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6과 본문.pdf
0.32MB
6과 어휘.pdf
0.29MB
6과 어휘테스트.pdf
0.20MB

 

6과 Better Together

 

Part1. MANY HEADS ARE BETTER THAN ONE

 

1/5 내용정리

*Crowdsourcing=Crowd + Outsourcing

(크라우드소싱)= (군중)+ (아웃소싱)

;더 많은 사람들더 나은 해결책

-용어;2005년 처음 사용

-But, 과거부터 인류가 행해 온 방식

-알아볼까요?

 

전체 요지 :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

Many hands make light work.

Many a little makes a mickle.

 

2/5 내용정리

*자유의 여신상(the Statue of Liberty)

-프랑스 조각가의 디자인

-미국에게 보내는 프랑스의 선물

-조각조각으로 뉴욕으로 보내어짐

 

(미국의) 조각상 받침대 제작 기금 부족

-신문을 통해 기금 모금 캠페인 by 퓰리쳐

-10만 달러/ 5개월 / 12만명/대부분 각 1달러 미만

 

3/5 내용정리

*Nupedia전문가들이 작성한 온라인 백과사전

But,내용도 적고, 진도도 느리고

Wikipedia로 프로젝트 변경

;온라인상 모두에게 내용 작성&편집 자격 부여

첫해 만에 2만 개 이상의 글을 18가지 언어로 보유

그 후, 급속도로 성장!

250개 이상의 언어로 된 4천만 개 이상의 글

매달 180억 뷰

 

4/5 내용정리

*BudBurst

-참여자;전국 각지 일반 시민들

-내용;지역 식물, 열매 맺는 시기 등 정보 수집

국가 데이터베이스로 전송!

개별 식물들의 기후 변화로 인한 장기적 영향 분석

 

5/5 내용정리

*오늘날, 크라우드소싱의 진화

SNS와 결합 or 새로운 플랫폼

대중의 결합된 힘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Part2. A Very Special Sporting Event

 

1-3/3 내용정리

*10대 장애인 체육대회-첫 종목 100m 달리기

-출발하자마자 한 소년의 넘어짐실망감에 울며 망연자실

나머지 주자들이 돌아와 소년을 격려

다 함께어깨동무를하고 결승선으로;관중들의 환호&박수

 

*교훈;다소 더딜지라도 개인의 승리보다 모두의 성공이 중요!

공존의 가치!

 


If two heads are better than one, then what could hundreds of heads accomplish? This question was the origin of crowdsourcing. The word “crowdsourcing” comes from a combination of the words “crowd” and “outsourcing.” It is based on the belief that getting input from a large group of people can lead to a better solution. Although the term “crowdsourcing” was first coined by a magazine editor in 2005, people have used this method throughout history. Let’s find out how people have found better solutions to problems by crowdsourcing.

두 사람의 지혜가 한 사람보다 낫다면, 수백 명의 지혜는 무엇을 성취할 수 있을까? 이 질문이 크라우드소싱의 발단이었다. ‘크라우드소싱이라는 단어는 군중아웃소싱이라는 단어들의 조합에서 비롯되었다. 그것은 대규모 집단의 사람들로부터 정보를 얻는 것이 더 나은 해결책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한다. ‘크라우드소싱이라는 용어는 2005년에 한 잡지 편집자에 의해 처음 만들어졌지만, 사람들은 역사를 통틀어 이 방법을 사용해 왔다. 사람들이 어떻게 크라우드소싱으로 문제들에 대한 더 나은 해결책을 찾아 왔는지 알아보자.

 

How did the Statue of Liberty get on her feet?

The Statue of Liberty is one of the world’s most symbolic monuments. However, without the efforts of many ordinary people, this gorgeous statue would have never become one of America’s most famous landmarks.

The magnificent Statue of Liberty was designed by a French sculptor and given as a gift from the French government to the US in the late 1800s. The statue was sent to New York in pieces, awaiting assembly. Unfortunately, the US government could not afford to fund a base for the statue, so the pieces lay in storage boxes for several months.

Then an influential newspaper editor named Joseph Pulitzer had a brilliant idea. Using his newspaper, he promoted a fundraising campaign targeted at the general public. In just five months, the campaign raised over $100,000 from more than 120,000 donors around the country. Most of the donations were less than one dollar. However, all together, the money was enough to cover the cost of building the base for the statue. There was even enough money left over to give the sculptor a gift!

 

자유의 여신상은 어떻게 설 수 있었는가?

자유의 여신상은 세계에서 가장 상징적인 기념물 중 하나이다. 하지만 많은 평범한 사람들의 노력이 없었다면, 이 멋진 조각상은 결코 미국의 가장 유명한 랜드마크 중 하나가 되지 못했을 것이다.

웅장한 자유의 여신상은 한 프랑스 조각가에 의해 디자인되었으며 1800년대 후반에 프랑스 정부로부터 미국에 선물로 보내졌다. 이 조각상은 조각조각으로 뉴욕에 보내져서, 조립을 기다렸다. 불행하게도 미국 정부는 조각상의 받침대에 기금을 댈 형편이 되지 않아서, 그 조각들은 수개월 동안 보관함에 놓여 있었다.

그때 조셉 퓰리처라는 이름의 영향력 있는 신문 편집자에게 훌륭한 아이디어가 있었다. 자신의 신문을 이용해서, 그는 일반 대중이 대상이 된 기금 모금 캠페인을 추진했다. 5개월 만에, 그 캠페인은 전국의 12만 명이 넘는 기부자로부터 10만 달러 이상을 모금했다. 기부금의 대부분은 1달러 미만이었다. 하지만, 모두 합치면 그 금액은 조각상의 받침대를 건립할 비용을 대기에 충분했다. 심지어 조각가에게 선물을 줄 만큼 충분한 돈이 남았다!

 

How have people created the world’s most comprehensive encyclopedia?

Wikipedia, a giant online encyclopedia, was actually born from an earlier project known as Nupedia. The plan was to publish an online encyclopedia written by experts. However, there was a major problem: The content was being written extremely slowly, with only 21 articles written during the first year.

To accelerate the process of writing content, the plan was changed. In the new project, called Wikipedia, permission to write or edit articles was given to anyone with Internet access, not just to the experts alone. The scale of collaboration was impressive. By the end of the first year, Wikipedia contained more than 20,000 articles in 18 languages. Since then, the site has grown rapidly, swelling to more than 40 million articles written in more than 250 languages. Every month, Wikipedia receives over 18 billion hits, making it one of the most popular sites on the Internet.

Wikipedia enables people from around the world to build a free, shared knowledge base. Its volunteer writers and editors, who are united by the joy of sharing their knowledge, have compiled a huge amount of information in a single location and made it available to everyone. Thanks to them, we see how much we can achieve and learn when we work together.

사람들은 어떻게 세계에서 가장 방대한 백과사전을 만들어 냈을까?

