴양지, 식당과 다른 장소들의 목록을 쭉 훑어본다. 비록 집으로 돌아오면 이 핫스팟들에 연결할 수는 없지만, 그 목록에 있는 이름들 중 하나를 힐끗 보기만 해도 나는 신이 난다. 그곳에서의 모든 추억들이 마음속으로 밀려들어 오면서, 나는, 예를 들어 발리 해안 근처의 그 평화로운 테라스에 있던 기분이 어땠는지를 정확하게 기억해 낼 수 있다. 잠시 동안, 마치 내가 실제로 그곳에 있는 것 같다!

효정 (18, 한국):

친구를 사귀고 연락하며 지내라

내게 있어 최고의 기념품은 내가 여행하는 동안 사귀는 새로운 친구들이다. 분명, 내가 그 사람들을 내 여행 가방에 넣어서 집으로 데려올 수는 없지만, 우리가 함께 있는 동안 난 그들과 함께 대화하고 웃을 수 있다. 가끔 나는 그들과 연락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그들을 소셜 미디어에 추가하거나 그들의 연락처를 물어본다.

2년 전 나는 전주 한옥마을에서 만난 일본에서 온 노부부와 친구가 되었다. 화장실에 있는 동안, 나는 우연히 어떤 여성의 가방을 발견했다. 곧장, 나는 그걸 근처의 경찰서로 가져갔다. 거기 도착했을 때, 나는 잃어버린 가방을 찾아 그곳에 와 있던 노부부를 만났다. 다행히도 그 여자분이 내가 발견한 가방의 주인이어서, 나는 그걸 그들에게 건네주었다.

그들은 너무나 고마워하며 내게 저녁 식사를 대접했고, 우리는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우리는 여전히 연락하고 지내며, 작년에는 그들이 경주에 있는 우리 집에도 방문했다. 내게 있어 이 일은 좋은 관계가 최고의 기념품이라는 걸 증명해 주는데, 왜냐하면 그것은 여행의 추억들이 오랫동안 지속되도록 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당신만의 기념품으로 소중한 추억을 간직해라

결국, 여행이란 당신의 마음을 물들이고 당신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개인적인 추억과 특별한 경험에 관한 것이다. 그러니 다음에 당신이 여행을 떠올리게 하는 것으로 기념품을 사는 것에 대해 생각할 때면 기억해라. 당신의 소중한 순간들을 담아내는 것은 무엇이든 당신이 돈으로 쉽게 살 수 있는 어떤 기념품보다 더 나을 것이다.

반응형
반응형

고1 능(김) 8과 본문(좌본우해).pdf
0.22MB
고1 능(김) 8과 본문(한줄해석).pdf
0.26MB
고1 능(김) 8과 본문해석연습.pdf
0.18MB
고1 능(김) 8과 어휘정리.pdf
0.13MB
고1 능(김) 8과 어휘테스트.pdf
0.13MB


※ 수정사항이 있어 재업로드합니다. 수업/학습에 용이하게 쓰이길 바랍니다.

※ 타 카페 / 블로그에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 PDF로만 파일을 제공합니다.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만덕영어학원][만덕영어과외]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무능한 학생은 없다

blog.naver.com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알파카의영어농장

학생들과 호흡하며 수업을 진행하다보니 때로는 느슨한 호흡으로 진행할 수 밖에 없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교과 어휘 및 본문 자료, 모의고사 관련 변형 등 관련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를 통해

www.youtube.com


Host: Hello, everyone! Welcome to The Dr. Brain Show. I'm your host, Joseph Emerson. Can you think back to a time when a friend upset you? Let's imagine that you decided to write an angry message to that friend. You say some harsh things that you normally wouldn't say. You're so angry that you don't care. When you're about to push "send," you think about whether it's a good idea. Before you know it, you've sent the message anyway. Teens are more likely to make these types of decisions than adults. With the help of our guest, we'll learn why teens tend to act before thinking everything through. Now, here's our guest for tonight, Dr. Jenny Clarkson! Thank you for joining us, doctor!

Dr. C: Thank you for having me, Joseph!

Host: Dr. Clarkson, could you first tell us about how we make decisions?

Dr. C: Sure. It seems like we make decisions almost immediately, but our brain actually has to go through several steps before deciding anything. Neurons, which are special brain cells, make up different structures in our brains. These structures send signals to each other. After the structures finish evaluating all the signals, they will send out a response that will tell our body what to do.

Host: I see. Does this process happen exactly the same way in everyone's brain?

Dr. C: People basically go through the same decision-making process, but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teens and adults. Scientists used to think that the brain was done growing by the time you turned 12 since the brain reaches its maximum size around that age. However, studies show that some parts of the brain continue to develop until the early twenties. That means teens' brains are still maturing and not completely developed. This may be why teens seem to make risky decisions.

Host: Very interesting! Please tell us mor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brains and their decision-making.

Dr. C: Well, the region that controls emotions matures faster than the part of the brain that helps you think ahead and measure risk. Teens therefore rely on it heavily, which means they are influenced more by feelings and instincts than by reason when making decisions. In other words, teens are usually not inclined to consider all the consequences of their actions, so they make choices that they end up regretting.

Host: So what you're saying is teens are likely to make choices based on their feelings since their brains are not fully developed.

