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209 고2 EF000 좌본우해 본문.pdf
4.95MB
2209 고2 EF003 영작연습.pdf
0.49MB
2209 고2 EF004 해석연습.pdf
1.30MB


2209 고2 EF000 좌본우해 본문s.pdf
4.60MB
2209 고2 EF003 영작연습s.pdf
0.30MB
2209 고2 EF004 해석연습s.pdf
1.12MB


파일명 뒤에 's' 가 붙은 자료가 로고가 없는 자료입니다~!

 

※ 타 카페 / 블로그에 무단 전제를 금합니다.

※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 PDF로만 파일을 제공합니다.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만덕영어학원][만덕영어과외]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무능한 학생은 없다

blog.naver.com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알파카의영어농장

학생들과 호흡하며 수업을 진행하다보니 때로는 느슨한 호흡으로 진행할 수 밖에 없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교과 어휘 및 본문 자료, 모의고사 관련 변형 등 관련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를 통해

www.youtube.com

 


Dear Customer Service,

I am writing in regard to my magazine subscription. Currently, I have just over a year to go on my subscription to Economy Tomorrow and would like to continue my subscription as I have enjoyed the magazine for many years. Unfortunately, due to my bad eyesight, I have trouble reading your magazine. My doctor has told me that I need to look for large print magazines and books. I'd like to know whether there's a large print version of your magazine. Please contact me if this is something you offer. Thank you for your time. I look forward to hearing from you soon.

Sincerely, Martin Gray

큰 글자판 잡지 유무에 대한 문의

고객 서비스팀께,

저는 잡지 구독과 관련하여 글을 씁니다. 현재 저의 Economy Tomorrow 구독이 일 년 조금 넘게 남았는데, 저는 수년간 귀사의 잡지를 즐겨왔기 때문에 구독을 계속하고 싶습니다. 안타깝게도, 저의 좋지 않은 시력 때문에 귀사의 잡지를 읽는 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의사는 큰 글자판의 책과 잡지를 찾아봐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저는 귀사 잡지의 큰 글자판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이를 제공한다면 저에게 연락 부탁드립니다. 시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조만간 소식을 들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Martin Gray 드림

There was no choice next morning but to turn in my private reminiscence of Belleville. Two days passed before Mr. Fleagle returned the graded papers, and he returned everyone's but mine. I was anxiously expecting for a command to report to Mr. Fleagle immediately after school for discipline when I saw him lift my paper from his desk and rap for the class's attention. “Now, boys,” he said, “I want to read you an essay. This is titled ‘The Art of Eating Spaghetti.’” And he started to read. My words! He was reading my words out loud to the entire class. What's more, the entire class was listening attentively. Then somebody laughed, then the entire class was laughing, and not in contempt and ridicule, but with openhearted enjoyment. I did my best to avoid showing pleasure, but what I was feeling was pure ecstasy at this startling demonstration that my words had the power to make people laugh.

선생님의 낭독을 통해 알게 된 자신의 글재주

다음 날 아침 Belleville에 대한 나의 개인적인 회상을 제출할 수밖에 없었다. Fleagle 선생님이 채점된 과제들을 돌려주기 전에 이틀이 흘렀고, 그는 내 것을 제외하고 모든 사람들의 과제를 돌려주었다. 나는 그가 그의 책상에서 내 과제를 집어 들고 학생들의 주목을 끌기 위해 두드리는 것을 보았을 때, 나는 학교 끝나고 즉시 벌을 받으러 Fleagle 선생님에게 찾아오라는 지시를 초조하게 기다리고 있었다. 그가 말했다. “자, 여러분,” “나는 여러분에게 글 한 편을 읽어주기를 원합니다. 이 글의 제목은 ‘스파게티를 먹는 예술’입니다.” 그리고 그는 읽기 시작했다. 내 글을! 그는 내 글을 온 학생들에게 소리내어 읽어주고 있었다. 더욱이, 온 학급이 주의 깊게 듣고 있었다. 그 후 누군가가 웃었고, 그러자 온 학급이 경멸이나 조소가 아니고, 숨김없는 즐거움으로 웃고 있었다. 나는 기쁨을 드러내는 것을 피하려고 최선을 다했지만, 내가 느낀 것은 내 글이 사람들을 웃게 만드는 힘을 가졌다는 이 놀라운 시연에 대한 순수한 환희였다.

We usually take time out only when we really need to switch off, and when this happens we are often overtired, sick, and in need of recuperation. Me time is complicated by negative associations with escapism, guilt, and regret as well as overwhelm, stress, and fatigue. All these negative connotations mean we tend to steer clear of it. Well, I am about to change your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me time, to persuade you that you should view it as vital for your health and wellbeing. Take this as permission to set aside some time for yourself! Our need for time in which to do what we choose is increasingly urgent in an overconnected, overwhelmed, and overstimulated world.

자신을 위한 시간의 필요성

우리는 보통 정말로 스위치를 꺼야 할 때만 휴식을 취하고, 이러한 상황이 발생할 때 우리는 종종 지나치게 피곤하거나 아프거나 회복을 필요로 한다. 나를 위한 시간은 ‘압도하다, 스트레스, 피로감’ 뿐만 아니라 ‘현실도피, 죄책감, 후회’와의 부정적인 연상에 의해 복잡해진다. 이러한 모든 부정적인 함축은 우리가 그것을 피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나는 이제 나를 위한 시간의 중요성에 관한 당신의 인식을 바꾸고, 당신이 그것을 당신의 건강과 행복에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는 것을 설득하고자 한다. 이것을 당신 자신을 위하여 일부 시간을 할애하는 것에 대한 허락으로 삼아라! 우리가 선택한 것을 하려는 시간에 대한 필요는 지나치게 연결되고 압도적이고 지나치게 자극적인 세상에서 점점 긴급해지고 있다.

Perhaps worse than attempting to get the bad news out of the way is attempting to soften it or simply not address it at all. This “Mum Effect” ― a term coined by psychologists Sidney Rosen and Abraham Tesser in the early 1970s ― happens because people want to avoid becoming the target of others' negative emotions. We all have the opportunity to lead change, yet it often requires of us the courage to deliver bad news to our superiors. We don't want to be the innocent messenger who falls before a firing line. When our survival instincts kick in, they can override our courage until the truth of a situation gets watered down. “The Mum Effect and the resulting filtering can have devastating effects in a steep hierarchy,” writes Robert Sutton, an organizational psychologist. “What starts out as bad news becomes happier and happier as it travels up the ranks ― because after each boss hears the news from his or her subordinates, he or she makes it sound a bit less bad before passing it up the chain.”

나쁜 소식을 전달할 용기

아마도 나쁜 소식부터 먼저 이야기하고 넘어가려고 하는 것보다 더 나쁜 것은 그것을 완화시키거나 전혀 다루지 않으려고 하는 것이다. 1970년대 초반에 심리학자인 Sidney Rosen과 Abraham Tesser가 만든 용어인 이 “침묵 효과”는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의 부정적인 감정의 표적이 되는 것을 피하고 싶기 때문에 발생한다. 우리 모두는 변화를 이끌 기회를 가지고 있으나, 그것은 종종 우리의 상사에게 나쁜 소식을 전달하기 위한 우리의 용기를 필요로 한다. 우리는 사선 앞에서 쓰러지는 무고한 전령이 되고 싶어 하지는 않는다. 우리의 생존 본능이 발동하면, 그것이 어떤 상황의 진상이 희석될 때까지 우리의 용기를 무효화시킬 수 있다. “침묵 효과와 그로 인해 발생하는 여과는 가파른 위계 관계에서 파괴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라고 조직 심리학자 Robert Sutton이 말한다. “나쁜 소식으로 시작한 것이 단계를 올라갈수록 점점 좋아진다. 그 이유는 각 단계의 상사가 자신의 부하직원으로부터 그 소식을 듣고 나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전에 그것을 다소 덜 나쁘게 들리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Most parents think that if our child would just “behave,” we could stay calm as parents. The truth is that managing our own emotions and actions is what allows us to feel peaceful as parents. Ultimately we can't control our children or the obstacles they will face ― but we can always control our own actions. Parenting isn't about what our child does, but about how we respond. In fact, most of what we call parenting doesn't take place between a parent and child but within the parent. When a storm brews, a parent's response will either calm it or trigger a full-scale tsunami. Staying calm enough to respond constructively to all that childish behavior ― and the stormy emotions behind it ― requires that we grow, too. If we can use those times when our buttons get pushed to reflect, not just react, we can notice when we lose equilibrium and steer ourselves back on track. This inner growth is the hardest work there is, but it's what enables you to become a more peaceful parent, one day at a time.