거대한 온라인 백과사전인 위키피디아는 사실 누피디아로 알려진 초기 프로젝트에서 생겨났다. 그 계획은 전문가들에 의해 작성된 온라인 백과사전을 출간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중대한 문제가 하나 있었다. 첫해 동안 고작 21개의 글이 작성되며 내용이 극도로 느리게 작성되고 있었던 것이다.

내용 작성 과정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계획이 변경되었다. 위키피디아로 불리는 새 프로젝트에서는, 글을 작성하거나 편집하는 것에 대한 허가가 단지 전문가들에게만이 아니라 인터넷에 접속하는 누구에게나 주어졌다. 공동 작업의 규모는 인상적이었다. 첫해가 끝날 무렵에, 위키피디아는 2만 개가 넘는 글을 18개의 언어로 보유했다. 그 이후에 그 사이트는 250개 이상의 언어로 작성된 4천만 개가 넘는 글로 늘어나며 급속도로 성장했다. 매달 위키피디아는 180억 건이 넘는 조회 수를 기록하며, 인터넷에서 가장 인기 있는 사이트 중 하나가 되었다.

위키피디아는 전 세계 사람들이 무료로 공유되는 지식 기반을 만들 수 있게 해 준다. 자신의 지식을 공유하는 즐거움으로 결속된 위키피디아의 자발적인 집필자와 편집자들은 거대한 양의 정보를 한 곳에 엮어서 그것을 모든 사람이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그들 덕분에, 우리는 우리가 협력할 때 얼마나 많이 성취하고 배울 수 있는지 알게 된다.

 

How do we observe climate change?

Another form of crowdsourcing is citizen science, which is the practice of public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in scientific research. Through citizen science, people collect data and share knowledge for research projects.

A great example of citizen science is Project BudBurst in the US. Ordinary participants in all parts of the country observe and record data about the first appearance of leaves, flowers, and fruits from various plant species in their local areas. Then they send their data to a national database. Scientists use the accumulated data to learn about how individual plant species respond to climate changes locally, regionally, and nationally. They will also use it to detect the possible long-term impacts of climate change by comparing the findings with historical data.

Each sample of data, sent in voluntarily by tens of thousands of contributors, is hugely valuable. In fact, a research project of this grand scale would be impossible without crowdsourcing.

우리는 어떻게 기후 변화를 관찰하는가?

크라우드소싱의 또 다른 형태는 시민 과학인데, 그것은 과학 연구에서의 대중의 참여와 협업의 실행이다. 시민 과학을 통해, 사람들은 연구 프로젝트를 위한 자료를 수집하고 지식을 공유한다.

시민 과학의 훌륭한 사례는 미국의 프로젝트 버드버스트이다. 전국 각지의 일반 참여자들은 자신들의 지역에 있는 다양한 식물 종의 잎, , 그리고 열매가 처음 나타나는 것에 관한 정보를 관찰하고 기록한다. 그러고 나서 그들은 국가 데이터베이스로 그들의 자료를 보낸다. 과학자들은 개별 식물 종이 지역적으로, 국지적으로, 그리고 전국적으로 어떻게 기후 변화에 반응하는지 알기 위해 그 축적된 자료를 이용한다. 그들은 또한 조사 결과를 과거의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발생 가능한 기후 변화의 장기적 영향을 알아내기 위해 그것(그 자료)을 사용할 것이다.

수많은 기여자들에 의해 자발적으로 보내진 각각의 자료 표본은 매우 귀중하다. 사실, 크라우드소싱이 없다면 이 대규모의 연구 프로젝트는 불가능할 것이다.

 

Nowadays, crowdsourcing is being enhanced by technologies such as social media networks and even specially designed crowdsourcing platforms. Such networks and platforms make it easier than ever before to take advantage of the combined power of the masses. This collective power helps us achieve a lot more than one of us could possibly achieve alone.

오늘날, 크라우드소싱은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와 심지어 특별히 고안된 크라우드소싱 플랫폼 같은 기술로 인해 강화되고 있다. 그런 네트워크와 플랫폼은 대중의 결합된 힘을 이용하는 것을 그 어느 때보다 더 수월하게 만든다. 이 집단적 힘은 우리 중 한 명이 아마 홀로 성취할 수 있을 것보다 훨씬 더 많이 성취하도록 우리를 돕는다.

 


 

A few years ago, a sporting event for disabled teenagers was held. The day was bright and clear without a cloud in sight. The early autumn breeze blew gently across the faces of the crowd. The stadium, decorated with flags and balloons, was packed with excited spectators.

The first event was the 100-meter dash. Nine teenage contestants were getting ready in their respective lanes. Standing at the starting line, they fixed their eyes on the finish line. Despite their disabilities, the contestants had been training hard for the race and were keen to win. The fact that they had disabilities didn’t matter to them.

Once the starting gun blasted, they started running vigorously to take the lead. However, as soon as the race started, something unexpected happened. All of a sudden, one boy stumbled and fell to the ground. For a moment he lay there in shock, and then he started crying in disappointment. His knees were bleeding and it seemed like he was in a lot of pain. The boy was clearly very distressed. The crowd fell quiet and looked at him with sympathy.

몇 년 전에, 장애가 있는 십 대들을 위한 체육 대회가 열렸다. 그날은 구름이 보이지 않게 화창하고 맑았다. 초가을 미풍이 관중들의 얼굴 쪽으로 부드럽게 불었다. 깃발과 풍선으로 장식된 경기장은 들뜬 관중들로 꽉 들어차 있었다.

첫 번째 종목은 100m 달리기였다. 아홉 명의 십 대 참가자들은 그들 각자의 레인에서 준비하고 있었다. 그들은 출발선에 서서, 결승선에 시선을 고정했다. 장애에도 불구하고, 참가자들은 경주를 위해 열심히 훈련해 왔었고 우승하기를 간절히 바랐다. 그들에게 장애가 있다는 사실은 그들에게 문제가 되지 않았다.

출발 총성이 울리자, 그들은 선두를 차지하기 위해 힘차게 달리기 시작했다. 하지만 경주가 시작되자마자, 예상치 못한 일이 일어났다. 갑자기, 한 소년이 발을 헛디뎌 땅에 넘어졌다. 잠시 그는 충격으로 거기 그대로 있었고, 그러고는 실망감에 울기 시작했다. 그의 양 무릎에서 피가 나고 있었고 그는 매우 고통스러워 보였다. 소년은 분명히 매우 괴로워했다. 관중들은 조용해졌고 동정심으로 그를 바라보았다.

 

What happened next took everyone by surprise. From further along the track, the other eight runners heard the boy’s cries. Each of them began to slow down and look back toward the boy. Then, a runner turned around and ran straight back toward the starting line where the boy had fallen. The others also went back to help their fellow runner.