Dr. C: That's right. However, this is not the whole story. Teens' brains are also going through other important changes. Their brains are constantly identifying and removing any weak connections between neurons. For example, if teens aren't reading, doing experiments, or solving problems, then the brain will get rid of the connections that are related to those activities. Once those are gone, their brains will put more energy into making other connections stronger.

Host: So, do you mean that the activities teens are involved in can shape the way their brains develop?

Dr. C: Exactly. This is why the types of activities teens choose to participate in are especially important. If a teen decides to play sports or learn an instrument, then the brain will strengthen those connections. On the other hand, if he or she chooses to surf the Internet or play online games all day long, then those connections will survive instead. The harder teens work at building good habits, the stronger those connections in their brains will be.

Host: I see. Do you have any final comments for our viewers?

Dr. C: If we view the adolescent period as merely a process of becoming mature, then it's easy to dismiss it as a passing phase. However, we shouldn't look at the changes that occur in teens' brains only in terms of maturity. Adolescence is also a period when significant changes happen in the brain that help new abilities appear. Therefore, adolescence is not a stage to simply get through, but an important stage in people's lives where they can develop many qualities and abilities, and shape their future.

Host: Thank you for your insight, Dr. Clarkson! We hope the information you've shared will help our viewers at home make more reasonable choices in the future. That's it for The Dr. Brain Show tonight. Good night, everyone!

행자: 안녕하세요, 여러분! The Dr. Brain Show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저는 진행자 Joseph Emerson입니다. 친구가 여러분을 화나게 했던 때를 돌이켜 생각해 볼까요? 여러분이 그 친구에게 분노에 찬 문자메시지를 쓰기로 결심했다고 상상해 봅시다. 여러분은 평소에는 하지 않을 법한 심한 말들을 합니다. 여러분은 너무 화가 나서 개의치 않습니다. “전송을 누르려는 찰나에, 여러분은 이것이 좋은 생각인지 생각합니다. 그걸 깨닫기도 전에, 여러분은 어쨌든 문자메시지를 보내버리고 맙니다. 십 대들은 성인들보다 이러한 유형의 결정을 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초대 손님의 도움으로, 왜 십대들이 모든 것을 충분히 고려하기 전에 행동하는 경향이 있는지에 관해 알아볼 것입니다. 이제, 오늘 밤의 초대 손님을 모셔보죠. Jenny Clarkson박사님입니다! 박사님, 자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Clarkson: Joseph, 초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진행자: Clarkson 박사님, 먼저 저희가 어떻게 의사결정을 하는지에 관해 말씀해 주실 수 있을까요?

Clarkson 박사: 물론입니다. 우리가 거의 즉각적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것처럼 보입니다만, 사실 우리의 뇌는 어떤 것을 결정하기 전에 몇 가지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특수한 뇌세포인 뉴런들은 우리 뇌 속에 상이한 구조들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들은 서로 신호를 주고 받습니다. 그 구조들이 그 모든 신호들을 감정한 이후에, 우리의 신체에 해야 할 일들을 전달하는 회신을 보내죠.

진행자: 알겠습니다. 그렇다면, 이 과정이 모든 사람의 뇌에서 똑같은 방식으로 일어나나요?

Clarkson: 사람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의사결정 과정을 거치지만 십 대와 성인 사이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뇌가 12살 즈음에 최대 크기에 다다르기 때문에 그 무렵에는 뇌의 성장이 완료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연구들이 뇌의 어떤 부분은 이십 대 초반까지 계속해서 발달한다는 것을 보여 줍니다. 이것은 십대들의 뇌가 여전히 자라는 중이고 완전히 발달되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 이것이 아마도 십 대들이 위험한 결정을 하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일 수 있습니다.

진행자: 매우 흥미롭네요! 십 대들의 뇌와 의사결정 간의 관계에 대해 좀 더 말씀해 주시죠.

Clarkson: 감정을 조절하는 영역은 미리 생각해보고 위험 요소를 평가하도록 돕는 뇌 영역보다 먼저 발달합니다. 따라서 십 대들은 그 영역에 대단히 많이 의존하게 되는데요, 이는 십 대들이 의사결정을 할 때 이성보다 감정과 본능에 더 영향을 받는다는 말입니다. 다시 말해, 십 대들은 보통 그들의 행동의 모든 결과를 고려하지 않는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결국 후회하고 말 선택들을 하죠.

진행자: 그렇다면 박사님 말씀은 십 대들은 뇌가 완전히 발달되지 않아서 감정에 기반한 선택들을 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군요.

Clarkson: 그렇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전부는 아닙니다. 십 대들의 뇌는 다른 중요한 변화들도 겪고 있습니다. 그들의 뇌는 끊임없이 뉴런 사이에 약한 연결고리를 찾아 제거하고 있죠. 예를 들어, 십 대들이 독서나 실험, 문제 해결을 하지 않고 있다면, 뇌는 그러한 활동과 관련된 연결고리들을 제거할 것입니다. 일단 그것들이 사라지고 나면, 그들의 뇌는 다른 연결고리들을 더 강하게 만드는 데 더 많은 에너지를 쏟을 것입니다.