양육 시 필요한 부모의 내적 평정심

대부분의 부모들은 그들의 자녀가 그저 “잘 행동하면” 부모로서 침착함을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진실은 우리의 감정과 행동을 관리하는 것이 우리가 부모로서 평안함을 느끼도록 해준다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우리는 우리의 자녀와 그들이 마주할 장애물을 통제할 수 없다. 하지만 우리는 항상 우리 자신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다. 양육은 우리 자녀가 무엇을 하는지에 대한 것이 아니라 우리가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것이다. 사실, 우리가 양육이라고 부르는 것의 대부분은 부모와 자녀 사이가 아니라 부모 안에서 발생한다. 폭풍이 일어나려고 할 때, 부모의 반응은 그것을 잠재우거나 최대치의 해일을 유발할 것이다. 그 모든 아이 같은 행동―그리고 그 이면의 폭풍 같은 감정―에 건설적으로 반응할 수 있을 만큼 침착함을 유지하는 것은 우리 역시 성장해야 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만약 우리가 단지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성찰하도록 버튼이 눌러지는 때를 사용할 수 있다면, 우리는 우리가 언제 평정심을 잃는지 알아차릴 수 있고 다시 제자리로 돌아갈 수 있다. 이러한 내면의 성장이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지만, 그것은 당신이 하루하루 더욱 평안한 부모가 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We have already seen that learning is much more efficient when done at regular intervals: rather than cramming an entire lesson into one day, we are better off spreading out the learning. The reason is simple: every night, our brain consolidates what it has learned during the day. Thi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neuroscience discoveries of the last thirty years: sleep is not just a period of inactivity or a garbage collection of the waste products that the brain accumulated while we were awake. Quite the contrary: while we sleep, our brain remains active; it runs a specific algorithm that replays the important events it recorded during the previous day and gradually transfers them into a more efficient compartment of our memory.

수면 중 뇌의 활동

우리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행하여질 때 학습이 훨씬 더 효율적이라는 것을 이미 보았다. 모든 과업을 하루에 밀어넣기보다 그 과업을 분산하는 것이 더 좋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매일 밤, 우리의 뇌는 그날 학습한 것을 통합 정리한다. 이것은 지난 30년 중에서 가장 중요한 신경과학 발견들 중의 하나이다. 잠은 단순한 비활동이나 우리가 깨어있는 동안 뇌가 축적하는 쓸모없는 생산물들의 쓰레기 수집 기간이 아니다. 정반대이다. 우리가 자는 동안 우리의 뇌는 활동적인 상태를 유지한다. 그것은 전날 하루 동안 기록한 중요한 사건들을 재상영하고 점진적으로 그것들을 우리 기억의 더 효율적인 구획으로 이동시키는 특별한 알고리즘을 가동한다.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고2 능(김) 2과 본문.pdf
0.34MB
고2 능(김) 2과 어휘 (완).pdf
0.34MB
고2 능(김) 2과 어휘 의미테스트.pdf
0.25MB
고2 능(김) 2과 어휘 철자테스트.pdf
0.17MB

 

15개정 영어1 2과 본문

Opposite Personalities, Great Partnership

 

Everybody is unique. However,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categorize people's personalities. One of the most common methods divides people into two types, introverts and extroverts. According to this division, introverts tend to be drawn to the internal world of thoughts and feelings, while extroverts are drawn to the external world of people and activities. Introverts recharge their batteries by spending some time alone; extroverts need to recharge when they do not socialize enough.

Extroverts are good at performing tasks under pressure and coping with multiple jobs at once. Introverts, on the other hand, like to focus on one task at a time and can concentrate very well. Extroverts tend to do assignments quickly. They make fast decisions and are comfortable with taking risks. Introverts often work more slowly and deliberately. They think before they act, give up less easily, and work more accurately.

모든 사람은 유일무이하다. 그러나 사람들의 성격을 분류하려는 시도가 많이 있어 왔다. 가장 흔한 방법 중 하나는 사람들을 내향적인 사람과 외향적인 사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이 분류에 따르면, 외향적인 사람들은 사람과 활동이라는 외적인 세계에 이끌리는 반면, 내향적인 사람들은 생각과 감정이라는 내면세계에 이끌리는 경향이 있다. 내향적인 사람들은 혼자 시간을 보내며 배터리를 재충전하는 반면, 외향적인 사람들은 사교 활동을 충분히 하지 못했을 때 재충전이 필요하다.

외향적인 사람들은 압박감 속에서 일을 해내는 것과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처리하는 것에 능하다. 반면, 내향적인 사람들은 한 번에 한 가지 일에 집중하는 것을 좋아하고 매우 잘 집중할 수 있다. 외향적인 사람들은 과제를 빨리하는 경향이 있다. 그들은 결정을 빨리 내리며, 위험을 감수하는 것을 편안해한다. 내향적인 사람들은 보통 더 천천히 그리고 신중하게 일한다. 그들은 행동하기 전에 생각하고, 덜 쉽게 포기하며, 더 정확하게 일한다.

 

Based on all this information, you might think that introverts and extroverts do not get along. However, they actually work well together because their personalities complement each other. Sometimes they can even accomplish great things when they collaborate. Let's take a look at some famous examples!

Case One: Working Together for Civil Rights

On December 1, 1955, in the American city of Montgomery, Alabama, a black woman named Rosa Parks got on a bus. At that time in Montgomery, buses were divided into two zones: one for black people and the other for white people. She took a seat in the black zone and watched quietly as more and more passengers got on the bus. Soon, all the seats in the white zone were taken. Then the driver ordered her to give her seat to a white passenger. Rosa Parks was a shy, mild-mannered introvert. She avoided standing out in public or drawing attention to herself. However, she had the courage to resist injustice, so she answered calmly with a single word—"No." The furious driver called the police, and she was arrested.

이 모든 정보를 기반으로, 당신은 내향적인 사람과 외향적인 사람이 서로 잘 지내지 못한다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들은 실제로 잘 협력하는데, 그들의 성격이 서로를 보완하기 때문이다. 심지어 그들은 협력할 때 때때로 위대한 일들을 성취하기도 한다. 유명한 몇 가지 사례들을 보자!