All the runners surrounded the crying boy and gently helped him up. One boy with autism brushed the dust off him and patted him on his head. A girl with Down syndrome softly hugged him and said, “Chin up. Grab my hand and get up. Let’s go together.” Then, all nine contestants put their arms around one another’s shoulders and walked toward the finish line, smiling all the way. Without the kindness of his competitors, the boy would have remained in tears on the ground. Instead, he was making his way to the finish line with joy on his face.

그다음에 일어난 일은 모두를 깜짝 놀라게 했다. 트랙을 따라 저 멀리에서, 다른 여덟 명의 주자들이 그 소년의 울음소리를 들었다. 그들 각각은 속도를 줄이고 소년 쪽으로 뒤돌아보기 시작했다. 그다음에, 한 주자가 몸을 돌려서 소년이 넘어졌던 출발선을 향해 곧장 뛰어 돌아왔다. 나머지 주자들도 그들의 동료 주자를 돕기 위해 되돌아갔다.

모든 주자들은 울고 있는 소년을 둘러싸고 다정하게 그가 일어나도록 도왔다. 자폐증이 있는 한 소년은 그에게서 먼지를 털어 주고 그의 머리를 쓰다듬었다. 다운 증후군이 있는 한 소녀는 부드럽게 그를 안아 주며 기운 내. 내 손을 잡고 일어서. 같이 가자.”라고 말했다. 그러고 나서, 아홉 명의 모든 참가자들은 서로 어깨동무를 하고 내내 웃으며 결승선을 향해 걸어갔다. 경쟁자들의 친절함이 없었다면, 그 소년은 울면서 바닥에 넘어져 있었을 것이다. 대신에, 그는 기쁜 얼굴로 결승선으로 나아가고 있었다.

 

After a moment of silence, the audience burst into applause. Everyone in the stadium stood up, and the cheering went on as the nine contestants reached the finish line and waved their hands in the air. Many people were moved to tears by the sight of the young people supporting their fellow runner and walking together across the finish line.

People who were there that day told the story for many years after. One spectator said, “Their warm hearts touched every one of us at the stadium. Winning a medal was not as important as helping their fellow runner. Deep down, we all know that there is something more important than individual victories. What matters most is making sure everyone succeeds, even if it means slowing down ourselves.” Those nine contestants taught everyone a very important lesson about the value of coexistence. After that day, all nine runners were remembered as winners.

잠깐의 침묵 이후, 관중들은 박수갈채를 보냈다. 경기장 안의 모든 사람들이 일어났고, 아홉 명의 참가자들이 결승선에 도착해서 공중에 손을 흔드는 동안 환호가 계속되었다. 많은 사람들은 어린 친구들이 그들의 동료 주자를 부축하고 함께 결승선을 통과하여 걸어가는 광경에 감동하여 눈물을 흘렸다.

그날 그곳에 있었던 사람들은 그 후 여러 해가 지나도록 그 이야기를 했다. 한 관중은 그들의 따뜻한 마음은 경기장에 있었던 우리 모두를 감동시켰어요. 메달을 따는 것이 그들의 동료 주자를 돕는 것만큼 중요하지는 않았지요. 마음속 깊이, 우리는 모두 개인의 승리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음을 알고 있어요. 가장 중요한 것은 그것이 우리의 속도를 늦추는 것을 의미할지라도, 반드시 모두가 성공하도록 하는 것이죠.”라고 말했다. 그 아홉 명의 참가자들은 모두에게 공존의 가치에 관한 매우 중요한 교훈을 가르쳐 주었다. 그날 이후로, 아홉 명의 모든 주자들은 승자로 기억되었다.

반응형
반응형

5과 본문.pdf
0.35MB
5과 어휘.pdf
0.27MB
5과 어휘테스트.pdf
0.19MB

 

 

5과 The Future Is Yours

 

Part1. Lif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1/4 내용정리

1.자율주행 자동차

2.로봇가이드;표정인식

3.로봇 미술가

인공지능인간처럼 인지’, ‘번역’, ‘결정~

앞으로 몇 가지 사례에 대해 알아보자~

 

2/4 내용정리

1.자율주행 자동차

-주변 모든 걸 감지할 수 있는 센서 장착

-직접 운행보다 안전하다고 여겨지기도...

 

2.감정 인식 로봇

-표정&목소리 톤 인식감정 해석&반응

Ex)울적할 때 음악을 틀어주거나

몇몇 사업장에서는 로봇들이 고객 응대

 

3/4 내용정리

3.인공지능 예술가 아론

-1973년부터 그림을 그려오고 있음

-흑백의 추상화에서 사실적 이미지까지 +채색까지..

-새로운 이미지 및 화풍 No

But 코드입력 하면 가능

-아론의 작품 중 몇 개는 전 세계의 미술관에 전시

인간보다 낫다는 평(?)을 받기도....

 

4/4 내용정리

*인공지능에 대한 갖가지 논란

-법적&윤리적 기준 필요

-준비가 되어 있다면 평화(?)로운 공존(?) 가능

 

 

Part2.  An Interview with a Futurist
1~3/3 내용정리

*미래학자와의 인터뷰

-18C, 공장의 기계도입인간의 일자리

-단순반복노동 로봇의 몫이 될 수도

일자리 감소?새로운 일자리 O <feat. 창의력, 상상력>

-미래의 일자리아직 생겨나지도 않았을 것

Ex)10년 전의 앱 개발자

 

-미래를 어떻게 대비할 수 있을까?

배움의 기술 + 동시대의 기술 상태를 최신으로 알아둘 것

 


“Hurry up!” Charlie’s dad shouts from the front door. Today, Charlie is going on a school field trip to the museum. He woke up late and missed the school bus, so his dad is going to take him there. As soon as they hurry into their self-driving car, Charlie’s dad activates the car by asking it to take them to the museum. When Charlie arrives, his classmates and a robot guide are waiting for him. The robot guide reads Charlie’s face and notices that he feels sorry for not arriving on time. It tells him, “It’s all right. You are not too late.” Then, the robot guide starts to introduce the paintings hanging on the wall. Some are painted by humans, and others are painted by robots. However, Charlie cannot confidently distinguish the pictures painted by robots from those painted by humans.

Do you think this could happen in the distant future? Believe it or not, some of these things are happening right now thanks to artificial intelligence (AI)technology that enables machines to perform tasks that normally require human intelligence. Machines with AI can recognize speech, translate languages, and make decisions much like humans do. Here are three examples of how AI is already changing our lives.

