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명 뒤에 's' 가 붙은 자료가 로고가 없는 자료입니다~!
※ 타 카페 / 블로그에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 PDF로만 파일을 제공합니다.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만덕영어학원][만덕영어과외]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무능한 학생은 없다
blog.naver.com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알파카의영어농장
학생들과 호흡하며 수업을 진행하다보니 때로는 느슨한 호흡으로 진행할 수 밖에 없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교과 어휘 및 본문 자료, 모의고사 관련 변형 등 관련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를 통해
www.youtube.com
Dear Customer Service,
I am writing in regard to my magazine subscription. Currently, I have just over a year to go on my subscription to Economy Tomorrow and would like to continue my subscription as I have enjoyed the magazine for many years. Unfortunately, due to my bad eyesight, I have trouble reading your magazine. My doctor has told me that I need to look for large print magazines and books. I'd like to know whether there's a large print version of your magazine. Please contact me if this is something you offer. Thank you for your time. I look forward to hearing from you soon.
Sincerely, Martin Gray
큰 글자판 잡지 유무에 대한 문의
고객 서비스팀께,
저는 잡지 구독과 관련하여 글을 씁니다. 현재 저의 Economy Tomorrow 구독이 일 년 조금 넘게 남았는데, 저는 수년간 귀사의 잡지를 즐겨왔기 때문에 구독을 계속하고 싶습니다. 안타깝게도, 저의 좋지 않은 시력 때문에 귀사의 잡지를 읽는 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의사는 큰 글자판의 책과 잡지를 찾아봐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저는 귀사 잡지의 큰 글자판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이를 제공한다면 저에게 연락 부탁드립니다. 시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조만간 소식을 들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Martin Gray 드림
There was no choice next morning but to turn in my private reminiscence of Belleville. Two days passed before Mr. Fleagle returned the graded papers, and he returned everyone's but mine. I was anxiously expecting for a command to report to Mr. Fleagle immediately after school for discipline when I saw him lift my paper from his desk and rap for the class's attention. “Now, boys,” he said, “I want to read you an essay. This is titled ‘The Art of Eating Spaghetti.’” And he started to read. My words! He was reading my words out loud to the entire class. What's more, the entire class was listening attentively. Then somebody laughed, then the entire class was laughing, and not in contempt and ridicule, but with openhearted enjoyment. I did my best to avoid showing pleasure, but what I was feeling was pure ecstasy at this startling demonstration that my words had the power to make people laugh.
선생님의 낭독을 통해 알게 된 자신의 글재주
다음 날 아침 Belleville에 대한 나의 개인적인 회상을 제출할 수밖에 없었다. Fleagle 선생님이 채점된 과제들을 돌려주기 전에 이틀이 흘렀고, 그는 내 것을 제외하고 모든 사람들의 과제를 돌려주었다. 나는 그가 그의 책상에서 내 과제를 집어 들고 학생들의 주목을 끌기 위해 두드리는 것을 보았을 때, 나는 학교 끝나고 즉시 벌을 받으러 Fleagle 선생님에게 찾아오라는 지시를 초조하게 기다리고 있었다. 그가 말했다. “자, 여러분,” “나는 여러분에게 글 한 편을 읽어주기를 원합니다. 이 글의 제목은 ‘스파게티를 먹는 예술’입니다.” 그리고 그는 읽기 시작했다. 내 글을! 그는 내 글을 온 학생들에게 소리내어 읽어주고 있었다. 더욱이, 온 학급이 주의 깊게 듣고 있었다. 그 후 누군가가 웃었고, 그러자 온 학급이 경멸이나 조소가 아니고, 숨김없는 즐거움으로 웃고 있었다. 나는 기쁨을 드러내는 것을 피하려고 최선을 다했지만, 내가 느낀 것은 내 글이 사람들을 웃게 만드는 힘을 가졌다는 이 놀라운 시연에 대한 순수한 환희였다.