사례 1: 시민의 평등권을 위해 협력하다

1955년 12월 1일, 미국의 앨라배마 주 몽고메리 시에서, Rosa Parks라는 이름의 흑인 여성이 버스에 탔다. 당시 몽고메리에서는, 버스가 흑인을 위한 곳과 백인을 위한 곳 두 구역으로 나뉘어 있었다. 그녀는 흑인 구역에 앉아서 점점 더 많은 승객들이 버스에 타는 동안 조용히 지켜보았다. 곧 백인 구역의 모든 좌석들이 찼다. 그러자 기사가 그녀에게 그녀의 자리를 백인 승객에게 양보하라고 명령했다. Rosa Parks는 수줍어하고 온화한 내향적인 사람이었다. 그녀는 사람들 앞에서 두드러지거나 자신에게 관심이 집중되는 것을 피했다. 그러나 그녀는 불의에 저항할 용기가 있었다. 그래서 그녀는 차분하게 한 단어로 대답했다. “싫어요.” 분노한 기사는 경찰을 불렀고, 그녀는 체포됐다.

 

Parks's calm response to the situation impressed many people. Soon after, her quiet resistance came together with the inspirational speechmaking of Martin Luther King Jr. When 5,000 people assembled at a rally to support Parks's act of courage, King made a speech to the crowd. He was an extrovert—assertive, sociable, and good at motivating people. "There comes a time when people get tired of being trampled," he told them. "There comes a time when people get tired of being pushed out of the sunlight." King was an amazing speaker, and his words filled the people with pride and hope. He then praised Parks's bravery and hugged her. She stood silently. Her mere presence was enough to strengthen the crowd.

그 상황에 대한 Parks의 차분한 반응은 많은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다. 곧, 그녀의 조용한 저항은 Martin Luther King Jr.의 인상적인 연설로 이어졌다. 5,000명의 사람들이 Parks의 용감한 행동을 지지하기 위해 집회에 모였을 때, King은 군중에게 연설을 했다. 그는 외향적인 사람으로, 적극적이고, 사교적이며, 사람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데에 뛰어났다. “사람들이 짓밟히는 데에 진력나는 순간이 옵니다.” 그는 그들에게 말했다. “사람들이 햇빛으로부터 밀려나는 것에 진력나는 순간이 옵니다.” King은 놀라운 연설가였고, 그의 말은 사람들을 자부심과 희망으로 채웠다. 그리고 나서 그는 Parks의 용기를 칭송하고는 그녀를 포옹했다. 그녀는 조용히 서 있었다. 그녀의 존재는 그 자체만으로도 군중에게 힘을 주기에 충분했다.

 

Rosa Parks's act and Martin Luther King Jr.'s speech inspired Montgomery's black community to boycott the buses, a crucial turning point in the struggle for civil rights. The boycott lasted for 381 days. It was a difficult time for everyone, but eventually the buses were integrated. Think about how the partnership of these two people accomplished this. A powerful speaker refusing to give up his seat on a bus would not have had the same effect. Similarly, Rosa Parks could not have excited the crowd at the rally with her words. When their introverted and extroverted traits were combined, however, his charisma attracted attention to her quiet bravery. In the end, this partnership had a huge impact on society.

Rosa Parks의 행동과 Martin Luther King Jr.의 연설은 몽고메리의 흑인 공동체가 버스 이용을 거부하도록 고무했고, 그것은 시민 평등권을 위한 투쟁의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그 거부 운동은 381일 동안 계속되었다. 모두에게 힘든 시간이었지만, 마침내 버스는 통합되었다. 어떻게 이 두 사람의 동반자 관계가 이것을 이뤄 냈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라. 버스에서 자신의 자리를 양보하기를 거부하는 강력한 연설가는 (Rosa Parks와) 같은 효과를 내지는 못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Rosa Parks는 집회에서 그녀의 말로 군중을 흥분시키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들의 내향적인 성질과 외향적인 성질이 결합하자, 그의 사람을 휘어잡는 매력은 그녀의 조용한 용기에 관심을 끌어 모았다. 결국, 이 동반자 관계는 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다.

 

Case Two: A Business Partnership

On June 29, 1975, Steve Wozniak tapped a few keys on his keyboard, and letters appeared on a screen. He had just created a personal computer that allowed people to type on a keyboard and see the results on a monitor simultaneously. At the sight of the brilliant device, Steve Jobs suggested to Wozniak that they start a business.

Wozniak was a great inventor. When he partnered with Jobs, however, he was able to do much more. In fact, the two men formed one of the most famous partnerships of the digital era. Wozniak would come up with a clever engineering idea, and Jobs would find a way to polish, package, and sell it.

사례 2: 사업 동반자 관계

1975년 6월 29일, Steve Wozniak은 그의 키보드의 키를 몇 개 두드렸고, 글자들이 화면에 나타났다. 그는 사람들이 키보드를 치는 동시에 모니터에서 결과를 볼 수 있게 해 주는 개인용 컴퓨터를 갓 만들어 낸 것이었다. 이 기가 막힌 장치를 보면서, Steve Jobs는 Wozniak에게 함께 사업을 시작할 것을 제안했다.

Wozniak은 뛰어난 발명가였다. 그러나 그는 Jobs와 함께했을 때 훨씬 더 많은 것을 할 수 있었다. 사실, 이 두 사람은 디지털 시대에 가장 유명한 동반자 관계 중 하나를 형성했다. Wozniak은 영리한 공학 아이디어를 내놓고, Jobs는 그것을 다듬고 포장해서 팔 방법을 찾아내곤 했다.

 

The two men had opposite personalities. Wozniak hated small talk and often worked alone. It was these features of his introverted personality that enabled him to focus on inventing things. Jobs, on the other hand, had outstanding social skills. According to Wozniak, he was good at communicating with people. Wozniak was a shy inventor, whereas Jobs was a daring entrepreneur, but they were alike in that neither was afraid to face challenges that seemed impossible.

So which personality type is better? Obviously, the answer is neither. The world needs both introverts and extroverts, and they often make a terrific team. We simply need to respect different personalities as well as our own. Then, when we have a chance to work together, we might be able to do great things!

두 사람은 정반대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Wozniak은 한담을 싫어했고 보통 혼자 일했다. 그가 물건들을 발명하는 데 집중할 수 있게 해 준 것은 바로 이런 그의 내향적인 성격 특성이었다. 반면에, Jobs에게는 뛰어난 사교 기술이 있었다. Wozniak에 따르면, 그는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잘했다고 한다. Jobs가 대담한 사업가인 반면, Wozniak은 수줍은 발명가였지만, 두 사람 모두 불가능해 보이는 도전에 맞서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그들은 비슷했다.

그래서 어떤 성격 유형이 더 좋은 것일까? 명백하게도, 대답은 둘 중 어느 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세상은 내형적인 사람과 외향적인 사람 모두를 필요로 하며, 그들은 자주 훌륭한 팀을 이룬다. 우리는 그저 우리 자신의 성격뿐만 아니라 다른 성격도 존중할 필요가 있다. 그러면, 우리가 함께 일할 기회가 있을 때 위대한 일을 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쌤의 영어교실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학생은 없다,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blog.naver.com

영어회복제 Pacas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영어회복제Pacas

학생들과 호흡하며 수업을 진행하다보니 때로는 느슨한 호흡으로 진행할 수 밖에 없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교과 어휘 및 본문 자료, 모의고사 관련 변형 등 관련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를 통해

www.youtube.com

 

youtu.be/PnrMqcd8J7E

 

반응형
반응형

고2 능(김) 1과 본문.pdf
0.32MB

 

고2 능(김) 1과 어휘 의미테스트.pdf
0.27MB
고2 능(김) 1과 어휘 철자테스트.pdf
0.18MB
고2 능(김) 1과 어휘.pdf
0.36MB

 

15개정 영어1 1과 본문

Can I Swim?

Tom Michell is a British teacher. In the 1970s, he worked at an English language boarding school in Argentina. One day he visited a beach and found a penguin that was injured and alone. Michell decided to help the bird. He cleaned it, fed it, and even gave it a nameJuan Salvado.