서둘러!” 찰리의 아버지가 현관에서 소리친다. 오늘, 찰리는 박물관으로 현장 학습을 갈 것이다. 그가 늦게 일어나 통학버스를 놓쳐서, 그의 아버지가 그를 그곳으로 데려다줄 것이다. 그들이 자율 주행 자동차에 급히 타자마자, 찰리의 아버지는 자신들을 박물관으로 데려다 달라고 하는 것으로 차를 작동시킨다. 찰리가 도착하니, 그의 반 친구들과 로봇 가이드가 그를 기다리고 있다. 로봇 가이드는 찰리의 표정을 읽고 그가 제시간에 도착하지 못해서 미안해하는 것을 알아챈다. 그것은 그에게 괜찮아. 너는 많이 늦지 않았어.”라고 말한다. 그 후, 로봇 가이드는 벽에 걸린 그림들을 소개하기 시작한다. 일부는 인간에 의해 그려졌고, 다른 것들은 로봇에 의해 그려졌다. 하지만, 찰리는 로봇에 의해 그려진 그림과 인간에 의해 그려진 그림을 자신 있게 구별할 수 없다.

이것이 먼 미래에 일어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믿기 힘들겠지만, 이것들 중 일부는 인공 지능 보통은 인간의 지능을 필요로 하는 일을 기계가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덕분에 지금 일어나고 있다. 인공 지능이 탑재된 기계들은 인간이 하는 것처럼 말을 인지하고, 언어를 번역하며,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여기 인공 지능이 이미 우리 삶을 변화시키고 있는 방법의 세 가지 사례가 있다.

 

Hit the Road without a Human at the Wheel

Self-driving cars are vehicles that don’t need to be operated by a human driver during the driving phase. If the passenger simply inputs a destination, this automobile does the rest. Self-driving cars have sensors that can detect pedestrians, cyclists, other vehicles on the road, or even a plastic bag that has suddenly been blown into traffic. The AI software in self-driving cars predicts the movement of all of these objects and chooses the safest speed and direction for the car to travel. Also, because the car’s AI system can do all this without becoming tired or distracted, some believe that self-driving cars are even safer than those operated by humans.

운전하는 사람 없이 길을 나서다

자율 주행 자동차는 운전 상태 동안 인간 운전자에 의해 작동될 필요가 없는 차량이다. 승객이 그저 목적지를 입력하기만 하면, 이 자동차가 나머지 것들을 한다. 자율 주행 자동차에는 보행자, 자전거를 타는 사람, 도로 위의 다른 차량, 심지어는 차량들 쪽으로 갑자기 날아온 비닐봉지까지도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있다. 자율 주행 자동차에 있는 인공 지능 소프트웨어는 이 모든 물체의 움직임을 예측하고 자동차가 이동하기 가장 안전한 속도와 방향을 정한다. 또한, 자동차의 인공지능 시스템은 지치거나 주의가 분산되지 않고 이 모든 것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사람들은 자율 주행 자동차가 인간에 의해 작동되는 차보다 훨씬 더 안전하다고 생각한다.

A Robot That Reads Your Emotions

If you’ve ever wanted to be friends with a robot, here is one with “emotions” for you. This “emotional” robot is designed to interact with people and sense their emotions. It uses sensors to recognize people’s facial expressions and tones of voice. Through AI, it interprets these as emotions, such as anger, happiness, and sadness and reacts to them. So if you feel down, it will play your favorite song to amuse you. Thanks to these characteristics, some businesses have started using these robots in customer service roles. These robots can greet customers, engage them in conversation, and explain the products and services on behalf of the company.

당신의 감정을 읽는 로봇

당신이 로봇과 친구가 되기를 원한 적이 있다면, 여기 당신을 위한 감정을 가진 로봇이 있다.  감정적인 로봇은 사람들과 소통하고 그들의 감정을 감지하도록 설계되었다. 그것은 사람들의 표정과 목소리 톤을 인식하기 위해 센서를 이용한다. 인공 지능을 통해, 로봇은 이것들을 분노, 행복, 그리고 슬픔과 같은 감정으로 해석하고 그에 반응한다. 그래서 만약 당신의 기분이 울적하다면, 그것은 당신을 즐겁게 해주기 위해 당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악을 들려줄 것이다. 이 특징들 덕분에, 몇몇 사업장은 이 로봇들을 고객 서비스 역할에 이용하기 시작했다. 이 로봇들은 회사를 대표해 고객을 맞이하고, 그들을 대화에 참여시키며, 제품과 서비스를 설명할 수 있다.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Artist

AARON is AI software that paints pictures by itself. It has been producing paintings since 1973. At first, it could only make abstract images in black and white. However, over the last 40 years, it has acquired the ability to paint plenty of realistic images of things like rocks, plants, and people, and it can now paint in color, too. AARON cannot paint new images and styles of painting by itself, but once they are coded into the software, it can draw an almost infinite number of unique paintings. Several of AARON’s paintings have been widely praised and exhibited in art galleries around the world. Some people even say that they are more artistic than paintings done by humans.

최초의 인공 지능 예술가

아론은 스스로 그림을 그리는 인공 지능 소프트웨어이다. 그것은 1973년부터 그림을 그려오고 있다. 처음에, 그것은 흑백의 추상적인 이미지만 만들 수 있었다. 그러나 지난 40년 동안, 그것은 바위, 식물, 그리고 사람과 같은 많은 사실적인 이미지들을 그리는 능력을 얻었고, 지금은 채색도 할 수 있다. 아론은 스스로 새로운 이미지나 화풍을 그려 낼 수는 없지만, 그것들이 소프트웨어에 코드화되기만 하면 독특한 그림들을 거의 무한대로 그릴 수 있다. 아론의 그림 중 몇 개는 널리 찬사를 받아 전 세계의 미술관에 전시되어 왔다. 어떤 사람들은 심지어 그것들이 인간에 의해 그려진 그림들보다 더 예술적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Artificial intelligence carries out various tasks to improve human society in many ways. However, AI is also controversial. What some people worry about is that it may exceed human intelligence and we will no longer be able to control it. Meanwhile, other people claim that AI will never be able to overtake humans. That is because AI still lacks some important abilities, like developing goals of its own that are independent of its inventor’s commands.

Nobody can predict exactly how the future of AI will unfold, but it is clear that AI is quickly evolving and we will be using it more in the future. To avoid any potential problems, many experts suggest that legal and ethical standards for AI be devised. If we are prepared, humans and robots will have a better chance of coexisting peacefully and productively in the years to come.

인공 지능은 여러 방면으로 인간 사회를 진보시키기 위해 다양한 일들을 수행한다. 그러나, 인공 지능에는 논란의 여지도 있다. 일부 사람들이 우려하는 것은 그것이 인간의 지능을 넘어설지도 몰라서 우리가 더는 그것을 통제할 수 없게 되리라는 것이다. 한편, 다른 사람들은 인공 지능이 절대 인간을 앞지를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것은 인공 지능이 아직 발명가의 명령과 별개인 그것 자체의 목표를 발전시키는 것과 같은 몇몇 주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인공 지능의 미래가 정확히 어떻게 펼쳐질지 아무도 예측할 수 없지만, 인공 지능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미래에 우리가 그것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될 것임은 분명하다. 어떠한 잠재적인 문제라도 방지하기 위해서, 여러 전문가들은 인공 지능을 위한 법적이고 윤리적인 기준이 고안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우리가 준비되어 있다면, 앞으로 인간과 로봇이 평화롭고 생산적으로 공존할 가능성이 더 높아질 것이다.