진행자: 그렇다면, 십 대들이 참여하고 있는 활동들이 그들의 뇌가 발달하는 방식을 형성할 수 있다는 말씀이신가요?

Clarkson: 바로 그렇습니다. 이것이 십 대들이 참여하기로 선택하는 활동의 종류가 특히 더 중요한 이유입니다. 만약 한 십 대 청소년이 운동을 하거나 악기를 배우겠다고 결정하면, 뇌는 그 연결고리를 강화하겠지요. 반면, 그 학생이 온종일 인터넷을 하거나 온라인 게임을 하기로 선택하면, 그러한 연결고리가 대신 살아남게 될 것입니다. 십 대들이 좋은 습관을 기르려고 더 열심히 노력할수록, 그들 뇌 안의 그러한 연결고리는 더욱 강해질 것입니다.

진행자: 알겠습니다. 시청자분들을 위해 마지막으로 해주실 말씀이 있을까요?

Clarkson: 만약 우리가 청소년기를 단순히 성숙해가는 과정으로만 간주한다면, 그것을 그저 지나가는 단계로 치부해버리기 쉽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십 대들의 뇌에서 일어나는 변화들을 성숙이라는 관점에서만 보아서는 안 됩니다. 청소년기는 새로운 재능들이 나타나도록 돕는 중요한 변화가 뇌 안에서 일어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청소년기는 그저 견뎌내어야 하는 단계가 아니라 삶에서 그들이 많은 자질과 능력을 발달시키고 그들의 미래를 설계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진행자: Clarkson 박사님,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 오늘 나눠주신 정보가 가정에 계신 시청자 여러분들이 미래에 더 합리적인 선택을 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오늘 The Dr. Brain Show는 여기까지입니다. 여러분, 좋은 밤 보내십시오!

반응형
반응형

고1 능(김) 4과 본문(좌본우해).pdf
0.28MB
고1 능(김) 4과 본문(한줄해석).pdf
0.32MB
고1 능(김) 4과 본문해석연습.pdf
0.24MB
고1 능(김) 4과 어휘정리.pdf
0.12MB
고1 능(김) 4과 어휘테스트.pdf
0.13MB


※ 수정사항이 있어 재업로드합니다. 수업/학습에 용이하게 쓰이길 바랍니다.

※ 타 카페 / 블로그에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 PDF로만 파일을 제공합니다.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만덕영어학원][만덕영어과외]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무능한 학생은 없다

blog.naver.com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알파카의영어농장

학생들과 호흡하며 수업을 진행하다보니 때로는 느슨한 호흡으로 진행할 수 밖에 없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교과 어휘 및 본문 자료, 모의고사 관련 변형 등 관련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를 통해

www.youtube.com


Sometimes you may feel upset when you wake up suddenly from a nightmare, but you can always let out a sigh of relief. No matter how scary the dream was, at least you've woken up safe and sound in your own home. You can go back to sleep because you know your loved ones are just around the corner in their own beds. Your home is a special place that protects you and your family from everything.

Unfortunately, this is not a reality that everyone shares. Many people around the world don't wake up in a soft and comfortable bed. Instead, they open their eyes to see a dirt floor or a leaking roof. I didn't realize for a long time that something I take for granted could be someone else's biggest dream.

One day, I learned about a program that needed volunteers to go to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to help build houses for the poor. After watching a presentation about it, I was really touched by the mission, so I decided to take part in the next volunteer trip. I had my doubts, though. I didn't know anything about construction, and we'd only be there for two weeks. Could we really change these people's lives as the presentation had suggested? I was going to find out soon enough.

The volunteers and I got to meet the family that would be moving into the home we were going to build the day after we arrived in Karjat, India. This family of five was living in a one-room hut. It was quite clear that this place was not big enough to house all the family members. In addition to that, there were jars everywhere to catch all the rainwater dripping from the roof. With all these jars on the floor, there was hardly any space to sit, let alone lie down. It was shocking to see how they were living. After meeting them, I felt even more determined to build them a beautiful home.

There were clear skies and temperatures over 30that first week. Under the burning sun, we carried bricks, mixed concrete, and dug holes for pipes. We had to slowly take apart the family's hut to get more bricks and other materials for the new house. Every morning, the family and their neighbors would provide breakfast for everyone. Then, all of usthe volunteers, community members, and the familywould start working. We would share food and stories from time to time. When evening came, we were all very tired and sweaty, but we were happy.

After another week, the home was finally finished. On the last day, we had a party to celebrate the completion of the new house. It was the best way to end such an incredible experience. The entire community was there. Everyone was dancing or crying tears of joy. I will never forget the looks on the faces of the family as they waved goodbye to us.

As I look back on this trip, I find it amazing that so many different people came together to build a house for a family they'd never met. For many of us, it was the first time we'd ever built a house. The work was hard, but not one person ever stopped smiling or even complained. I'm thankful for the friendships I've made through this trip. In addition, I learned so much from the other volunteers, the community members, and this family. I thought I was there to give, but I received so much more in return. This experience has inspired me to continue building houses for others. I hope it will also encourage my friends and family members to help out in the future.