From that day on, Juan Salvado lived on the terrace of his room in the school dormitory. The following is part of the story, written by Tom Michell, about the penguin and a boy at the school. From the first day that I brought a penguin to live at the school, one student in particular wanted to help with his care. His name was Diego Gonzales. Diego was a shy boy who seemed to be frightened of his own shadow. He struggled with his classes, and none of the after-school activities seemed to suit him. He was neither strong nor athletic. On the rugby field, nobody passed the ball to him or involved him in the game, except to make fun of him.

Tom Michell은 영국인 교사이다. 1970년대에 그는 아르헨티나에 있는 영어 기숙 학교에서 일했다. 어느 날 그는 해변에 갔다가 상처 입고 홀로 있는 펭귄 한 마리를 발견했다. Michell은 그 새를 도와주기로 결심했다. 그는 그것을 닦아 먹이고 Juan Salvado라는 이름까지 지어 주었다.

그날 이후로, Juan Salvado는 학교 기숙사에 있는 그의 방 테라스에서 살았다. 다음은 Tom Michell이 그 펭귄과 그 학교의 한 소년에 대해 쓴 이야기의 일부이다. 내가 펭귄을 데려와 학교에서 살게 한 첫날부터, 한 학생이 특히 펭귄을 돌봐 주는 일을 도와주고 싶어 했다. 그의 이름은 Diego Gonzales였다. Diego는 자기 자신의 그림자에도 몹시 겁을 내는 듯한 수줍음 타는 아이였다. 그는 수업을 힘겨워했고, 방과 후 활동 중 그 어느 것도 그에게 적합해 보이지 않았다. 그는 강하지도 않았고 체격이 좋지도 않았다. 럭비 경기장에서, 그를 놀릴 때를 제외하고는 아무도 그에게 공을 패스하거나 경기에 그를 끼워주지 않았다.

 

Diego's early education had not prepared him well for life at his new school. His knowledge of English was limited, so he avoided conversation. However, Diego enjoyed the company of Juan Salvado. Indeed, on the terrace, Diego could relax. He had some friends who also had trouble fitting in. Looking after Juan Salvado was good for those boys. They fed him fish, swept the terrace, and spent time with him.

One day, I took Juan Salvado to the school swimming pool with the boys. As soon as the other swimmers left, we brought Juan Salvado to the water to see if he would swim. Juan Salvado had been living at the school for several months by then. However, in all that time, he had never been able to swim because his feathers had been damaged.

Diego의 어릴 적 교육은 그의 새 학교에서의 생활에 (그가 잘 적응하도록) 그를 제대로 준비시켜 주지 못했다. 그의 영어 지식은 부족했고, 그래서 그는 대화를 피했다. 하지만 DiegoJuan Salvado와 함께 있는 것을 즐겼다. 확실히, 테라스에서 Diego는 긴장을 풀 수 있었다. Diego에게는 그처럼 (학교 생활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몇몇 친구들이 있었다. Juan Salvado를 돌보는 것은 이 소년들에게 좋은 일이었다. 그들은 펭귄에게 생선을 먹였고, 테라스를 청소했으며, 펭귄과 함께 시간을 보냈다.

어느 날, 나는 그 소년들과 함께 Juan Salvado를 학교 수영장으로 데리고 갔다. 수영하고 있던 다른 사람들이 나가자마자, 우리는 Juan Salvado가 수영을 하려고 하는지를 보기 위해 그를 물로 데리고 갔다. 그때까지 Juan Salvado는 여러 달 동안 학교에서 생활해 오고 있었다. 그런데, 그 기간 내내 그는 깃털들에 상처를 입은 상태여서 수영을 전혀 할 수가 없었다.

 

“Go on!” I said. The penguin stared at me and then at the pool, like he was asking, “Ah! Is this where the fish come from?” Without further encouragement, he jumped in. With a single movement of his wings, he flew like an arrow across the water and knocked into the wall on the opposite side. Luckily, he was not hurt!

I had never had the opportunity to study a penguin in the water before. I was familiar with the awkward way that Juan Salvado walked on land, but now I watched in awe. Using only a stroke or two, he flew at great speed from one end of the pool to the other, turning swiftly before touching the sides. It was amazing! Everyone could see how much he was enjoying himself. “Ooh! Aah!” The boys shouted, as though they were watching a fireworks display. After a while, Diego came over and asked quietly, “Can I swim, too?”

어서!” 내가 말했다. 펭귄은 나를 쳐다본 다음 수영장을 바라봤는데, 마치 그는 ! 이곳이 물고기가 사는 곳인가요?”라고 묻는 것 같았다. 더 격려하지 않아도, 펭귄은 (물속으로) 뛰어들었다. 날갯짓 한 번에 그는 물을 가로질러 화살처럼 날아 반대쪽 벽에 부딪혔다. 다행히도, 그는 다치지 않았다!

나는 이전에는 물속에 있는 펭귄을 살펴볼 기회가 전혀 없었다. 나는 Juan Salvado가 육지에서 걸어 다니던 어설픈 방식에만 익숙해 있었는데, 이제 나는 감탄하며 바라보았다. 겨우 한두 번의 날갯짓으로, 그는 수영장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까지 엄청난 속도로 날아갔고, 끝에 닿기 전에 재빨리 몸을 돌렸다. 그 모습은 놀라웠다! 모든 사람들이 그가 얼마나 즐거워하고 있는지 알 수 있었다. “! !” 소년들이 마치 불꽃놀이를 보고 있는 듯이 소리쳤다. 잠시 후에, Diego가 와서 조용히 물었다. “저도 수영해도 되나요?”

 

I was astonished. He had never gone near the pool before. I was not even sure if he could swim.

“The water is cold, and it's getting late. Are you sure you want to go in?” I asked.

“Please!” “All right then,” I said, “but be quick!”

I had never seen him so excited before. His eyes were shining with joy, and he seemed to be truly alive for the first time. Without hesitating, he dived into the cold water. I was ready to jump in and rescue him if he could not swim.

However, I soon realized that I did not have anything to worry about. Not only could Diego swim, but he swam magnificently! He chased after Juan Salvado, and they swam in perfect harmony. It was like a duet written for violin and piano. Sometimes Juan Salvado took the lead and Diego followed after him. At other times Diego went ahead and the penguin swam around the boy. Occasionally they swam so close that they almost touched.

나는 깜짝 놀랐다. 그는 전에 그 수영장 근처에 가 본 적이 전혀 없었다. 나는 그가 수영할 수 있는지조차 확신할 수 없었다.

물이 차갑고, 시간이 늦어지고 있단다. 정말 들어가고 싶은 거니?” 내가 물었다.

제발요!” “그럼 좋아,” 내가 말했다. “하지만 빨리 하렴!”

나는 그가 그렇게 신나 하는 것을 이전에 본 적이 없었다. 그의 눈은 기쁨으로 빛나고 있었고, 그는 처음으로 진정 살아 있는 것처럼 보였다. 망설임 없이, 그는 찬물 속으로 뛰어들었다. 나는 그가 수영할 수 없을 경우 뛰어들어가서 그를 구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

그러나 나는 곧 걱정할 필요가 전혀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Diego는 수영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훌륭하게 수영을 해냈다! 그는 Juan Salvado를 쫓아갔고, 그들은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며 수영했다. 그것은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해 쓰인 이중주곡 같았다. 때로는 Juan Salvado가 앞장섰고 Diego가 그를 뒤쫓았다. 다른 때에는 Diego가 앞서갔고 펭귄이 그 소년 주변에서 수영했다. 때때로 그들은 너무 가까이 수영을 해서 거의 닿을 뻔했다.

 

I was almost speechless. Suddenly Diego was not the sad little boy we had become used to. He was a very normal boy with a very special talent.