 

 


 

Hailey: Good afternoon, everyone! This is Hailey, and today we are talking about jobs of the future. Many high school students are encouraged to figure out which career they would like to pursue in the future. It is a huge concern for many students. So, today, we’ve invited a special guest, who has some great advice for them. Let’s give a great big welcome to famous futurist Dr. James Kim.

헤일리: 안녕하세요, 여러분! 저는 헤일리이고, 오늘 저희는 미래의 직업에 관해 이야기하려 합니다. 많은 고등학생들은 미래에 어떤 직업을 추구하고 싶은지 알아내도록 장려됩니다. 많은 학생들에게 그것은 큰 걱정거리입니다. 그래서 오늘, 저희는 특별 손님을 모셨는데, 이분께서 그들에게 좋은 조언을 해 주실 것입니다. 유명한 미래 학자이신 제임스 김 박사님을 크게 환영해 주세요.

Dr.Kim: Thank you for inviting me, Hailey.

김 박사: 초대해 줘서 고마워요, 헤일리 양.

Hailey: It’s my pleasure. In many books and films depicting the future, robots have taken over human jobs. Do you think this will eventually happen?

헤일리: 제가 감사하죠. 미래를 묘사하는 많은 책과 영화에서는 로봇이 인간의 일자리를 차지해 왔습니다. 박사님께서는 이런 일이 결국에는 일어날 거라고 생각하시나요?

Dr.Kim: In the 18th century, the introduction of machines in factories caused many people to lose their jobs. Likewise, I believe that robots will have a similar effect, replacing lots of the jobs that people are doing now. In my view, occupations that involve repetitive and mechanical tasks in particular will be taken over by robots.

김 박사: 18세기에, 공장에 기계가 도입된 것은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도록 했습니다. 마찬가지로, 저는 로봇이 현재 사람들이 하고 있는 많은 일들을 대신하며, 비슷한 영향을 끼칠 거라고 생각합니다. 제 견해로는, 특히 반복적이고 기계적인 작업을 수반하는 직업은 로봇에 의해 장악될 것입니다.

 

 

Hailey: That sounds scary! Do you mean it is inevitable that we will be losing our jobs in the future?

헤일리: 무섭게 들리네요! 우리가 미래에 직업을 잃을 것이 불가피하다는 말씀이신가요?

Dr. Kim: You don’t have to worry too much. People have always been able to replace the jobs that are lost because of new technology. It is important to focus on what humans are good at, such as creativity and imagination. When it comes to inventing new technologies or creating inspiring art, humans have a striking advantage over robots.

김 박사: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사람들은 언제나 새로운 기술로 인해 사라진 직업을 대체할 수 있었습니다. 창의력과 상상력과 같이 인간이 잘하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나 영감을 주는 예술을 창작하는 것에 관해서는, 인간이 로봇에 비해 두드러진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Hailey: I see. Then, what will be some of the most promising jobs in the future?

헤일리: 그렇군요. 그러면, 미래에 가장 유망한 직업은 무엇이 될까요?

Dr. Kim: In my opinion, the majority of jobs that people will have in the future probably haven’t even been invented yet. About ten years ago, smartphone application developers didn’t exist. But now I think they’re one of the hottest jobs around. And just as the invention of the smartphone has created many new jobs, further developments in technology will continue to cause big changes in the job market. This means that your future career might not exist yet either.

김 박사: 제 의견으로는, 미래에 사람들이 가지게 될 직업의 대부분은 아마 아직 생겨나지도 않았을 것입니다. 10여 년 전에,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는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지금 저는 그들이 가장 인기 있는 직업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스마트폰의 발명이 많은 새로운 직업을 만들어 냈듯이, 추가적인 기술 개발이 직업 시장에 큰 변화를 계속 가져올 것입니다. 이는 당신의 미래 직업 또한 아직 존재하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Hailey: But if that’s the case, then how can we prepare for our future?

헤일리: 그런데 만약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우리의 미래에 대비할 수 있을까요?

Dr. Kim: No one knows exactly what skills you’ll need in the future. What matters is knowing how to learn. Because the world is changing rapidly, what you learn today can quickly become outdated. However, the skills of learning will last your whole life. In addition, stay up to date on new technology. I suggest you pay attention to both the general technological trends and their effects on the industry that you are interested in.

김 박사: 미래에 당신이 정확히 어떤 기술을 필요로 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중요한 것은 배우는 법을 아는 것입니다. 세상이 빠르게 변하고 있기 때문에, 당신이 오늘 배우는 것이 곧 시대에 뒤떨어지게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배움의 기술은 당신의 삶 전체에 걸쳐 지속될 것입니다. 또한, 새로운 기술을 최신 상태로 파악하세요. 저는 전반적인 기술 경향과 그것이 당신이 관심 있는 산업에 미치는 영향 둘 다에 주의를 기울일 것을 제안합니다.

Hailey: That sounds like good advice. Is there anything you want to add?

헤일리: 좋은 조언인 것 같습니다. 추가하고 싶은 말씀 있으신가요?

Dr. Kim: There is a famous quote that I always mention when I talk about future jobs: “There is no future in any job. The future lies in the person who holds the job.” Although it is hard to forecast what our future will look like, by knowing how to learn and keeping up to date on new technology, we can always be prepared for whatever the future may hold.

김 박사: 제가 미래의 직업에 관해 이야기할 때 항상 언급하는 유명한 인용구가 있는데, “어떤 직업에도 미래는 없습니다. 미래는 그 직업을 갖는 사람에게 있습니다.”라는 것입니다. 우리의 미래가 어떨 것 같은지 예측하는 것이 어렵긴 하지만, 배우는 법을 알고 새로운 기술을 최신 상태로 파악함으로써 우리는 미래가 어떤 식으로 나아가든 언제나 대비할 수 있습니다.

Hailey: Thank you for sharing this with us, Dr. Kim.

헤일리: 저희에게 이를 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김 박사님.

 

반응형
반응형

4과 본문.pdf
0.29MB
4과 어휘.pdf
0.30MB
4과 어휘테스트.pdf
0.21MB

 

 

4과 Deliver Your Voice
Part1. Florence Nightingale: Saving Lives with Statistics

 

1/4 내용정리

*Nightingale…전시에 부상군인을 치료하는 간호사 이미지

+통계(도표)를 이용해 치료 환경 개선

*러시아vs유럽연합국 …전쟁, 1853년 10월 ~ 1856년 3월

→수많은 사망&부상

*1854년 영국군 간호직 임무 수행 in Scutary, Turkey

 

2/4 내용정리

*치료의 어려움

∵필수 보급품이 부족or아예 없음

+부적절한 위생 시설(feat. 쥐&벼룩)

+체계도 없고, 기록 관리도 안 되고, 질병 코드도 다르고,

환자 인원 관리도 안 되고.....