Although two weeks may not seem like a long time, I had the chance to make new friends, learn about a different culture, and, most importantly, do something that makes the lives of others better. I am so glad that this family now has a safe place where they can lay their heads. I believe everyone deserves a decent home. Right now, there are still many people around the world without a place to live. They are the reason why ordinary people like me want to go out there and help put a roof over their head.

때로 악몽을 꾸다가 갑자기 깨어나면 기분이 나쁠 수도 있지만, 당신은 늘 안도의 한숨을 쉴 수 있다. 꿈이 아무리 무서웠다하더라도 최소한 당신의 집에서 무사히 깨어난 것이다. 당신은 사랑하는 사람들이 바로 근처 각자의 잠자리에 있다는 것을 알기에 다시 잠을 잘 수 있다. 당신의 집은 모든 것으로부터 당신과 가족을 보호해주는 특별한 장소이다.

불행하게도 이는 모든 사람에게 공통되는 상황은 아니다. 세상의 많은 이들이 부드럽고 편안한 침대에서 잠을 깨지 않는다. 대신 그들은 눈을 떠서 흙바닥이나 물이 새는 지붕을 보게 된다. 오랫동안 나는 내가 당연하게 여긴 것이 누군가에게는 가장 큰 꿈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했다.

어느 날 나는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집을 짓는 것을 돕기 위해 세계의 여러 곳으로 갈 자원봉사자를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에 대해 알게 되었다. 이에 관한 발표를 본 후, 나는 이 임무에 대해 감동을 받아 다음 자원봉사자 여행에 참여하기로 결심했다. 하지만 의문도 들었다. 나는 건설에 대해 아무것도 아는 것이 없었으며 우리는 겨우 2주일 동안만 그곳에 머무르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정말로 발표에서 말한 것처럼 우리가 그들의 삶을 바꾸어놓을 수 있을까? 나는 곧 알게 될 터였다.

자원봉사자들과 나는 인도의 Karjat에 도착한 다음 날 우리가 지을 집으로 이사하기로 되어 있는 가족을 만나게 되었다. 다섯 식구가 방 한 칸짜리 오두막에 살고 있었다. 이 장소가 모든 가족 구성원들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아님은 명백했다. 그것 이외에도 지붕에서 떨어지는 빗물을 받아내기 위해 여기저기 항아리가 놓여 있었다. 바닥에 이 항아리들 때문에 눕기는커녕 앉을 자리도 마땅치 않았다. 이들이 어떻게 살아가는지 보는 것은 충격적이었다. 이들을 만나고 나서 나는 그들에게 아름다운 집을 지어주리라 더욱더 마음을 다잡게 되었다.

첫 주에는 날이 맑았고 기온은 섭씨 30도가 넘었다. 타오르는 태양 아래 우리는 벽돌을 나르고, 콘크리트를 섞고, 파이프를 심기 위한 구멍을 팠다. 새집을 위한 벽돌과 자재들을 더 얻기 위해 원래 오두막을 서서히 해체해야 했다. 매일 아침 집주인 가족과 이웃들이 모든 이들에게 아침을 제공해주곤 했다. 그러고서 자원봉사자들과 지역 주민들, 집주인 가족들이 모두 일을 시작하였다. 때로 먹을 것과 이야기들을 나누었다. 저녁이 되면 모두 지치고 땀투성이가 되었지만 행복했다.

한 주가 더 지난 후, 집이 마침내 완성되었다. 마지막 날, 우리는 새로운 집의 완성을 축하하기 위해 파티를 열었다. 그것은 놀라운 경험을 마무리 짓는 가장 좋은 방법이었다. 모든 지역 주민들이 함께 했다. 모두가 춤추거나 기쁨의 눈물을 흘렸다. 나는 우리에게 작별의 손을 흔들던 가족들의 얼굴 표정을 결코 잊지 않을 것이다.

이 여행을 돌아보면서 나는 그렇게 많은 다양한 사람들이, 전혀 만나보지도 못한 가족을 위해 집을 지으러 함께 왔다는 사실이 놀라웠다. 우리 중 많은 이들에게는 집을 짓는 것이 처음이었다. 일은 힘들었지만 단 한 명도 미소를 그치거나 불평하지 않았다. 나는 이 여행을 통해 얻은 우정에 대해 감사하게 생각한다. 게다가 다른 자원봉사자들과 지역 주민들, 그리고 이 가족으로부터 나는 많은 것을 배웠다. 내가 뭔가를 주러 그곳에 간다고 생각했지만 오히려 너무나 많은 것을 받았다. 이 경험은 다른 이들을 위해 집 짓는 일을 계속하도록 나를 고무시켜주었다. 이것이 내 친구들이나 가족 구성원들도 훗날 다른 사람을 도와주도록 격려할 수 있으면 좋겠다.

2주라는 시간이 그리 길어 보이지 않을 수도 있지만, 나는 새로운 친구를 사귀고 다른 문화에 대해 배우며 가장 중요하게는 타인의 삶을 더 나아지게 만드는 일을 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이 가족이 머리를 누일 수 있는 안전한 장소를 갖게 되었다는 사실이 매우 기쁘다. 나는 모든 사람이 제대로 된 집에서 살 자격이 있다고 믿는다. 지금 이 순간에도 살 곳이 없는 많은 사람들이 아직 세계 도처에 있다. 그들은 나처럼 평범한 사람이 그곳에 가서 집을 지어 주고 싶게 하는 이유이다.