“Diego! You can swim!”

“Yes, I can swim.”

“I mean you are able to swim really well. Brilliantly, in fact!”

“Do you think so?” He asked without looking directly at me, but I saw a smile on his face.

As we returned to the dormitory, Diego told me that his father had taught him how to swim in the river by their home. It was the first time he had talked about his life. I listened in silence, without making any corrections to his English, as he talked nonstop all the way back to the dormitory.

나는 말문이 막힐 지경이었다. 갑자기 Diego는 우리가 익숙해 있었던 그 슬픈 꼬마 소년이 아니었다. 그는 매우 특별한 재능을 가진 아주 평범한 소년이었다.

 

“Diego! 너 수영할 수 있구나!”

, 수영할 수 있어요.”

네가 수영을 정말 잘한다는 뜻이야. 실은, 아주 훌륭해!”

그렇게 생각하세요?” 그는 나를 똑바로 바라보지 않은 채 물었지만, 나는 그의 얼굴에서 미소를 보았다.

우리가 기숙사로 돌아올 때, Diego는 아버지가 집 근처에 있는 강에서 그에게 수영하는 법을 가르쳐 주셨다고 나에게 말했다. 그가 자신의 삶에 대해 얘기한 것은 처음이었다. 기숙사로 돌아오는 내내 그가 끊임없이 말할 때, 나는 그의 영어에 어떤 지적도 하지 않으면서 조용히 듣기만 했다.

 

The events of that day were extraordinary. A child had gone down to the water to swim with a penguin, and shortly afterward, a young man had emerged. The ugly duckling had become a swan.

It was definitely a turning point. Diego's confidence grew quickly after that day. When the school had a swimming competition, he won every race he participated in. The encouragement and acknowledgement given by the other boys was genuine. He had earned the respect of his classmates. Over the next few weeks, his grades improved and he became more popular. Thanks to a swim with a penguin, a lonely boy's life was changed forever.

그날 있었던 일들은 놀라웠다. 한 아이가 펭귄과 수영하러 물속으로 들어갔고, 잠시 뒤에 젊은 청년이 (되어 밖으로) 나왔다. 미운 오리 새끼가 백조가 된 것이다.

그것은 분명히 전환점이었다. 그날 이후에 Diego의 자신감을 빠르게 커졌다. 학교에서 수영 대회가 있을 때, 그는 참가한 경기마다 우승을 했다. 다른 친구들이 해 주는 격려와 인정은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것이었다. 그는 학급 친구들의 존경을 받았다. 다음 몇 주에 걸쳐서, 그의 성적은 향상되었고 그는 인기가 더 많아졌다. 펭귄과의 수영 덕분에, 한 외로운 소년의 삶이 영원히 바뀌게 되었다.

 

youtu.be/ZQQsMPp8MeU

 

반응형
반응형

 

고1 능(김) 5과 본문.pdf
0.23MB
고1 능(김) 5과 어휘 (완).pdf
0.24MB
고1 능(김) 5과 어휘 테스트.pdf
0.14MB
고1 능(김) 5과 의미 테스트.pdf
0.17MB

 

5과 Three Questions

 

Part 1/5

왕이 알고 싶은 3가지

1. 어떤 것을 하기에 적기가 언제

2. 주의를 기울여야 할 가장 필요한 사람이 누구

3.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이 무엇

가장 중요한 1)순간, 2)사람, 3)행동

Why? … 해답이 ‘성공’을 보장해줄 것으로 생각!!

*해답에 대한 보상금까지....

많은 사람들이 궁전으로 찾아와 다양한 의견들을....

But 만족스러운 대답을 듣지 못한 King...

 

 

Part 2/5

질문에 대한 다양한 사람들의 다양한 답변들

→ 만족스럽지 못한 왕

∴최고의 답변을 얻기 위해 현자를 만나러 가기로 결정!

(농부로 변장) (경호원들은 근처에 남겨둔 채 ‘홀로’)

→현자가 사는 오두막으로~~~ 긔긔

→땅을 파고 있었던 현자에게 그 3가지 질문을 하게 되는데...

 

 

Part 3/5

- 현자는 대답하기를 거부

왕은 현자를 도움(digging)…해질 때까지

왕은 돌아갈지를 결정하기 위해

대답을 들을 수 있는지 재차 물어봄

 

갑자기 숲에서 오두막 쪽으로 ‘한 사람’이 달려옴

배에 피를 흘리며 쓰러짐→왕이 치료해줌

다 같이 1박 2일

 

 

Part 4/5

아침이 되자,

부상 당했던 사내가 다짜고짜 왕에게 용서를 구함.

사내의 사연;

→작년 전쟁 중 왕에게 형제를 잃고 재산을 빼앗김

→은자를 만나러 가는 왕의 행보를 듣고

왕이 돌아가는 길에 살해할 계획을 세움

→But, 경호원과 마주쳐 부상을 당함

 

∴ 왕이 자신을 치료해준 것에 대해 감사

→왕은 용서하고, 재산을 돌려줄 것을 약속→사내가 떠남

 

 

Part 5/5

마지막으로 왕이 현자에게 답을 구함.

현자의 대답;

1.왕이 자신을 돕지 않았다면, 떠났을 것

2.떠났다면, 도중 공격받았을 것

 

∴가장 중요한 시기:땅을 파고 있을 때, 가장 중요한 사람:현자,

가장 중요한 행동:현자를 도운 것

그 다음,

∴가장 중요한 시기:그 사내를 보살핀 때, 가장 중요한 사람:그 사내

가장 중요한 행동:그 사내를 도운 것

→지금, 함께 있는 사람, 그 사람에게 선행을 베푸는 것

 

 

알파카의 영어농장 http://cafe.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 네이버 카페

고등부 학생들, 고등부 선생님들께 필요한 모의고사 위주의 자료를 제공하는 영어카페입니다.

cafe.naver.com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쌤의 영어교실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학생은 없다,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blog.naver.com

 

영어회복제 Pacas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영어회복제Pacas

- 우리동네영어쌤 Alpaca Since 2019. 8. - 채널명을 변경하였습니다~* 올해 1월에 이사를 하고, 공부방을 열어 2월 1일 부터 첫 수업을 진행했어요~ 고3 수강생이 아직 1명이라 강의를 보면 수업 초점이

www.youtube.com

 

 


There was once a king who wanted to know three things: the right time to do everything, the most necessary people to pay attention to, and the most important thing to do. He thought that knowing these things would ensure his success.

He announced that he would reward anyone who could teach him these things. Many people traveled to his palace, but they all provided different answers to his questions.

Regarding the first question, some said that the king should make a detailed schedule so that he could always know the perfect time to do everything. Others claimed that he should take every situation into account and wait for the precise moment to act. Still others suggested that he should consult wise men.

옛날에 세 가지를 알고 싶어 하는 왕이 있었다. 어떤 것을 하기에 적기가 언제인지, 주의를 기울여야 할 가장 필요한 사람이 누구인지, 그리고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이 무엇인지가 그 세 가지였다. 그는 이것들을 아는 것이 그의 성공을 보증해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이것들을 알려줄 수 있는 누구에게건 보상하겠다고 공표했다. 많은 사람들이 그의 궁전으로 찾아왔지만, 그들 모두 그의 질문들에 대해 다른 답을 내놓았다.

첫 번째 질문에 관해서, 어떤 사람들은 왕이 무언가를 할 최적의 때를 항상 알 수 있도록 상세한 일정을 짜야 한다고 말했다. 다른 사람들은 왕이 모든 상황을 고려해서 행동할 정확한 시기를 기다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이들은 현자들과 상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Equally various were the answers to the second question. Some said that the members of the king's council were the most important people, while others mentioned priests, doctors, or warriors.