We usually take time out only when we really need to switch off, and when this happens we are often overtired, sick, and in need of recuperation. Me time is complicated by negative associations with escapism, guilt, and regret as well as overwhelm, stress, and fatigue. All these negative connotations mean we tend to steer clear of it. Well, I am about to change your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me time, to persuade you that you should view it as vital for your health and wellbeing. Take this as permission to set aside some time for yourself! Our need for time in which to do what we choose is increasingly urgent in an overconnected, overwhelmed, and overstimulated world.
자신을 위한 시간의 필요성
우리는 보통 정말로 스위치를 꺼야 할 때만 휴식을 취하고, 이러한 상황이 발생할 때 우리는 종종 지나치게 피곤하거나 아프거나 회복을 필요로 한다. 나를 위한 시간은 ‘압도하다, 스트레스, 피로감’ 뿐만 아니라 ‘현실도피, 죄책감, 후회’와의 부정적인 연상에 의해 복잡해진다. 이러한 모든 부정적인 함축은 우리가 그것을 피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나는 이제 나를 위한 시간의 중요성에 관한 당신의 인식을 바꾸고, 당신이 그것을 당신의 건강과 행복에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는 것을 설득하고자 한다. 이것을 당신 자신을 위하여 일부 시간을 할애하는 것에 대한 허락으로 삼아라! 우리가 선택한 것을 하려는 시간에 대한 필요는 지나치게 연결되고 압도적이고 지나치게 자극적인 세상에서 점점 긴급해지고 있다.
Perhaps worse than attempting to get the bad news out of the way is attempting to soften it or simply not address it at all. This “Mum Effect” ― a term coined by psychologists Sidney Rosen and Abraham Tesser in the early 1970s ― happens because people want to avoid becoming the target of others' negative emotions. We all have the opportunity to lead change, yet it often requires of us the courage to deliver bad news to our superiors. We don't want to be the innocent messenger who falls before a firing line. When our survival instincts kick in, they can override our courage until the truth of a situation gets watered down. “The Mum Effect and the resulting filtering can have devastating effects in a steep hierarchy,” writes Robert Sutton, an organizational psychologist. “What starts out as bad news becomes happier and happier as it travels up the ranks ― because after each boss hears the news from his or her subordinates, he or she makes it sound a bit less bad before passing it up the chain.”
나쁜 소식을 전달할 용기
아마도 나쁜 소식부터 먼저 이야기하고 넘어가려고 하는 것보다 더 나쁜 것은 그것을 완화시키거나 전혀 다루지 않으려고 하는 것이다. 1970년대 초반에 심리학자인 Sidney Rosen과 Abraham Tesser가 만든 용어인 이 “침묵 효과”는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의 부정적인 감정의 표적이 되는 것을 피하고 싶기 때문에 발생한다. 우리 모두는 변화를 이끌 기회를 가지고 있으나, 그것은 종종 우리의 상사에게 나쁜 소식을 전달하기 위한 우리의 용기를 필요로 한다. 우리는 사선 앞에서 쓰러지는 무고한 전령이 되고 싶어 하지는 않는다. 우리의 생존 본능이 발동하면, 그것이 어떤 상황의 진상이 희석될 때까지 우리의 용기를 무효화시킬 수 있다. “침묵 효과와 그로 인해 발생하는 여과는 가파른 위계 관계에서 파괴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라고 조직 심리학자 Robert Sutton이 말한다. “나쁜 소식으로 시작한 것이 단계를 올라갈수록 점점 좋아진다. 그 이유는 각 단계의 상사가 자신의 부하직원으로부터 그 소식을 듣고 나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전에 그것을 다소 덜 나쁘게 들리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Most parents think that if our child would just “behave,” we could stay calm as parents. The truth is that managing our own emotions and actions is what allows us to feel peaceful as parents. Ultimately we can't control our children or the obstacles they will face ― but we can always control our own actions. Parenting isn't about what our child does, but about how we respond. In fact, most of what we call parenting doesn't take place between a parent and child but within the parent. When a storm brews, a parent's response will either calm it or trigger a full-scale tsunami. Staying calm enough to respond constructively to all that childish behavior ― and the stormy emotions behind it ― requires that we grow, too. If we can use those times when our buttons get pushed to reflect, not just react, we can notice when we lose equilibrium and steer ourselves back on track. This inner growth is the hardest work there is, but it's what enables you to become a more peaceful parent, one day at a time.
