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209 고1 EF002 한줄해석.pdf
1.87MB
2209 고1 EF001 어휘정리.pdf
0.63MB
2209 고1 EF001-1 철자테스트.pdf
0.31MB
2209 고1 EF001-2 의미테스트.pdf
0.49MB


2209 고1 EF002 한줄해석s.pdf
1.56MB
2209 고1 EF001 어휘정리s.pdf
0.55MB
2209 고1 EF001-1 철자테스트s.pdf
0.23MB
2209 고1 EF001-2 의미테스트s.pdf
0.41MB


파일명 뒤에 's' 가 붙은 자료가 로고가 없는 자료입니다~!

 

※ 타 카페 / 블로그에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 PDF로만 파일을 제공합니다.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만덕영어학원][만덕영어과외]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무능한 학생은 없다

blog.naver.com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알파카의영어농장

학생들과 호흡하며 수업을 진행하다보니 때로는 느슨한 호흡으로 진행할 수 밖에 없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교과 어휘 및 본문 자료, 모의고사 관련 변형 등 관련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를 통해

www.youtube.com


Many people make a mistake of only operating along the safe zones, and in the process they miss the opportunity to achieve greater things. They do so because of a fear of the unknown and a fear of treading the unknown paths of life. Those that are brave enough to take those roads less travelled are able to get great returns and derive major satisfaction out of their courageous moves. Being overcautious will mean that you will miss attaining the greatest levels of your potential. You must learn to take those chances that many people around you will not take, because your success will flow from those bold decisions that you will take along the way.

많은 사람들이 안전 구역에서만 움직이는 실수를 저지르고, 그 과정에서 더 위대한 일들을 달성할 기회를 놓친다. 그들은 미지의 세계에 대한 두려움과 알려지지 않은 삶의 경로를 밟는 것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그렇게 한다. 사람들이 잘 다니지 않는 이런 길을 택할 만큼 충분히 용감한 사람들은 엄청난 보상을 받을 수 있고 그들의 용감한 행동으로부터 큰 만족감을 끌어낼 수 있다. 지나치게 조심하는 것은 여러분의 잠재력의 최고 수준을 달성하는 것을 놓친다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여러분은 주변에 있는 많은 사람들이 선택하지 않을 기회를 택하는 것을 배워야 하는데, 왜냐하면 여러분의 성공은 삶의 과정에서 여러분이 내릴 용감한 결정으로부터 나올 것이기 때문이다.

Wilbur Smith was a South African novelist specialising in historical fiction. Smith wanted to become a journalist, writing about social conditions in South Africa, but his father was never supportive of his writing and forced him to get a real job. Smith studied further and became a tax accountant, but he finally turned back to his love of writing. He wrote his first novel, The Gods First Make Mad, and had received 20 rejections by 1962. In 1964, Smith published another novel, When the Lion Feeds, and it went on to be successful, selling around the world. A famous actor and film producer bought the film rights for When the Lion Feeds, although no movie resulted. By the time of his death in 2021 he had published 49 novels, selling more than 140 million copies worldwide.

Wilbur Smith는 역사 소설을 전문으로 하는 남아프리카 소설가였다. Smith는 남아프리카의 사회 환경에 관해 글을 쓰는 언론인이 되고 싶었으나, 그의 아버지는 그가 글을 쓰는 것을 절대로 지지하지 않았고 그가 실질적인 직업을 갖도록 강요했다. Smith는 더 공부하여 세금 회계사가 되었으나 결국에는 그가 사랑하는 글 쓰는 일로 돌아왔다. 그는 첫 번째 소설, The Gods First Make Mad를 썼고 1962년까지 20번의 거절을 당했다. 1964년에 Smith는 또 다른 소설, When the Lion Feeds를 출간했고, 그것이 전 세계에 팔리면서 성공을 거두었다. 비록 영화화되지는 않았지만, 한 유명한 배우이자 영화 제작자가 When the Lion Feeds에 대한 영화 판권을 샀다. 2021년 죽기 전까지 그는 49편의 소설을 출간했으며 전 세계적으로 1억 4천만 부 이상을 판매했다.

The human brain, it turns out, has shrunk in mass by about 10 percent since it peaked in size 15,000-30,000 years ago. One possible reason is that many thousands of years ago humans lived in a world of dangerous predators where they had to have their wits about them at all times to avoid being killed. Today, we have effectively domesticated ourselves and many of the tasks of survival ― from avoiding immediate death to building shelters to obtaining food ― have been outsourced to the wider society. We are smaller than our ancestors too, and it is a characteristic of domestic animals that they are generally smaller than their wild cousins. None of this may mean we are dumber ― brain size is not necessarily an indicator of human intelligence ― but it may mean that our brains today are wired up differently, and perhaps more efficiently, than those of our ancestors.