In response to the third question, some replied that science was the most important thing, whereas others insisted that it was war or religious worship.

The king was not pleased with any of the answers. Still wishing to find the best answers to his questions, the king decided to visit an old hermit who was famous for his wisdom.

The hermit lived in a forest and met only ordinary folk, so the king disguised himself as a simple peasant. He ordered his bodyguards to stay behind while he went on alone to seek out the hermit.

Reaching the hermit's hut, the king found the old man digging in his garden. The hermit greeted the king and continued digging. The king said, "I have come here to ask you three questions. How can I learn the right time to do everything? Whom do I most need to pay attention to? Finally, wha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do?"

두 번째 질문에 대한 대답들도 다양했다. 어떤 사람들은 왕의 자문위원회 위원들이 가장 중요한 사람들이라고 말하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성직자, 의사, 기사라고 말했다.

세 번째 질문에 대한 답으로는, 어떤 사람들은 과학이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말한 반면, 다른 사람들은 전쟁이나 종교적인 예배라고 주장했다.

왕은 어떤 대답도 마음에 들지 않았다. 여전히 그의 질문들에 대한 최선의 답을 찾길 원했기에, 왕은 지혜로 명성이 높은 한 늙은 은자를 찾아가기로 결심했다.

그 은자는 숲에 살았고, 오직 평민들만 만났기에 왕은 평범한 농부로 변장했다. 왕은 은자를 찾기 위해 혼자 가는 동안, 그의 경호원들에게 뒤에 남아있으라고 명령했다.

왕이 은자의 오두막에 도착했을 때, 왕은 그 노인이 정원에서 땅을 파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은자는 왕에게 인사를 하고는 계속해서 땅을 팠다. 왕이 말했다. “당신에게 세 가지 질문을 하려고 왔습니다. 어떻게 하면 제가 무언가를 할 최적의 때를 알 수 있습니까? 저는 누구에게 가장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까? 마지막으로,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은 무엇입니까?”

 

The hermit listened carefully but declined to respond. "You must be tired," the king said. "Let me help you with that." The hermit thanked him, handing the king his spade.

The king worked for a long time, while the hermit watched him silently. Eventually, as the sun was setting, the king stopped and said, "I came to you for answers to my questions. If you can give me none, please let me know so that I can return home."

"Someone is running toward us," the hermit said. "Let's see who it is."

The king turned and saw a man running out of the woods. When the man reached the king, he fell down. The king could see blood flowing from a large wound in his stomach. The king washed and bandaged the wound, and then he and the hermit carried the man into the hut. The man closed his eyes and fell asleep. Because he was completely exhausted, the king also lay down and slept.

은자는 주의 깊게 들었지만 대답하기를 거절했다. “당신은 지친 게 분명합니다. 제가 당신이 하는 일을 거들어 드리겠습니다.”라고 왕이 말했다. 은자는 왕에게 감사해 하고는, 그의 삽을 왕에게 건넸다.

왕은 한참 동안 일을 했고, 그 동안 은자는 왕을 아무 말없이 바라보았다. 해가 지고 있었기에, 결국 왕은 하던 일을 멈추고 말했다. “저는 제 질문들에 대한 대답을 찾기 위해 당신에게 왔습니다. 당신이 제게 아무 대답도 줄 수 없다면, 집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알려주세요.”

누군가 우리 쪽으로 달려오고 있군요.”라고 은자가 말했다. “누군지 봅시다.”

왕은 고개를 돌려 한 남자가 숲에서부터 달려오는 것을 보았다. 그 남자가 왕에게 이르렀을 때, 그는 쓰러졌다. 왕은 그의 배에 있는 커다란 상처에서 피가 흐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왕은 그 상처를 씻어주고 붕대를 감아주고 나서, 은자와 함께 그 남자를 오두막 안으로 옮겼다. 그 남자는 눈을 감더니 잠들었다. 완전히 기진맥진했기 때문에, 왕도 누워서 잠들었다.

 

 

When he awoke in the morning, the man was staring at him.

"Forgive me," the man begged.

"I don't know you, and I have no reason to forgive you," the king replied.

"You might not know me, but I know you," the man answered. "During the last war, you killed my brother and took my property. When I knew that you had gone to see the hermit, I decided to kill you on your way back. However, I came across your bodyguards, who recognized me and wounded me. Although I escaped, I would have died if you hadn't saved my life. Now, my sons and I will serve you forever.“

Pleased to have made friends with his enemy so easily, the king forgave the man and promised to restore his property. After the man left, the king went outside to talk to the hermit.

아침에 왕이 잠에서 깼을 때, 그 남자가 왕을 바라보고 있었다.

용서해주십시오.”라고 그 남자가 간청했다.

저는 당신을 모릅니다. 그러니 제가 당신을 용서해야 할 이유가 없습니다.”라고 왕이 대답했다.

당신은 저를 모를 수도 있지만 저는 당신을 압니다.”라고 남자가 대답했다. “지난 전쟁에서 당신은 저의 형제를 죽이고, 제 재산을 앗아갔습니다. 당신이 은자를 보러 갔다는 것을 알았을 때, 저는 당신이 돌아오는 길에 당신을 죽이려고 결심했습니다. 하지만, 저는 우연히 당신의 경호원들과 마주쳤고, 그들이 저를 알아보고는 제게 상처를 입혔습니다. 탈출하기는 했으나, 당신이 제 목숨을 구해주지 않았다면 저는 죽었을 것입니다. 이제부터, 제 아들들과 저는 당신을 평생 섬기도록 하겠습니다.”

이렇게 쉽게 적과 화해하게 된 것이 기뻤기에, 왕은 그 남자를 용서하고 그의 재산을 돌려주겠다고 약속했다. 그 남자가 떠난 후, 왕은 은자와 말하기 위해 밖으로 나갔다.

 

 

"For the last time, I beg you to answer my questions," the king said.

"They've already been answered," said the hermit.

"What do you mean?" the king asked.

"If you hadn't helped me, you would've left, and that man would've attacked you.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time was when you were digging. I was the most important person, and helping me was the most important thing. Later, the most important time was when you cared for the man. If you hadn't helped him, he would've died, so he was the most important person, and helping him was the most important thing. Remember, there is only one time that is important: now! The person that you are with is the most important person, and doing that person good is the most important thing."

마지막으로, 당신이 제 질문들에 답해주시기를 간청 드립니다.”라고 왕이 말했다.

그것들은 이미 답변이 이루어졌습니다.”라고 은자가 말했다.

무슨 말씀이십니까?”라고 왕이 물었다.

당신이 나를 돕지 않았다면, 당신은 떠났을 것이고, 그 남자가 당신을 공격했을 겁니다. 그러므로, 가장 중요한 순간은 당신이 땅을 파던 때입니다. 제가 바로 가장 중요한 사람이고, 저를 도왔던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었던 것입니다. 그 후에, 가장 중요한 순간은 당신이 그 남자를 돌봐주었을 때입니다. 만약 당신이 그를 돕지 않았다면, 그는 죽었을 것이기에 그가 가장 중요한 사람이었고, 그를 돕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었습니다. 기억하십시오. 중요한 순간은 오직 한 순간, 바로 지금입니다! 당신이 함께하는 사람이 가장 중요한 사람이고, 그 사람에게 선을 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4과 본문.pdf
0.29MB
4과 어휘.pdf
0.30MB
4과 어휘테스트.pdf
0.21MB

 

 

4과 Deliver Your Voice
Part1. Florence Nightingale: Saving Lives with Statistics

 

1/4 내용정리

*Nightingale…전시에 부상군인을 치료하는 간호사 이미지

+통계(도표)를 이용해 치료 환경 개선

*러시아vs유럽연합국 …전쟁, 1853년 10월 ~ 1856년 3월

→수많은 사망&부상

*1854년 영국군 간호직 임무 수행 in Scutary, Turkey

 

2/4 내용정리

*치료의 어려움

∵필수 보급품이 부족or아예 없음

+부적절한 위생 시설(feat. 쥐&벼룩)

+체계도 없고, 기록 관리도 안 되고, 질병 코드도 다르고,

환자 인원 관리도 안 되고.....