반응형
반응형

고1 능(김) 2과 본문(좌본우해).pdf
0.29MB
고1 능(김) 2과 본문(한줄해석).pdf
0.33MB
고1 능(김) 2과 본문해석연습.pdf
0.26MB
고1 능(김) 2과 어휘정리.pdf
0.14MB
고1 능(김) 2과 어휘테스트.pdf
0.15MB


※ 수정사항이 있어 재업로드합니다. 수업/학습에 용이하게 쓰이길 바랍니다.

※ 타 카페 / 블로그에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 PDF로만 파일을 제공합니다.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만덕영어학원][만덕영어과외]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무능한 학생은 없다

blog.naver.com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알파카의영어농장

학생들과 호흡하며 수업을 진행하다보니 때로는 느슨한 호흡으로 진행할 수 밖에 없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교과 어휘 및 본문 자료, 모의고사 관련 변형 등 관련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를 통해

www.youtube.com

 


Every day during lunch, Jamie enjoys a soft drink and has a decision to make: What should he do with the empty can? Many people would answer, "Recycle it!" Obviously, recycling is good for many reasons. We can reduce the amount of trash thrown away, use less energy than we would to make new products, and conserve natural resources by recycling. However, recycling is not a perfect way to manage waste. It still requires large amounts of energy to purify used resources and convert them into new products. So, what about trying to creatively reuse, or "upcycle," them instead? This new approach is becoming more popular since it is even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than recycling. What's more, it can also be fun! Here are some inspiring examples of how people have creatively upcycled old, used things.

Through upcycling, a seemingly useless object can be transformed into something completely different that is useful for everyday life. What do you think can be done with old truck tarps, car seat belts, and bicycle inner tubes? Individually, these things look like trash, but with a little imagination the Freitag brothers, Markus and Daniel, repurpose them for something totally new: very strong bags. These bags are perfect for bicyclists going to work every day in all kinds of weather. Similarly, a man named Kyle Parsons and his partners have been creatively reusing old motorcycle tires from Bali, Indonesia. A shocking number of tires get thrown away there every year, and they are a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 since they cannot decompose or be recycled. To solve this problem, Parsons and his team are turning them into sandal bottoms. They then use canvas and natural materials to make the other sandal parts. What a great reuse of resources!

*tarp(=tarpaulin) 방수포

Along with small everyday items, much bigger things can also be upcycledeven old buildings that cannot be used for their original purpose anymore. The German government showed us an excellent example of this with a former steel plant that closed in 1985. Rather than destroy the plant's buildings or abandon the entire facility, they decided to give it new meaning as a series of useful public structures. Many of the buildings kept their original shapes, but received extra equipment and new designs in their surrounding areas. For instance, old gas tanks became pools for divers. Concrete walls of iron storage towers were turned into ideal training fields for rock climbers. Can you believe a building for melting metal is now a viewing platform with a gorgeous 360-degree view? The final result is the Landscape Park Duisburg Nord. It has almost 570 acres of land filled with gardens, cycling paths, and pretty lights at night, in addition to its creatively repurposed buildings. This park proves that it's possible to preserve the heritage of a place as well as the environment.

When artists add their own creative touches, things that most people consider junk are reborn as beautiful works of art. The giant pictures made from trash by environmental artist Tom Deininger are one of a kind. Up close, these brightly colored creations look like a mixed-up mess of broken plastic, unwanted toys, and bent wireall things that cannot be recycled. From farther away, however, they appear to blend together into marvelous landscapes or other paintings. There is also an artist who shows that even disposable cups can be reused as artistic material. For years, Gwyneth Leech has turned used coffee cups into brilliant art exhibits. After a cup is used by someone, she paints a unique design on it and hangs it with many other painted cups in front of a window or pretty background. These works from Leech and Deininger are not only pleasing to the eye, but they also naturally provoke an interest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 in people.

As you can see, creative thinking has the power to make many positive changes to the environment. By giving old products more value, we can lessen the amount of waste in a way that is even more eco-friendly than recycling. So what would you say to Jamie now as he decides what to do with his cans? Perhaps he could upcycle them to make lanterns, toys, or sculptures for his friends and family. The options are endless, and all he needs is a little creativity to think of them. In the same way, stop and think before you throw something out. Who knows? Maybe you can turn that trash into treasure.

매일 점심을 먹을 때, Jamie는 청량음료를 마시고 결정을 해야 한다. 이 빈 캔을 가지고 무엇을 해야 할까? 많은 사람들이 재활용 해!”라고 말할 것이다. 분명히 여러 가지 이유에서 재활용은 좋다. 재활용을 함으로써 버려지는 쓰레기 양을 줄이고, 새 제품을 만드는 데 쓰는 것보다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며 천연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하지만, 재활용이 쓰레기를 처리하는 완벽한 방법은 아니다. 재활용은 여전히 사용된 자원을 정화시키고 새 제품으로 바꾸기 위해 많은 양의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그렇다면, 대신 창의적인 재사용, 즉 업사이클을 시도해보는 것은 어떨까? 이 새로운 접근법은 재활용보다 훨씬 더 환경친화적이기 때문에 점점 인기를 얻고 있다. 게다가 재미있기까지 할 수 있다! 여기 사람들이 오래된 중고 물건들을 어떻게 창의적으로 업사이클했는지를 보여주는 고무적인 사례들이 있다.