인간의 뇌는 15,000년에서 30,000년 전 크기가 정점에 도달한 이래 부피가 약 10퍼센트만큼 줄어들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한 가지 가능한 이유는 수천 년 전에 인간은 죽임을 당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항상 그들(위험한 포식자)에 대한 그들의 기지를 발휘했어야 하는 위험한 포식자의 세계에서 살았다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는 우리 자신을 효율적으로 길들여 왔고 생존의 많은 과업이―즉각적인 죽음을 피하는 것부터 은신처를 짓는 일과 음식을 얻어 내는 일까지―더 넓은 사회로 위탁되어 왔다. 우리는 우리의 조상보다 더 작기도 한데, 가축이 그들의 야생 사촌보다 일반적으로 더 작다는 것은 가축의 한 특징이다. 이것의 어떤 것도 우리가 더 어리석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지만―뇌 크기가 반드시 인간의 지능의 지표는 아니다―그것은 오늘날 우리의 뇌가 다르게, 그리고 우리 조상들의 그것들보다 아마도 더 효율적으로 타고났다는 것을 의미할지도 모른다.

It is widely believed that certain herbs somehow magically improve the work of certain organs, and “cure” specific diseases as a result. Such statements are unscientific and groundless. Sometimes herbs appear to work, since they tend to increase your blood circulation in an aggressive attempt by your body to eliminate them from your system. That can create a temporary feeling of a high, which makes it seem as if your health condition has improved. Also, herbs can have a placebo effect, just like any other method, thus helping you feel better. Whatever the case, it is your body that has the intelligence to regain health, and not the herbs. How can herbs have the intelligence needed to direct your body into getting healthier? That is impossible. Try to imagine how herbs might come into your body and intelligently fix your problems. If you try to do that, you will see how impossible it seems. Otherwise, it would mean that herbs are more intelligent than the human body, which is truly hard to believe.

어떤 허브는 다소 마법처럼 특정 장기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그 결과 특정한 질병을 “고친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한 진술은 비과학적이고 근거가 없다. 때때로 허브는 효과가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는 당신의 신체로부터 그것들을 제거하려는 당신 몸의 적극적인 시도 속에서 그것들이 혈액 순환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일시적으로 좋은 기분을 만들어 줄 수 있는데, 이는 마치 당신의 건강 상태가 향상된 것처럼 보이게 만든다. 또한 허브는, 어떤 다른 방법과 마찬가지로, 위약 효과를 가지고 있는데, 그래서 당신이 더 나아졌다고 느끼도록 도와준다. 어떠한 경우든, 건강을 되찾게 하는 지성을 가진 것은 허브가 아니라 바로 당신의 몸이다. 허브가 어떻게 당신의 몸을 더 건강해지는 방향으로 인도하는 데 요구되는 지성을 가질 수 있겠는가? 그것은 불가능하다. 어떻게 허브가 당신의 몸 안으로 들어가 영리하게 당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를 상상해 보라. 만약 당신이 그렇게 해 본다면 당신은 그것이 얼마나 불가능하게 보이는지를 알게 될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그것은 허브가 인간의 몸보다 더 지적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되는데, 이는 정말로 믿기 어렵다.

We worry that the robots are taking our jobs, but just as common a problem is that the robots are taking our judgment. In the large warehouses so common behind the scenes of today's economy, human ‘pickers’ hurry around grabbing products off shelves and moving them to where they can be packed and dispatched. In their ears are headpieces: the voice of ‘Jennifer’, a piece of software, tells them where to go and what to do, controlling the smallest details of their movements. Jennifer breaks down instructions into tiny chunks, to minimise error and maximise productivity ― for example, rather than picking eighteen copies of a book off a shelf, the human worker would be politely instructed to pick five. Then another five. Then yet another five. Then another three. Working in such conditions reduces people to machines made of flesh. Rather than asking us to think or adapt, the Jennifer unit takes over the thought process and treats workers as an inexpensive source of some visual processing and a pair of opposable thumbs.