∴환자 요구를 직접 경청, 기록 관리 개선,

사망 원인 기록 시스템 도입(최초)

 

3/4 내용정리

*폴라 그래프

-12개의 영역 ;1

-영역의 크기;사망자 규모

-영역의 색깔;사망 원인

-파란색;전염병

-분홍색;부상으로 인한 사망

-검은색;기타 사망

파란색

위생으로 인한 사망

 

 

4/4 내용정리

-공기 흐름&하수 처리 개선

위생 악화로 발생하는 전염병 사망자 수;18561~3

*나이팅게일의 폴라그래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전염병의 영향력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을 위해 명확한 방식

 

Part2. Gestures across the Globe
1/3 내용정리

*언어적 장벽O-비언어적 전달 방법인 제스쳐 사용

문화마다 제스쳐의 의미가 다를 수 있으니 알아보자.

 

2/3 내용정리

*nodding(끄덕임)

터키, 그리스, 불가리아아니오

일본이야기를 계속 해보시오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과장된 제스쳐

-제스쳐의 빈도수(빈도 또한 문화마다 다르다)

 

3/3 내용정리

*절제된 제스쳐;영국, 독일, 몇몇 북유럽 국가

유럽 남부에 비해 딱딱하고 차가워 보임

*동아시아 일부;신체 움직임 최소(정중함의 표시)

상대적으로 무례하거나 or 따분하다고 느낄지도....

*문화적 고려 없는 제스쳐의 자의적 해석오해가 될수도..

문화적 차이 이해혼란

 


When you think of Florence Nightingale, you probably picture a lady with a lamp taking care of injured and ill soldiers. Her compassion for these people was clearly seen through her acts. On the other hand, her passion for statistics as a way to save people’s lives is not well known to many people.

In October 1853, the conflict between Russia and an alliance of European countries turned into a war in the Turkish region known as Crimea. The war lasted from October 1853 to March 1856 and resulted in large numbers of deaths and injuries. Hoping to contribute her skills to help the British troops fighting in the Crimean War, Nightingale accepted a nursing position at an army base in Scutari, Turkey in 1854.

당신은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을 생각할 때, 아마 부상당하고 병든 군인들을 돌보는 램프를 든 여성을 상상할 것이다. 이 사람들에 대한 그녀의 연민은 그녀의 행동을 통해 분명히 보인다. 반면에, 사람들의 생명을 구하려는 방법으로서의 통계에 대한 그녀의 열정은 많은 사람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다.

185310, 러시아와 유럽 연합국 사이의 갈등은 크림 반도로 알려진 터키 지역에서 전쟁으로 변모되었다. 전쟁은 185310월부터 18563월까지 지속되었고 수많은 사망과 부상을 초래했다. 크림 전쟁에서 싸우는 영국군을 돕기 위해 그녀의 기술을 제공하길 바랐기 때문에, 나이팅게일은 1854년 터키의 스쿠타리에 있는 군 기지에서 간호직을 맡았다.

 

Upon her arrival at the base in Scutari, Nightingale realized how difficult it would be to provide proper medical care at the base. Essential supplies such as food, basic furniture, and blankets were not sufficient, and sometimes nonexistent. Patients had to deal with inadequate sanitation, which was worsened by exposure to rats and fleas.

Furthermore, the medical records were extremely disorganized. That was because none of the hospitals were using the same reporting system as any of the others. Each hospital had a different system of naming and classifying diseases, and even the number of deaths was not accurate. Thus, Nightingale dedicated herself not only to serving the needs of the injured and ill soldiers directly but also to improving the record-keeping of the hospitals. She introduced the practice of recording the cause of each death in a uniform manner, which had not been done previously.

스쿠타리에 있는 군 기지에 도착하자마자, 나이팅게일은 기지에 적절한 의학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울지 깨달았다. 음식, 기본 가구, 그리고 담요와 같은 필수 보급품이 충분하지 않았으며, 어떨 때는 아예 없었다. 환자들은 부적절한 위생 시설에 대처해야 했는데, 이는 쥐와 벼룩에의 노출로 악화되었다.

게다가, 의료 기록은 극도로 체계적이지 못했다. 그것은 어떤 병원도 다른 어느 곳과 동일한 기록 체계를 사용하고 있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병원마다 질병에 이름을 붙이고 분류하는 체계가 달랐고, 심지어 사망자 수도 정확하지 않았다. 따라서, 나이팅게일은 부상 당하고 병든 군인들의 요구를 직접 들어주는 것뿐만 아니라 병원의 기록 관리를 개선하는 데에도 전념했다. 그녀는 각 사망의 원인을 동일한 방식으로 기록하는 관행을 도입했는데, 이는 이전에 시행된 적이 없었다.

 

After witnessing many tragic deaths during the war, Nightingale knew that the only way to prevent unnecessary deaths was to improve sanitary conditions in army hospitals. Therefore, she decided to persuade army officials and politicians that widespread sanitation reform was necessary. With the help of William Farr, a leading statistician at the time, Nightingale made a number of reports based on the information she had gathered during the war. She knew that her message might easily get lost in a long list of tables. So, in an attempt to communicate the information in a more effective way, she developed a unique graph: the polar area graph.

The polar area graph presented a great deal of information about the causes of death of British soldiers in Crimea at a glance. Each of the twelve sectors displayed on the graph represented a different month. The size of the sector showed how many deaths occurred that month, with the largest sectors indicating the months with the highest death rates. Within each sector, three colors were used to show the cause of death. The blue section represented deaths attributed to infectious diseases like cholera. The pink section showed deaths caused by wounds, most of which were received in combat. Black stood for deaths caused by anything other than diseases or wounds.

전쟁 중 많은 비극적인 죽음을 목격한 뒤, 나이팅게일은 불필요한 죽음을 방지하는 유일한 방법은 군 병원 내 위생 상태를 향상하는 것임을 알았다. 그래서, 그녀는 군 관료들과 정치인들에게 광범위한 위생 개혁이 필요하다고 설득하기로 결심했다. 당시 선도적인 통계학자였던 윌리엄 파르의 도움으로, 나이팅게일은 전쟁 중에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많은 보고서를 작성했다. 그녀는 긴 목록의 표에서 그녀의 메시지를 쉽게 놓칠 수 있음을 알았다. 그래서, 더 효과적인 방법으로 정보를 전달하려는 시도로, 그녀는 독특한 그래프인 폴라 그래프를 개발했다.

폴라 그래프는 크림 반도에서의 영국 군인들의 사망 원인에 관한 다량의 정보를 한눈에 보여 주었다. 그래프에 보이는 열두 개의 영역 각각은 다른 달을 나타냈다. 영역의 크기는 그달에 얼마나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는지를 보여 주었는데, 가장 큰 영역은 사망률이 가장 높은 달을 나타냈다. 각 영역 내에는, 사망 원인을 보여주기 위해 세 개의 색이 사용되었다. 파란색 부분은 콜레라 같은 전염병으로 인한 죽음을 나타냈다. 분홍색 부분은 부상으로 인한 사망을 보여 주었는데, 그중 대부분은 전투에서 당한 것이었다. 검은색은 질병이나 부상 외에 다른 것으로 인한 사망을 나타냈다.

