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209 고2 EF002 한줄해석.pdf
1.95MB
2209 고2 EF001 어휘정리.pdf
0.75MB
2209 고2 EF001-1 철자테스트.pdf
0.30MB
2209 고2 EF001-2 의미테스트.pdf
0.53MB


2209 고2 EF002 한줄해석s.pdf
1.64MB
2209 고2 EF001 어휘정리s.pdf
0.68MB
2209 고2 EF001-1 철자테스트s.pdf
0.23MB
2209 고2 EF001-2 의미테스트s.pdf
0.45MB


파일명 뒤에 's' 가 붙은 자료가 로고가 없는 자료입니다~!

 

※ 타 카페 / 블로그에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 PDF로만 파일을 제공합니다.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만덕영어학원][만덕영어과외]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무능한 학생은 없다

blog.naver.com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알파카의영어농장

학생들과 호흡하며 수업을 진행하다보니 때로는 느슨한 호흡으로 진행할 수 밖에 없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교과 어휘 및 본문 자료, 모의고사 관련 변형 등 관련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를 통해

www.youtube.com


From the earliest times, healthcare services have been recognized to have two equal aspects, namely clinical care and public healthcare. In classical Greek mythology, the god of medicine, Asklepios, had two daughters, Hygiea and Panacea. The former was the goddess of preventive health and wellness, or hygiene, and the latter the goddess of treatment and curing. In modern times, the societal ascendancy of medical professionalism has caused treatment of sick patients to overshadow those preventive healthcare services provided by the less heroic figures of sanitary engineers, biologists, and governmental public health officers. Nevertheless, the quality of health that human populations enjoy is attributable less to surgical dexterity, innovative pharmaceutical products, and bioengineered devices than to the availability of public sanitation, sewage management, and services which control the pollution of the air, drinking water, urban noise, and food for human consumption. The human right to the highest attainable standard of health depends on public healthcare services no less than on the skills and equipment of doctors and hospitals.

가장 초기의 시대부터, 헬스케어 서비스는 두 가지의 동등한 영역, 즉 병원 치료와 공공 헬스케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의료의 신 아스클레피오스에게는 하이지아와 파나시아라는 두 딸이 있었다. 전자는 예방적 건강과 건강 관리, 즉 위생의 여신이었고, 후자는 치료와 치유의 여신이었다. 현대 시대에, 의료 전문성에 대한 사회적 우세는 아픈 환자들의 치료가 위생 공학자, 생물학자, 정부 공공 건강 관료와 같은 덜 영웅적인 인물들에 의해서 제공되는 그러한 예방적 헬스케어 서비스를 가리도록 만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류가 향유하는 건강의 질은 공공 위생, 하수 관리 그리고 대기 오염, 식수, 도시 소음, 인간이 소비하는 음식을 관리하는 서비스들의 이용 가능성에 비해 수술적 기민함, 혁신적 제약 제품, 그리고 생물 공학적 장비에 덜 기인한다. 건강에 대한 달성 가능한 최고 수준에 대한 인간의 권리는 의사와 병원의 기술과 장비만큼이나 공공 헬스케어 서비스에 달려 있다.

Carl-Gustaf Rossby was one of a group of notable Scandinavian researchers who worked with the Norwegian meteorologist Vilhelm Bjerknes at the University of Bergen. While growing up in Stockholm, Rossby received a traditional education. He earned a degree in mathematical physics at the University of Stockholm in 1918, but after hearing a lecture by Bjerknes, and apparently bored with Stockholm, he moved to the newly established Geophysical Institute in Bergen. In 1925, Rossby received a scholarship from the Sweden-America Foundation to go to the United States, where he joined the United States Weather Bureau. Based in part on his practical experience in weather forecasting, Rossby had become a supporter of the “polar front theory,” which explains the cyclonic circulation that develops at the boundary between warm and cold air masses. In 1947, Rossby accepted the chair of the Institute of Meteorology, which had been set up for him at the University of Stockholm, where he remained until his death ten years later.

Carl-Gustaf Rossby는 Bergen 대학에서 노르웨이 기상학자인 Vilhelm Bjerknes와 함께 일했던 저명한 스칸디나비아 연구자들 중 한 명이었다. Stockholm에서 성장하면서, Rossby는 전통적인 교육을 받았다. 그는 1918년에 University of Stockholm에서 수리 물리학 학위를 받았지만, Bjerknes의 강의를 듣고 나서, 짐작하건대 Stockholm에 지루함을 느껴, Bergen에 새로 설립된 지구 물리학 연구소로 옮겼다. 1925년에 Rossby는 스웨덴-미국 재단으로부터 장학금을 받아 미국으로 갔고, 그곳에서 미국 기상국에 합류했다. 일기 예보에 대한 그의 실질적인 경험을 일부 바탕으로 하여, Rossby는 고온 기단과 저온 기단 사이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사이클론 순환을 설명하는 “polar front theory”의 지지자가 되었다. 1947년에 Rossby는 University of Stockholm에 그를 위해 마련된 기상 연구소의 직책을 받아들였고, 그곳에서 10년 후 생을 마감할 때까지 재직했다.