업사이클링을 통해, 겉보기에는 쓸모없는 물건도 일상 생활에 유용한 완전히 다른 것으로 탈바꿈될 수 있다. 낡은 트럭 방수포, 자동차 안전 벨트, 그리고 자전거 타이어의 안쪽 튜브를 가지고 무엇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개별적으로 보면 이것들은 쓰레기처럼 보일 수 있지만, MarkusDaniel이라는 Freitag 형제는 약간의 상상력으로 이것들을 완전히 새로운 것으로 바꾸었다. 매우 튼튼한 가방이 바로 그것이다. 이 가방들은 어떤 날씨에도 매일 일하러 가는 자전거 이용자들에게 완벽하다. 이와 유사하게, Kyle Parsons라는 남자와 그의 동업자들은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나오는 낡은 오토바이 타이어를 창의적으로 재사용해오고 있다. 그곳에서 매년 엄청난 수의 타이어들이 버려지고, 그것들은 분해되거나 재활용될 수 없기 때문에 심각한 환경 문제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Parsons와 그의 팀은 타이어를 샌들 밑창으로 탈바꿈시키고 있다. 그런 다음 그들은 샌들의 다른 부분들을 만들기 위해 캔버스와 천연 재료들을 활용한다. 얼마나 훌륭한 자원 재활용인가!

작은 일상 물품들과 더불어, 더 커다란 것들도 업사이클될 수 있다. 원래 용도로 더는 사용될 수 없는 오래된 건물들조차도 말이다. 독일 정부는 1985년도에 문을 닫은 철강 공장으로 우리에게 이것의 훌륭한 예를 보여주었다. 공장 건물을 부수거나 전체 시설을 버려두기보다, 그들은 일련의 유용한 공공 구조물로서 그것에게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기로 결정했다. 건물의 많은 부분이 원래 모습을 유지했으나 주변 부지에 추가 설비가 설치되고 새로운 디자인이 입혀졌다. 예를 들면, 오래된 가스탱크는 다이버들을 위한 풀이 되었다. 철을 저장하는 타워들의 콘크리트 벽들은 암벽등반가들을 위한 이상적인 훈련장으로 바뀌었다. 금속을 녹이기 위한 건물이 이제는 360도의 멋진 경치를 보여주는 전망대라는 것을 믿을 수 있겠는가? 그 최종 결과물이 뒤스부르크 환경 공원이다. 이는 창의적으로 개조된 건물들 이외에도 정원, 자전거 길, 밤에 빛나는 멋진 조명으로 가득 찬 대략 570에이커 크기의 땅이다. 이 공원은 환경뿐만 아니라 어떤 장소의 유산도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예술가들이 그들의 창의적인 손길을 더할 때, 대부분의 사람들이 쓰레기로 여기던 사물들이 아름다운 예술작품으로 다시 태어난다. 환경 예술가 Tom Deininger에 의해 쓰레기로 만들어진 거대한 그림들은 매우 독특하다. 가까이 보면, 밝게 색칠된 이 작품들은 조각난 플라스틱과 버려진 장난감, 휘어진 선 등 모두 재활용될 수 없는 것들이 섞여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멀리서 보면, 그들은 보기 좋게 조합되어, 놀라운 풍경 혹은 여타 그림들처럼 보인다. 일회용 컵이 예술적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또 다른 예술가가 있다. 수년간, Gwyneth Leech는 사용된 커피컵을 멋진 미술 전시품으로 바꿔왔다. 컵이 누군가에 의해 사용된 후, 그녀는 컵에 독특한 디자인을 그리고, 유리창이나 예쁜 배경 앞에 그림이 그려진 다른 많은 컵들과 함께 이것을 매달아 놓는다. LeechDeininger의 전시품들은 눈을 즐겁게 할 뿐만 아니라, 자연스럽게 환경 보존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을 유발한다.

당신도 볼 수 있듯, 창의적인 생각은 환경에 있어서 많은 긍정적 변화를 가져오는 힘이 있다. 낡은 제품에 더 많은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우리는 재활용보다 더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쓰레기의 양을 줄일 수 있다. , 그렇다면 이제 음료수 캔으로 무엇을 할지 결정하려는 Jamie에게 뭐라고 말하겠는가? 아마도 그는 친구와 가족을 위한 랜턴, 장난감, 혹은 조각품을 만들기 위해 캔들을 업사이클할 수 있을 것이다. 선택할 수 있는 것은 끝이 없으며, 그가 필요한 것은 그것들에 대해 생각해 볼 약간의 창의성뿐이다. 똑같은 방식으로, 여러분도 무언가를 버리기 전 잠시 멈추어 생각해 보라. 누가 알겠는가? 당신이 쓰레기를 보물로 변화시킬지.

반응형
반응형

고1 능(김) 1과 본문(좌본우해).pdf
0.22MB
고1 능(김) 1과 본문(한줄해석).pdf
0.26MB
고1 능(김) 1과 본문해석연습.pdf
0.18MB
고1 능(김) 1과 어휘정리.pdf
0.14MB
고1 능(김) 1과 어휘정리.png
0.07MB


※ 수정사항이 있어 재업로드합니다. 수업/학습에 용이하게 쓰이길 바랍니다.