∴환자 요구를 직접 경청, 기록 관리 개선,

사망 원인 기록 시스템 도입(최초)

 

3/4 내용정리

*폴라 그래프

-12개의 영역 ;1

-영역의 크기;사망자 규모

-영역의 색깔;사망 원인

-파란색;전염병

-분홍색;부상으로 인한 사망

-검은색;기타 사망

파란색

위생으로 인한 사망

 

 

4/4 내용정리

-공기 흐름&하수 처리 개선

위생 악화로 발생하는 전염병 사망자 수;18561~3

*나이팅게일의 폴라그래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전염병의 영향력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을 위해 명확한 방식

 

Part2. Gestures across the Globe
1/3 내용정리

*언어적 장벽O-비언어적 전달 방법인 제스쳐 사용

문화마다 제스쳐의 의미가 다를 수 있으니 알아보자.

 

2/3 내용정리

*nodding(끄덕임)

터키, 그리스, 불가리아아니오

일본이야기를 계속 해보시오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과장된 제스쳐

-제스쳐의 빈도수(빈도 또한 문화마다 다르다)

 

3/3 내용정리

*절제된 제스쳐;영국, 독일, 몇몇 북유럽 국가

유럽 남부에 비해 딱딱하고 차가워 보임

*동아시아 일부;신체 움직임 최소(정중함의 표시)

상대적으로 무례하거나 or 따분하다고 느낄지도....

*문화적 고려 없는 제스쳐의 자의적 해석오해가 될수도..

문화적 차이 이해혼란

 


When you think of Florence Nightingale, you probably picture a lady with a lamp taking care of injured and ill soldiers. Her compassion for these people was clearly seen through her acts. On the other hand, her passion for statistics as a way to save people’s lives is not well known to many people.

In October 1853, the conflict between Russia and an alliance of European countries turned into a war in the Turkish region known as Crimea. The war lasted from October 1853 to March 1856 and resulted in large numbers of deaths and injuries. Hoping to contribute her skills to help the British troops fighting in the Crimean War, Nightingale accepted a nursing position at an army base in Scutari, Turkey in 1854.

당신은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을 생각할 때, 아마 부상당하고 병든 군인들을 돌보는 램프를 든 여성을 상상할 것이다. 이 사람들에 대한 그녀의 연민은 그녀의 행동을 통해 분명히 보인다. 반면에, 사람들의 생명을 구하려는 방법으로서의 통계에 대한 그녀의 열정은 많은 사람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다.

185310, 러시아와 유럽 연합국 사이의 갈등은 크림 반도로 알려진 터키 지역에서 전쟁으로 변모되었다. 전쟁은 185310월부터 18563월까지 지속되었고 수많은 사망과 부상을 초래했다. 크림 전쟁에서 싸우는 영국군을 돕기 위해 그녀의 기술을 제공하길 바랐기 때문에, 나이팅게일은 1854년 터키의 스쿠타리에 있는 군 기지에서 간호직을 맡았다.

 

Upon her arrival at the base in Scutari, Nightingale realized how difficult it would be to provide proper medical care at the base. Essential supplies such as food, basic furniture, and blankets were not sufficient, and sometimes nonexistent. Patients had to deal with inadequate sanitation, which was worsened by exposure to rats and fleas.

Furthermore, the medical records were extremely disorganized. That was because none of the hospitals were using the same reporting system as any of the others. Each hospital had a different system of naming and classifying diseases, and even the number of deaths was not accurate. Thus, Nightingale dedicated herself not only to serving the needs of the injured and ill soldiers directly but also to improving the record-keeping of the hospitals. She introduced the practice of recording the cause of each death in a uniform manner, which had not been done previously.

스쿠타리에 있는 군 기지에 도착하자마자, 나이팅게일은 기지에 적절한 의학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울지 깨달았다. 음식, 기본 가구, 그리고 담요와 같은 필수 보급품이 충분하지 않았으며, 어떨 때는 아예 없었다. 환자들은 부적절한 위생 시설에 대처해야 했는데, 이는 쥐와 벼룩에의 노출로 악화되었다.

게다가, 의료 기록은 극도로 체계적이지 못했다. 그것은 어떤 병원도 다른 어느 곳과 동일한 기록 체계를 사용하고 있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병원마다 질병에 이름을 붙이고 분류하는 체계가 달랐고, 심지어 사망자 수도 정확하지 않았다. 따라서, 나이팅게일은 부상 당하고 병든 군인들의 요구를 직접 들어주는 것뿐만 아니라 병원의 기록 관리를 개선하는 데에도 전념했다. 그녀는 각 사망의 원인을 동일한 방식으로 기록하는 관행을 도입했는데, 이는 이전에 시행된 적이 없었다.

 

After witnessing many tragic deaths during the war, Nightingale knew that the only way to prevent unnecessary deaths was to improve sanitary conditions in army hospitals. Therefore, she decided to persuade army officials and politicians that widespread sanitation reform was necessary. With the help of William Farr, a leading statistician at the time, Nightingale made a number of reports based on the information she had gathered during the war. She knew that her message might easily get lost in a long list of tables. So, in an attempt to communicate the information in a more effective way, she developed a unique graph: the polar area graph.

The polar area graph presented a great deal of information about the causes of death of British soldiers in Crimea at a glance. Each of the twelve sectors displayed on the graph represented a different month. The size of the sector showed how many deaths occurred that month, with the largest sectors indicating the months with the highest death rates. Within each sector, three colors were used to show the cause of death. The blue section represented deaths attributed to infectious diseases like cholera. The pink section showed deaths caused by wounds, most of which were received in combat. Black stood for deaths caused by anything other than diseases or wounds.

전쟁 중 많은 비극적인 죽음을 목격한 뒤, 나이팅게일은 불필요한 죽음을 방지하는 유일한 방법은 군 병원 내 위생 상태를 향상하는 것임을 알았다. 그래서, 그녀는 군 관료들과 정치인들에게 광범위한 위생 개혁이 필요하다고 설득하기로 결심했다. 당시 선도적인 통계학자였던 윌리엄 파르의 도움으로, 나이팅게일은 전쟁 중에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많은 보고서를 작성했다. 그녀는 긴 목록의 표에서 그녀의 메시지를 쉽게 놓칠 수 있음을 알았다. 그래서, 더 효과적인 방법으로 정보를 전달하려는 시도로, 그녀는 독특한 그래프인 폴라 그래프를 개발했다.

폴라 그래프는 크림 반도에서의 영국 군인들의 사망 원인에 관한 다량의 정보를 한눈에 보여 주었다. 그래프에 보이는 열두 개의 영역 각각은 다른 달을 나타냈다. 영역의 크기는 그달에 얼마나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는지를 보여 주었는데, 가장 큰 영역은 사망률이 가장 높은 달을 나타냈다. 각 영역 내에는, 사망 원인을 보여주기 위해 세 개의 색이 사용되었다. 파란색 부분은 콜레라 같은 전염병으로 인한 죽음을 나타냈다. 분홍색 부분은 부상으로 인한 사망을 보여 주었는데, 그중 대부분은 전투에서 당한 것이었다. 검은색은 질병이나 부상 외에 다른 것으로 인한 사망을 나타냈다.