 

Nightingale analyzed this data and tried to figure out ways to lower the number of deaths. For example, she made efforts to improve air flow in hospitals and develop safer ways to process sewage during the war. Her efforts resulted in a sharp drop in deaths caused by contagious diseases. This can be seen on the graph in the months where the blue section nearly disappears.

Through her graphs, Nightingale effectively demonstrated the substantial impact that contagious diseases had on the soldiers in the army hospital. In fact, infectious disease would have wiped out the entire army if the trend had continued. By showing her message in such a clear way, however, she was able to convince people that a large number of deaths could be prevented. As a consequence, sanitation procedures used by hospitals underwent extensive reforms, and the number of preventable deaths decreased sharply. Thanks to her effective tools of communication, she made a crucial and lasting impact in the fields of both medicine and statistics.

나이팅게일은 이 자료를 분석하여 사망자 수를 줄이는 방법을 알아내려고 노력했다. 예를 들어, 그녀는 병원 내 공기 흐름을 개선하고 전쟁 중 하수를 처리하는 더 안전한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녀의 노력은 전염병으로 인한 죽음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것은 파란색 부분이 거의 사라진 달의 그래프에서 볼 수 있다.

그녀의 그래프를 통해, 나이팅게일은 군 병원 내에서 전염병이 군인들에게 미치는 상당한 영향을 효과적으로 보여 주었다. 사실상, 그 추세가 계속되었다면 전염병이 군 전체를 전멸시켰을 것이다. 그러나 그녀의 메시지를 그런 명확한 방식으로 보여 줌으로써, 그녀는 많은 죽음이 예방될 수 있다는 것을 사람들에게 납득시킬 수 있었다. 그 결과, 병원에 의해 사용되었던 위생 절차는 대대적인 개혁에 들어갔고, 예방 가능한 사망자 수가 급격하게 감소했다. 그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수단 덕분에, 그녀는 의학과 통계학 두 분야 모두에 중대하고 지속적인 영향을 끼쳤다.

 


Imagine that you are abroad and you are looking for a restroom. The problem is you don’t speak the language. What would you do in this situation? You would probably try to use your hands, arms, face, head, or any other parts of your body to deliver your message. When you encounter a language barrier, gestures are an obvious alternative to illustrate your points. These movements may seem like the simplest way to communicate, but a gesture in one culture might not have the same meaning as that gesture in another culture. In other words, your gestures may seem like nonsense to others, so they might think you are weird. On some occasions, they might feel offended by your gestures even if you didn’t mean to cause offense.

당신이 해외에 있고 화장실을 찾고 있다고 상상해 보라. 문제는 당신이 그 나라의 언어를 말할 줄 모른다는 것이다. 이 상황에서 당신은 어떻게 하겠는가? 아마 당신은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손, , 얼굴, 머리, 또는 신체의 다른 부분들을 사용하려 할 것이다. 당신이 언어 장벽에 부딪혔을 때, 제스처는 당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설명하기 위한 명백한 대안이다. 이 동작들은 의사소통하기 위한 가장 간단한 방법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한 문화에서의 제스처가 다른 문화의 그 제스처와 같은 의미를 갖지 않을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당신의 제스처가 다른 사람들에게는 말이 안 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어서, 그들이 당신을 이상하게 생각할지도 모른다. 어떤 경우에는, 당신이 기분을 상하게 하려고 한 것이 아닐지라도 그들은 당신의 제스처로 인해 불쾌해할 수 있다.

 

For instance, nodding your head means “yes” in most cultures, but you should be cautious because this is not universal. In Turkey, Greece, and Bulgaria, a head nod actually means “no.” In Japan, it carries another meaning. A nod given by a Japanese person signifies that he or she is listening and wants you to continue speaking. Even if the Japanese person does not agree with your opinion, he or she will still nod to keep the conversation going. This can be a source of misunderstanding when the speaker thinks a nod means “I agree with you,” but it actually means “I want to hear more.”

The movements themselves are not the only thing that can vary across cultures. The frequency with which a person uses gestures is also influenced by his or her culture. Exaggerated gestures for emphasis and explanations are common in certain cultures. For example, people in France, Spain, and Italy have a tendency to use a lot of gestures when speaking. In fact, hand gestures are so important for Italians that they might even pull off the road while driving to continue a conversation. It is nearly impossible for them to talk without using their hands.

예를 들어, 대부분의 문화권에서 고개를 끄덕이는 것은 맞습니다라는 의미이지만, 이것이 전 세계 공통은 아니므로 당신은 주의해야 한다. 터키, 그리스, 그리고 불가리아에서 고개 끄덕임은 사실 아니오를 의미한다. 일본에서, 이것은 또 다른 의미를 지닌다. 일본인이 고개를 끄덕이는 것은 그 사람이 이야기를 듣고 있고 당신이 계속 이야기하기를 원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일본인은 당신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더라도, 대화를 이어나가기 위해 끄덕일 것이다. 화자가 끄덕임이 당신의 의견에 동의합니다.”를 의미한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저는 더 듣고 싶습니다.”라는 의미일 때 이는 오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동작 그 자체가 문화별로 다를 수 있는 유일한 것은 아니다. 사람이 제스처를 사용하는 빈도 또한 그 사람의 문화에 영향을 받는다. 어떤 문화에서는 강조와 설명을 위한 과장된 제스처가 흔하다. 예를 들어, 프랑스, 스페인, 그리고 이탈리아 사람들은 말할 때 제스처를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실제로, 이탈리아인들에게 손 제스처는 매우 중요해서 그들은 심지어 대화를 이어가기 위해 운전 중에 도로를 벗어날지도 모른다. 그들에게는 손을 사용하지 않고 말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On the contrary, there are many cultures where the use of gestures is highly restricted. Speakers in England, Germany, and some other northern European countries seem stiff and frozen compared to their southern neighbors. In some parts of East Asia, body movement is kept to a minimum as a sign of politeness. In fact, excessive gestures can be considered aggressive in these cultures. Owing to these differences, these people may consider those who use a lot of gestures to be rude and lack self-control. On the other hand, those who use many gestures may find those who don’t dull and restrained.

Effective communication is not just about verbal communication but also about the gestures we use. Making mere assumptions about a person’s intentions based on gestures can cause misunderstandings if we do not take into account the person’s cultural background. Hence, understanding cultural differences in gesture use can help us improve communication and avoid confusion or offense.