※ 타 카페 / 블로그에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 PDF로만 파일을 제공합니다.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만덕영어학원][만덕영어과외]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무능한 학생은 없다

blog.naver.com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알파카의영어농장

학생들과 호흡하며 수업을 진행하다보니 때로는 느슨한 호흡으로 진행할 수 밖에 없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교과 어휘 및 본문 자료, 모의고사 관련 변형 등 관련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를 통해

www.youtube.com

 


With only two minutes to play, both teams were fighting for the football. It was the last home game for the seniors of Winston High, and they were determined to win. Since it had been a close game the whole evening, the best players of each team hadn't left the field. Once Winston High's coach finally knew that victory was theirs, all the seniors on the sidelines were allowed to play for the last few seconds. One of the seniors, Ethan, was especially happy. He had never played in any of the games before. Now, Ethan was finally getting the chance to step onto the grass.

When the rival team dropped the ball, one of our players recovered it and quickly ran down the field with it. Ethan ran right after him to catch up. As our player got closer to the end zone, he saw Ethan behind him on his left. Instead of running straight ahead, the player kindly passed the ball to Ethan so that he could score a touchdown.

All eyes were on Ethan. With the ball in his hands, everything seemed to be moving in slow motion, like in a Hollywood movie. People kept their eyes on him as he made his way to the end zone. They saw him cross the goal line right before the clock ran out.

Unexpectedly, everyone in the crowd leapt to their feet with their hands in the air. They were bursting with excited shouts and unending cheers for Ethan. In this moment, all of Ethan's hard work and dedication was being rewarded with glory. Ethan's touchdown didn't win the game, but it will be worth remembering. By now you're probably wondering why.

Well, Ethan is only five feet tall, and his legs unnaturally bend away from each other. It is difficult for him to walk, run, or move around. Because of his condition, he decided to leave his crowded high school in the big city. He moved to our school in the middle of his first year in high school. That following summer, he asked the coach if he could join the football team as a sophomore. The coach wasn't sure at first, but in the end he allowed Ethan to come to practice. Regardless of his physical difficulties, Ethan worked just as hard as every other player on the team. Although he knew he would never be a valuable player in any of the team's games, he poured his heart and soul into practice every day.

Over time, however, Ethan became valuable to the team in different ways. His passion for the game was an inspiration to all his teammates. Because Ethan motivated and encouraged them, they became his most passionate fans. Day in and day out, seeing Ethan's smile, positive attitude, and hard work lifted everyone's spirits. Right before every game, Ethan would always be in the middle of the group offering motivational words. He had a special talent for calming people down and bringing out the best in them. Ethan was also Winston High's loudest supporter. He always observed each play carefully from the sidelines. Although he wasn't the one making the actual plays on the field, Ethan's mind was always right there with his teammates. Everyone could sense his love for football, and the coaches admired his commitment.

For the past three years, Ethan has been schooling us all in the game of life. He always reminds us that everyone is important to a team's success, though their role on the team may be small. Instead of putting all his efforts into trying to be the team's best player, he has done everything he can to make the team better. As Ethan has shown us, lifting up those around us is also of great worth. When we help others shine, their light will shine on us in return. Yes, sometimes there is something better than being the best.

 

경기 시간 단 2분을 남기고, 양 팀은 공을 차지하기 위해 싸우고 있었다. 이 경기는 윈스턴 고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마지막 홈 경기였고, 그들은 이기려는 의지가 확고했다. 저녁 내내 박빙의 경기였었기 때문에, 각 팀의 핵심 선수들은 필드를 떠나지 않았다. 윈스턴 고의 감독이 마침내 승리가 자신들의 것임을 알았을 때, 사이드라인에 있던 모든 4학년생 선수들은 마지막 몇 초간 뛸 수 있도록 허락받았다. 4학년생 선수 중 하나인 Ethan은 특히 기뻤다. 그는 이전에 어떤 경기에서도 뛰어본 적이 없었다. 이제, Ethan은 마침내 잔디를 밟을 기회를 얻게 된 것이었다.

상대 팀이 공을 놓쳤을 때, 우리 선수 중 한 명이 공을 집어 빠르게 뛰었다. Ethan은 그를 따라잡기 위해 그의 바로 뒤에서 뛰었다. 우리 선수가 엔드존에 좀 더 가까워졌을 때, 그는 왼쪽 뒤에 Ethan이 있는 것을 보았다. 곧장 앞으로 달리는 것 대신에, 그 선수는 Ethan이 터치다운 득점을 할 수 있도록 친절하게 Ethan에게 공을 패스했다.

모든 시선이 Ethan을 향했다. 그의 손에 들린 공과 함께, 모든 것이 할리우드 영화의 한 장면처럼 천천히 움직이는 듯 했다. 사람들은 그가 엔드존을 향해갈 때 그에게 시선을 고정했다. 그들은 Ethan이 경기 종료 직전 골 라인을 넘어선 것을 보았다.