 

Nightingale analyzed this data and tried to figure out ways to lower the number of deaths. For example, she made efforts to improve air flow in hospitals and develop safer ways to process sewage during the war. Her efforts resulted in a sharp drop in deaths caused by contagious diseases. This can be seen on the graph in the months where the blue section nearly disappears.

Through her graphs, Nightingale effectively demonstrated the substantial impact that contagious diseases had on the soldiers in the army hospital. In fact, infectious disease would have wiped out the entire army if the trend had continued. By showing her message in such a clear way, however, she was able to convince people that a large number of deaths could be prevented. As a consequence, sanitation procedures used by hospitals underwent extensive reforms, and the number of preventable deaths decreased sharply. Thanks to her effective tools of communication, she made a crucial and lasting impact in the fields of both medicine and statistics.

나이팅게일은 이 자료를 분석하여 사망자 수를 줄이는 방법을 알아내려고 노력했다. 예를 들어, 그녀는 병원 내 공기 흐름을 개선하고 전쟁 중 하수를 처리하는 더 안전한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녀의 노력은 전염병으로 인한 죽음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것은 파란색 부분이 거의 사라진 달의 그래프에서 볼 수 있다.

그녀의 그래프를 통해, 나이팅게일은 군 병원 내에서 전염병이 군인들에게 미치는 상당한 영향을 효과적으로 보여 주었다. 사실상, 그 추세가 계속되었다면 전염병이 군 전체를 전멸시켰을 것이다. 그러나 그녀의 메시지를 그런 명확한 방식으로 보여 줌으로써, 그녀는 많은 죽음이 예방될 수 있다는 것을 사람들에게 납득시킬 수 있었다. 그 결과, 병원에 의해 사용되었던 위생 절차는 대대적인 개혁에 들어갔고, 예방 가능한 사망자 수가 급격하게 감소했다. 그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수단 덕분에, 그녀는 의학과 통계학 두 분야 모두에 중대하고 지속적인 영향을 끼쳤다.

 


Imagine that you are abroad and you are looking for a restroom. The problem is you don’t speak the language. What would you do in this situation? You would probably try to use your hands, arms, face, head, or any other parts of your body to deliver your message. When you encounter a language barrier, gestures are an obvious alternative to illustrate your points. These movements may seem like the simplest way to communicate, but a gesture in one culture might not have the same meaning as that gesture in another culture. In other words, your gestures may seem like nonsense to others, so they might think you are weird. On some occasions, they might feel offended by your gestures even if you didn’t mean to cause offense.

당신이 해외에 있고 화장실을 찾고 있다고 상상해 보라. 문제는 당신이 그 나라의 언어를 말할 줄 모른다는 것이다. 이 상황에서 당신은 어떻게 하겠는가? 아마 당신은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손, , 얼굴, 머리, 또는 신체의 다른 부분들을 사용하려 할 것이다. 당신이 언어 장벽에 부딪혔을 때, 제스처는 당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설명하기 위한 명백한 대안이다. 이 동작들은 의사소통하기 위한 가장 간단한 방법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한 문화에서의 제스처가 다른 문화의 그 제스처와 같은 의미를 갖지 않을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당신의 제스처가 다른 사람들에게는 말이 안 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어서, 그들이 당신을 이상하게 생각할지도 모른다. 어떤 경우에는, 당신이 기분을 상하게 하려고 한 것이 아닐지라도 그들은 당신의 제스처로 인해 불쾌해할 수 있다.

 

For instance, nodding your head means “yes” in most cultures, but you should be cautious because this is not universal. In Turkey, Greece, and Bulgaria, a head nod actually means “no.” In Japan, it carries another meaning. A nod given by a Japanese person signifies that he or she is listening and wants you to continue speaking. Even if the Japanese person does not agree with your opinion, he or she will still nod to keep the conversation going. This can be a source of misunderstanding when the speaker thinks a nod means “I agree with you,” but it actually means “I want to hear more.”

The movements themselves are not the only thing that can vary across cultures. The frequency with which a person uses gestures is also influenced by his or her culture. Exaggerated gestures for emphasis and explanations are common in certain cultures. For example, people in France, Spain, and Italy have a tendency to use a lot of gestures when speaking. In fact, hand gestures are so important for Italians that they might even pull off the road while driving to continue a conversation. It is nearly impossible for them to talk without using their hands.

예를 들어, 대부분의 문화권에서 고개를 끄덕이는 것은 맞습니다라는 의미이지만, 이것이 전 세계 공통은 아니므로 당신은 주의해야 한다. 터키, 그리스, 그리고 불가리아에서 고개 끄덕임은 사실 아니오를 의미한다. 일본에서, 이것은 또 다른 의미를 지닌다. 일본인이 고개를 끄덕이는 것은 그 사람이 이야기를 듣고 있고 당신이 계속 이야기하기를 원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일본인은 당신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더라도, 대화를 이어나가기 위해 끄덕일 것이다. 화자가 끄덕임이 당신의 의견에 동의합니다.”를 의미한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저는 더 듣고 싶습니다.”라는 의미일 때 이는 오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동작 그 자체가 문화별로 다를 수 있는 유일한 것은 아니다. 사람이 제스처를 사용하는 빈도 또한 그 사람의 문화에 영향을 받는다. 어떤 문화에서는 강조와 설명을 위한 과장된 제스처가 흔하다. 예를 들어, 프랑스, 스페인, 그리고 이탈리아 사람들은 말할 때 제스처를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실제로, 이탈리아인들에게 손 제스처는 매우 중요해서 그들은 심지어 대화를 이어가기 위해 운전 중에 도로를 벗어날지도 모른다. 그들에게는 손을 사용하지 않고 말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On the contrary, there are many cultures where the use of gestures is highly restricted. Speakers in England, Germany, and some other northern European countries seem stiff and frozen compared to their southern neighbors. In some parts of East Asia, body movement is kept to a minimum as a sign of politeness. In fact, excessive gestures can be considered aggressive in these cultures. Owing to these differences, these people may consider those who use a lot of gestures to be rude and lack self-control. On the other hand, those who use many gestures may find those who don’t dull and restrained.

Effective communication is not just about verbal communication but also about the gestures we use. Making mere assumptions about a person’s intentions based on gestures can cause misunderstandings if we do not take into account the person’s cultural background. Hence, understanding cultural differences in gesture use can help us improve communication and avoid confusion or offense.

이와 반대로, 제스처의 사용이 매우 제한되는 문화권도 많다. 영국, 독일, 그리고 몇몇 북유럽 국가의 화자들은 그들의 남부 이웃들에 비해서 딱딱하고 차가워 보인다. 동아시아 일부 지역에서는 정중함의 표시로 신체 움직임이 최소한으로 유지된다. 실제로, 이들 문화권에서 과도한 제스처는 공격적으로 여겨질 수 있다. 이러한 차이 때문에, 이 사람들은 제스처를 많이 사용하는 사람들을 무례하고 자제심이 없다고 간주할지 모른다. 반면, 제스처를 많이 사용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을 따분하고 억눌려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효과적 의사소통은 단지 언어적 의사소통에 관한 것일 뿐만 아니라 우리가 사용하는 제스처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단지 제스처를 바탕으로 사람의 의도를 추측하는 것은 우리가 그 사람의 문화적 배경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제스처 사용에서의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우리가 의사소통을 향상하고 혼란이나 불쾌감을 피하도록 도울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2020년 모의고사 일정

 

 

2020년 교육청 듣기평가 일정 

 

출처 : https://blog.naver.com/forjr

 

알쌤의 영어교실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학생은 없다,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blog.naver.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