By noticing the relation between their own actions and resultant external changes, infants develop self-efficacy, a sense that they are agents of the perceived changes. Although infants can notice the effect of their behavior on the physical environment, it is in early social interactions that infants most readily perceive the consequence of their actions. People have perceptual characteristics that virtually assure that infants will orient toward them. They have visually contrasting and moving faces. They produce sound, provide touch, and have interesting smells. In addition, people engage with infants by exaggerating their facial expressions and inflecting their voices in ways that infants find fascinating. But most importantly, these antics are responsive to infants' vocalizations, facial expressions, and gestures; people vary the pace and level of their behavior in response to infant actions. Consequentially, early social interactions provide a context where infants can easily notice the effect of their behavior.

유아들은 자신의 행동과 그에 따른 외부 변화 사이에서의 관계를 알아차림으로써, 그들이 인지된 변화의 주체자라는 인식, 즉 자아 효능감을 발전시킨다. 유아들은 자신의 행동이 물리적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차릴 수 있는데, 바로 초기 사회적 상호 작용을 통해서 유아들은 매우 쉽게 자신의 행동의 결과를 인식한다. 사람들은 유아들이 그들에게 향하는 것을 실제로 확실하게 하는 지각과 관련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사람들은 시각적으로 구별되고 달라지는 얼굴 표정을 지닌다. 사람들은 소리를 만들고, 촉각을 제공하고, 흥미로운 냄새를 가지고 있다. 또한, 사람들은 유아들이 매력적이라고 느끼는 방식으로 얼굴 표정을 과장하고 목소리를 조절하면서 유아들과 관계를 맺는다. 그러나 다른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익살스러운 행동은 유아들의 발성, 얼굴 표정, 몸짓에 대해 반응을 잘 한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유아들의 행동에 반응하여 자신들의 행동의 속도와 수준을 다양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초기 사회적 상호 작용은 유아들이 자신의 행동의 영향을 쉽게 알아차릴 수 있는 맥락을 제공한다.

Adam Smith pointed out that specialization, where each of us focuses on one specific skill, leads to a general improvement of everybody's well-being. The idea is simple and powerful. By specializing in just one activity ― such as food raising, clothing production, or home construction ― each worker gains mastery over the particular activity. Specialization makes sense, however, only if the specialist can subsequently trade his or her output with the output of specialists in other lines of activity. It would make no sense to produce more food than a household needs unless there is a market outlet to exchange that excess food forclothing, shelter, and so forth. At the same time, without the ability to buy food on the market, it would not be possible to be a specialist home builder or clothing maker, since it would be necessary to farm for one's own survival. Thus Smith realized that the division of labor is limited by the extent of the market, whereas the extent of the market is determined by the degree of specialization.

Adam Smith는 전문화, 즉 우리 각각이 하나의 특정한 기술에 집중하는 것이 모든 사람의 복지의 전반적인 향상을 이끈다고 지적했다. 그 개념은 간단하고 강력하다. 단지 하나의 활동에서만 전문화함으로써―예를 들어 식량 재배, 의류 생산, 혹은 주택 건설과 같은―각각의 노동자는 특정한 활동에 숙달하게 된다. 하지만 전문화는 전문가가 자신의 생산물을 다른 활동 라인 전문가들의 생산물과 후속적으로 거래할 수 있을 때만 성립한다. 만약 그 넘치는 식량을 의류, 주거지 등등으로 교환할 시장 판매처가 없다면 한 가구가 필요로 하는 것보다 더 많은 식량을 생산하는 것은 말이 되지 않을 것이다. 동시에, 시장에서 식량을 구매할 능력이 없다면, 자기 자신의 생존을 위해 농사를 짓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문 주택 건축가나 전문 의류 제작자가 되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Smith는 시장의 규모는 전문화의 정도에 따라 결정되는 반면에, 노동의 분업은 시장의 규모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알았다.

It is not the peasant's goal to produce the highest possible time-averaged crop yield, averaged over many years. If your time-averaged yield is marvelously high as a result of the combination of nine great years and one year of crop failure, you will still starve to death in that one year of crop failure before you can look back to congratulate yourself on your great time-averaged yield. Instead, the peasant's aim is to make sure to produce a yield above the starvation level in every single year, even though the time-averaged yield may not be highest. That's why field scattering may make sense. If you have just one big field, no matter how good it is on the average, you will starve when the inevitable occasional year arrives in which your one field has a low yield. But if you have many different fields, varyin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n in any given year some of your fields will produce well even when your other fields are producing poorly.