뜻밖에도, 모든 관중들이 손을 흔들며 벌떡 일어섰다. 그들은 Ethan을 향한 들뜬 외침과 끝없는 환호성을 터뜨렸다. 이 순간, Ethan의 그 모든 노고와 헌신이 영광으로 보상 받고 있었다. Ethan의 터치다운으로 경기에서 이긴 것은 아니었지만, 그것은 기억할만한 가치가 있을 것이다. 이쯤 되면 여러분은 아마 이유를 궁금해할 것이다.

Ethan은 키가 단지 5피트(152.4cm)이고, 그의 다리는 부자연스럽게 바깥으로 구부러졌다. 그는 걷고, 뛰고, 움직이는 게 어렵다. 그의 상태 때문에, 그는 큰 도시에 있는 붐비던 고등학교를 떠나기로 결정했다. Ethan은 고등학교 1학년 도중 우리 학교로 전학 왔다. 이듬해 여름, Ethan은 감독에게 2학년으로서 풋볼팀에 들어갈 수 있는지 물어보았다. 감독은 처음에 망설였지만, 결국에는 Ethan을 연습에 오도록 허락했다. Ethan은 신체적 한계와 상관없이, 그 팀의 다른 모든 선수들만큼이나 열심히 연습했다. 비록 팀의 어떤 경기에서도 절대 중요한 선수가 될 수 없다는 것을 알았지만, Ethan은 매일매일 연습에 열과 성을 다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Ethan은 다른 방식으로 팀에 중요한 사람이 되었다. 경기에 대한 그의 열정은 팀 내 모든 선수에게 자극을 주었다. Ethan이 선수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격려했기 때문에, 선수들은 그의 가장 열정적인 팬이 되었다. 매일매일 Ethan의 미소와 긍정적인 태도, 엄청난 노력을 보는 것은 모두의 기운을 북돋웠다. 매 경기 직전에, Ethan은 의욕을 높이는 말을 해주며 항상 팀의 중심에 있곤 했다. Ethan은 사람들을 침착하게 하고, 그들의 최고의 능력을 끌어내는 특별한 재능이 있었다. Ethan은 윈스턴 고등학교의 가장 큰 지지자이기도 했다. 그는 항상 사이드라인에서 각 플레이를 유심히 관찰했다. 경기장에서 실제 플레이를 하는 선수는 아니었을지라도, Ethan의 마음은 항상 같은 팀 선수들과 함께했다. 모두가 풋볼을 향한 Ethan의 사랑을 느낄 수 있었고, 코치들은 그의 헌신을 존경했다.

지난 3년간, Ethan은 삶이라는 경기에서 우리 모두를 가르쳐왔다. 그는 팀에서의 역할이 작을지라도 모두가 팀의 성공을 위해 중요하다는 것을 항상 일깨워준다. 팀의 최고 선수가 되기 위해 모든 노력을 쏟아붓는 대신에, Ethan은 팀을 더 좋게 만들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해왔다. Ethan이 우리에게 보여준 것처럼, 우리 주변 사람들의 기운을 북돋워 주는 것 역시 큰 가치가 있는 것이다. 우리가 다른 사람이 빛나도록 도와주었을 때, 그 빛은 그에 대한 보답으로 우리를 비출 것이다. 그렇다, 때로 최고가 되는 것보다 더 나은 것이 있다.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2206 고2 EF000 좌본우해 본문.pdf
4.90MB


2206 고2 EF000 좌본우해 본문s.pdf
4.55MB

 


 

파일명 뒤에 's' 가 붙은 자료가 로고가 없는 자료입니다~!

 

영어농장 모의고사 자료 목록 (순차 업로드) 2022 개편

EF000 좌본우해

EF001 어휘정리 EF002 본문 한줄해석

EF003 본문영작연습 EF004 본문해석연습

EF01 종합변형문제 EF02 워크북 (EF002, EF004 합본)

 

※ 타 카페 / 블로그에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 시간 사정상 EF01 종합변형문제는 제작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만덕영어학원][만덕영어과외]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무능한 학생은 없다

blog.naver.com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알파카의영어농장

학생들과 호흡하며 수업을 진행하다보니 때로는 느슨한 호흡으로 진행할 수 밖에 없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교과 어휘 및 본문 자료, 모의고사 관련 변형 등 관련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를 통해

www.youtube.com

 

 

 

반응형
반응형

2206 고1 EF000 좌본우해 본문.pdf
4.22MB


2206 고1 EF000 좌본우해 본문s.pdf
3.87MB

 


파일명 뒤에 's' 가 붙은 자료가 로고가 없는 자료입니다~!

 

영어농장 모의고사 자료 목록 (순차 업로드) 2022 개편

EF000 좌본우해

EF001 어휘정리 EF002 본문 한줄해석

EF003 본문영작연습 EF004 본문해석연습

EF01 종합변형문제 EF02 워크북 (EF002, EF004 합본)

 

※ 타 카페 / 블로그에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 시간 사정상 EF01 종합변형문제는 제작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만덕영어학원][만덕영어과외]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무능한 학생은 없다

blog.naver.com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알파카의영어농장

학생들과 호흡하며 수업을 진행하다보니 때로는 느슨한 호흡으로 진행할 수 밖에 없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교과 어휘 및 본문 자료, 모의고사 관련 변형 등 관련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를 통해

www.youtube.com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