양육 시 필요한 부모의 내적 평정심
대부분의 부모들은 그들의 자녀가 그저 “잘 행동하면” 부모로서 침착함을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진실은 우리의 감정과 행동을 관리하는 것이 우리가 부모로서 평안함을 느끼도록 해준다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우리는 우리의 자녀와 그들이 마주할 장애물을 통제할 수 없다. 하지만 우리는 항상 우리 자신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다. 양육은 우리 자녀가 무엇을 하는지에 대한 것이 아니라 우리가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것이다. 사실, 우리가 양육이라고 부르는 것의 대부분은 부모와 자녀 사이가 아니라 부모 안에서 발생한다. 폭풍이 일어나려고 할 때, 부모의 반응은 그것을 잠재우거나 최대치의 해일을 유발할 것이다. 그 모든 아이 같은 행동―그리고 그 이면의 폭풍 같은 감정―에 건설적으로 반응할 수 있을 만큼 침착함을 유지하는 것은 우리 역시 성장해야 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만약 우리가 단지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성찰하도록 버튼이 눌러지는 때를 사용할 수 있다면, 우리는 우리가 언제 평정심을 잃는지 알아차릴 수 있고 다시 제자리로 돌아갈 수 있다. 이러한 내면의 성장이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지만, 그것은 당신이 하루하루 더욱 평안한 부모가 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We have already seen that learning is much more efficient when done at regular intervals: rather than cramming an entire lesson into one day, we are better off spreading out the learning. The reason is simple: every night, our brain consolidates what it has learned during the day. Thi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neuroscience discoveries of the last thirty years: sleep is not just a period of inactivity or a garbage collection of the waste products that the brain accumulated while we were awake. Quite the contrary: while we sleep, our brain remains active; it runs a specific algorithm that replays the important events it recorded during the previous day and gradually transfers them into a more efficient compartment of our memory.
수면 중 뇌의 활동
우리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행하여질 때 학습이 훨씬 더 효율적이라는 것을 이미 보았다. 모든 과업을 하루에 밀어넣기보다 그 과업을 분산하는 것이 더 좋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매일 밤, 우리의 뇌는 그날 학습한 것을 통합 정리한다. 이것은 지난 30년 중에서 가장 중요한 신경과학 발견들 중의 하나이다. 잠은 단순한 비활동이나 우리가 깨어있는 동안 뇌가 축적하는 쓸모없는 생산물들의 쓰레기 수집 기간이 아니다. 정반대이다. 우리가 자는 동안 우리의 뇌는 활동적인 상태를 유지한다. 그것은 전날 하루 동안 기록한 중요한 사건들을 재상영하고 점진적으로 그것들을 우리 기억의 더 효율적인 구획으로 이동시키는 특별한 알고리즘을 가동한다.
'2022 모의고사 자료 > 고2'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11월 고2 모의고사 [좌본우해/어휘정리/어휘테스트] (1) | 2022.12.02 |
---|---|
2022년 9월 고2 모의고사 [한줄해석/어휘정리/어휘테스트] (1) | 2022.09.06 |
22년 6월 고2 모의고사 본문(한줄해석) / 영작연습 / 해석연습 (0) | 2022.06.18 |
2022년 6월 고2 모의고사 어휘정리 / 어휘테스트 (0) | 2022.06.18 |
2022년 6월 고2 모의고사 좌본우해 EF000 (0) | 2022.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