우리는 로봇이 우리의 직업을 빼앗고 있다고 걱정하지만, 그만큼 흔한 문제는 로봇이 우리의 판단력을 빼앗고 있다는 것이다. 오늘날의 경제 배후에서 아주 흔한 거대한 창고에서 인간 ‘집게’는 서둘러서 선반에서 상품을 집어내고 그것들이 포장되고 발송될 수 있는 곳으로 이동시킨다. 그들의 귀에는 헤드폰이 있는데, 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Jennifer’의 목소리가 그들의 움직임의 가장 작은 세부 사항들을 조종하면서, 그들에게 어디로 갈지와 무엇을 할지를 말한다. Jennifer는 실수를 줄이고 생산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지시 사항을 아주 작은 덩어리로 쪼갠다―예를 들어, 인간 작업자는 선반에서 책 18권을 집어내기보다는, 5권을 집어내라고 정중하게 지시받을 것이다. 그러고 나서 또 다른 5권을. 그러고 나서 다시 또 다른 5권을. 그러고 나서 또 다른 3권을. 그러한 조건에서 일하는 것은 사람을 살로 만들어진 기계로 격하시킨다. 우리에게 생각하거나 적응하라고 요구하기보다는, Jennifer라는 장치는 사고 과정을 가져가고 작업자들을 약간의 시각적인 처리 과정과 한 쌍의 마주 볼 수 있는 엄지손가락을 가진 값싼 자원으로 취급한다.

The prevailing view among developmental scientists is that people are active contributors to their own development. People are influenced by the physical and social contexts in which they live, but they also play a role in influencing their development by interacting with, and changing, those contexts. Even infants influence the world around them and construct their own development through their interactions. Consider an infant who smiles at each adult he sees; he influences his world because adults are likely to smile, use “baby talk,” and play with him in response. The infant brings adults into close contact, making one-on-one interactions and creating opportunities for learning. By engaging the world around them, thinking, being curious, and interacting with people, objects, and the world around them, individuals of all ages are “manufacturers of their own development.”

발달 과학자들 사이에서 지배적인 견해는 사람들이 그들 자신의 발달에 능동적인 기여자라는 것이다. 사람들은 그들이 사는 물리적인 그리고 사회적인 환경의 영향을 받지만, 그들은 또한 그 환경들과 상호 작용하고, 그리고 변화시킴으로써, 그들의 발달에 영향을 주는 역할을 한다. 심지어 유아들도 그들 주변의 세상에 영향을 주고 상호 작용을 통해서 그들 자신의 발달을 구성한다. 그가 바라보는 각각의 어른에게 미소 짓는 유아를 생각해 보라. (그에) 반응하여, 어른들이 미소 짓고, “아기 말”을 사용하고, 그리고 그와 함께 놀아줄 것이기 때문에 그는 자신의 세상에 영향을 준다. 그 유아는 어른들을 친밀한 연결로 끌어들여서, 일대일 상호작용을 하고 학습의 기회를 만든다. 그들 주변 세상의 관심을 끌고, 생각하고, 호기심을 가지고, 그리고 그들 주변의 사람들, 사물들, 그리고 세상과 상호 작용함으로써, 모든 연령대의 개인들은 “그들 자신의 발달을 생산하는 사람”이다.

The demand for freshness can have hidden environmental costs. While freshness is now being used as a term in food marketing as part of a return to nature, the demand for year-round supplies of fresh produce such as soft fruit and exotic vegetables has led to the widespread use of hot houses in cold climates and increasing reliance on total quality control ― management by temperature control, use of pesticides and computer/satellite-based logistics. The demand for freshness has also contributed to concerns about food wastage. Use of ‘best before’, ‘sell by’ and ‘eat by’ labels has legally allowed institutional waste. Campaigners have exposed the scandal of over-production and waste. Tristram Stuart, one of the global band of anti-waste campaigners, argues that, with freshly made sandwiches, over-ordering is standard practice across the retail sector to avoid the appearance of empty shelf space, leading to high volumes of waste when supply regularly exceeds demand.

신선함에 대한 요구는 숨겨진 환경적인 대가를 지니고 있을 수 있다. 자연으로의 회귀의 일부로써 현재 신선함이 식품 마케팅에서 하나의 용어로 사용되고 있는 반면에, 부드러운 과일이나 외국산 채소와 같은 신선한 식품의 연중 공급에 대한 요구는 추운 기후에서의 광범위한 온실 사용과 총체적인 품질 관리―온도 조절에 의한 관리, 살충제 사용, 그리고 컴퓨터/위성 기반 물류―에 대한 의존성의 증가로 이어져 왔다. 신선함에 대한 요구는 또한 식량 낭비에 대한 우려의 원인이 되어 왔다. ‘유통 기한’, ‘판매 시한’, 그리고 ‘섭취 시한’ 라벨 사용은 제도적인 폐기물 생산을 법적으로 허용해 왔다. 운동가들은 과잉 생산이나 폐기물에 대한 추문을 폭로해 왔다. 폐기물 반대 세계 연대 소속 운동가 중 한 명인 Tristram Stuart는 신선하게 만들어진 샌드위치와 함께, 판매대가 비어 보이는 것을 막기 위한 초과 주문이 소매 산업 분야 전반에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행태이며, 이것은 공급이 정기적으로 수요를 초과하면 엄청난 양의 폐기물로 이어진다고 주장한다.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