여러 해에 걸쳐서 평균내어지는, 최고로 가능한 시간 평균적인 농작물 생산량을 만드는 것은 농부의 목표가 아니다. 당신의 시간 평균적인 생산량이 훌륭한 9년과 농사에 실패한 1년의 조합의 결과로 엄청나게 높더라도, 당신은 훌륭한 시간 평균적인 생산량에 있어서 당신 자신을 축하하기 위해 돌아보기 전에 농사에 실패한 그 1년에 굶어 죽을 것이다. 대신에, 농부의 목표는 시간 평균적인 생산량이 가장 높지 않을지라도, 매년 굶어 죽는 수준 이상의 생산량을 만들어내는 것을 확실히 하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농지 흩어놓기가 합리적인 이유이다. 만일 당신이 그냥 하나의 큰 농지를 가지고 있다면, 그것이 평균적으로 아무리 좋다고 할지라도, 당신의 유일한 농지가 낮은 생산량을 내는 이따금 찾아오는 피할 수 없는 해가 오면, 당신은 굶주리게 될 것이다. 그러나 만일 당신이, 서로에게서 독립적으로 다양한, 많은 다른 농지들을 가지고 있다면, 어느 해에 당신의 다른 농지들이 빈약하게 생산하고 있을 때조차도 당신의 농지들 중 일부는 잘 생산할 것이다.

There are several reasons why support may not be effective. One possible reason is that receiving help could be a blow to self-esteem. A recent study by Christopher Burke and Jessica Goren at Lehigh University examined this possibility. According to the threat to self-esteem model, help can be perceived as supportive and loving, or it can be seen as threatening if that help is interpreted as implying incompetence. According to Burke and Goren, support is especially likely to be seen as threatening if it is in an area that is self-relevant or self-defining ― that is, in an area where your own success and achievement are especially important. Receiving help with a self-relevant task can make you feel bad about yourself, and this can undermine the potential positive effects of the help. For example, if your self-concept rests, in part, on your great cooking ability, it may be a blow to your ego when a friend helps you prepare a meal for guests because it suggests that you're not the master chef you thought you were.

도움이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는 몇몇 이유들이 있다. 한 가지 가능한 이유는 도움을 받는 것이 자존감에 타격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Lehigh 대학의 Christopher Burke와 Jessica Goren에 의한 최근 한 연구는 이 가능성을 조사했다. 자존감 위협 모델 이론에 따르면, 도움은 협력적이고 애정 있는 것으로 여겨질 수도 있고, 혹은 만약 그 도움이 무능함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된다면 위협적으로 보여질 수 있다. Burke와 Goren에 따르면 도움이 자기 연관적이거나 자기 정의적인 영역―다시 말해, 당신 자신의 성공과 성취가 특히 중요한 영역―안에 있는 경우, 그것은 특히 위협으로 보여질 가능성이 있다. 자기 연관적인 일로 도움을 받는 것은 당신이 당신 자신에 대해 나쁘게 느끼게 만들 수 있고, 이것은 도움의 잠재적인 긍정적 영향을 손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당신의 자아 개념이 어느 정도는 당신의 훌륭한 요리 실력에 놓여 있다면, 친구가 당신이 손님들을 위해 식사를 준비하는 것을 도울 때 이는 당신의 자아에 타격이 될 수 있는데 이는 당신이 자신이 그렇다고 생각했던 유능한 요리사가 아니라는 점을 암시하기 때문이다.

As well as making sense of events through narratives, historians in the ancient world established the tradition of history as a source of moral lessons and reflections. The history writing of Livy or Tacitus, for instance, was in part designed to examine the behavior of heroes and villains, meditating on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in the characters of emperors and generals, providing exemplars for the virtuous to imitate or avoid. This continues to be one of the functions of history. French chronicler Jean Froissart said he had written his accounts of chivalrous knights fighting in the Hundred Years' War “so that brave men should be inspired thereby to follow such examples.” Today, historical studies of Lincoln, Churchill, Gandhi, or Martin Luther King, Jr. perform the same function.

이야기를 통해서 사건을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고대 사회의 역사가들은 도덕적 교훈과 성찰의 근원으로서 역사의 전통을 확립했다. 예를 들면, Livy나 Tacitus의 역사적인 기술은 부분적으로 황제와 장군들의 성격의 장점과 단점을 숙고하여 영웅과 악당의 행동을 살펴보도록 만들어졌다. 그렇게 하여 도덕적인 사람들이 모방하거나 피해야 할 표본을 제공한다. 이것이 계속되어 역사의 기능 중 하나가 된다. 프랑스의 연대기 학자인 Jean Froissart는 백년전쟁에서 싸운 기사도적인 기사들의 이야기로 “용맹스러운 자들이 영감을 받아 이러한 본보기를 따르도록” 썼다고 말했다. 오늘날 Lincoln, Churchill, Gandhi 또는 Martin Luther King, Jr.에 대한 역사적 연구는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