이와 반대로, 제스처의 사용이 매우 제한되는 문화권도 많다. 영국, 독일, 그리고 몇몇 북유럽 국가의 화자들은 그들의 남부 이웃들에 비해서 딱딱하고 차가워 보인다. 동아시아 일부 지역에서는 정중함의 표시로 신체 움직임이 최소한으로 유지된다. 실제로, 이들 문화권에서 과도한 제스처는 공격적으로 여겨질 수 있다. 이러한 차이 때문에, 이 사람들은 제스처를 많이 사용하는 사람들을 무례하고 자제심이 없다고 간주할지 모른다. 반면, 제스처를 많이 사용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을 따분하고 억눌려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효과적 의사소통은 단지 언어적 의사소통에 관한 것일 뿐만 아니라 우리가 사용하는 제스처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단지 제스처를 바탕으로 사람의 의도를 추측하는 것은 우리가 그 사람의 문화적 배경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제스처 사용에서의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우리가 의사소통을 향상하고 혼란이나 불쾌감을 피하도록 도울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3과 본문.pdf
0.35MB
3과 어휘.pdf
0.32MB
3과 어휘테스트.pdf
0.24MB

 

3과 Creativity in Everyday Life
Part 1. Saving Abandoned Buildings with Creativity

 

1/4 내용정리

*재생 건축(adaptive reuse)

;오래된 건물(특히, 랜드마크)을 철거하지 않고 본래 목적 이외에 다른 목적의 건축물로 변경(변형)하는 것

 

2/4 내용정리

*영국 현대 미술관 Modern Art Museum in England

;화력발전소(1981년폐쇄)→미술관

-랜드마크를 지키고자 하는 시민들의 운동

-발전소 내외부 건물과 유사하게 미술관으로 전용

-터빈 홀;웅장한 입구

-보일러 하우스(총7층)

1~2층:로비&공용/3~5층:전시공간/6~7층:식사공간

 

 

 

3/4 내용정리

*Het Arresthuis 감옥→Het Arresthuis 호텔

;감옥1863~2007년

**감옥의 흔적을 느낄 수 있는 요소

-105개의 감방→40개의 호화 숙실

(현대+과거의 흔적;창살, 벽돌, 감방문)

-스위트룸의 명칭(판사, 감독관...)

-저녁식사 + 호텔 역사에 관한 슬라이드

-+죄수 모자

 

 

4/4 내용정리

*비행기 제조 격납고→테마파크(워터파크)

-격납고 소유 회사2002년 파산

-말레이시아의 한 회사가 인수→2004년 테마파크 개장

**특징

-거대 반구형;자유의 여신상도 들어갈만한..

-5만 그루의 나무, 4개의 수영장, 9층 높이의 워터슬라이드

-특수 은박 인공 햇빛…겨울에도 선탠

○버려진 건물을 새로운 관점으로 보면 놀라운 건축물로 재탄생 시킬 수 있다

 

Part 2. GPS: Born from a Change in Perspective

 

1/3 내용정리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 알려는 사람들의 노력

-지도 or 표지물 or 별 관측...

; 현재에는 매우 쉬운 일

GPS 덕분

GPS는 어떻게 발명되었나?

 

2/3 내용정리

*소련의 세계 최초 인공위성(스푸트니크 1) 발사 -1957

*두 명의 연구자가 감명!!(존스 홉킨스 응용 물리학 연구소)

;W. Guire, G.Weiffenbach

-이듬해, 청취 기지 설치; 무선 신호 관찰

무선 주파수의 고저 변화 관찰

청취자와 위성과의 거리에 따라 주파수 변화

위성의 위치 파악 가능

 

3/3 내용정리

*청취 기지 설치 및 위성 무선신호 청취는 두 연구자의 주요 업무가 아니었던 것!!!McClure(상관)의 깊은 빡침

-자초지종과 내용을 듣게 된 McClure

McClure의 기발한 idea!!

-무선 신호를 통해 위성의 위치를 알 수 있다면, 우리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해 위성을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GPS의 탄생!

놀라운 통찰력이 필요/현안을 다르게 바라볼 필요

 


When buildings have become too old for their original purpose, they are often simply knocked down. People might oppose tearing down the old buildings, especially if they are precious landmarks, but it is hard to justify letting unused structures take up valuable space. In such cases, adaptive reuse the reusing of an old building or structure for something other than its original purpose is a smart solution. Here are some outstanding examples of adaptive reuse from around the world.

건물들이 원래의 용도로는 너무 낡았을 때, 그것들은 흔히 그냥 철거된다. 사람들은 오래된 건물들을, 특히 그것들이 귀중한 랜드마크라면 허무는 것에 반대할지 모르지만, 사용되지 않는 건축물들이 소중한 공간을 차지하도록 내버려 두는 것을 정당화하기는 어렵다. 그러한 경우, 재생 건축, 즉 오래된 건물이나 구조물을 본래 용도와 다른 용도로 재사용하는 것은 현명한 해결책이다. 여기 전 세계 재생 건축의 몇몇 탁월한 사례들이 있다.

 

Modern Art Museum in England

When the Bankside Power Station in London was shut down in 1981, the building was at risk of being torn down by developers. However, many people started a movement to save the landmark building on the southern bank of the River Thames. Eventually, it was decided that this building would be used as a new modern art museum to be called Tate Modern, and much of the character of the original power station building would be maintained.

Tate Modern still resembles the old power station, on both the outside and the inside, which features concrete floors and steel beams. The Turbine Hall, stretching 155 meters long, 23 meters wide, and 35 meters high, was turned into a vast, grand entrance area. It also functions as a display space for large art installations. Next to the Turbine Hall is the Boiler House, which holds seven floors. The reception and common areas are on the first two floors. The third through the fifth floors have exhibition galleries. The sixth and seventh floors feature restaurants and bars.

The Bankside Power Station could have become just a pile of bricks, but instead it has been transformed into one of the world’s largest museums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영국의 현대 미술관

런던의 뱅크사이드 발전소가 1981년에 문을 닫았을 때, 그 건물은 개발자들에 의해 허물어질 위기에 처했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템스 강의 남쪽 둑에 있는 랜드마크 건물을 지키기 위한 운동을 시작했다. 결국, 이 건물은 테이트 모던이라 불릴 새로운 현대 미술관으로 사용되기로 결정되었고, 본래 발전소 건물의 특징 대부분은 유지될 것이었다.

테이트 모던은 외부와 내부 모두 여전히 옛 발전소와 비슷한데, 콘크리트 바닥과 철제 기둥들이 그 특징을 이룬다. 길이 155m, 너비 23m, 높이 35m로 뻗어 있는 터빈 홀은 크고 웅장한 출입 구역으로 바뀌었다. 그곳은 커다란 설치 미술을 위한 전시 공간으로도 기능한다. 터빈 홀 옆에는 보일러 하우스가 있는데, 7층으로 되어 있다. 로비와 공용 공간은 처음 두 층에 있다. 3층에서 5층에는 전시회장이 있다. 6층과 7층은 음식점과 술집을 특징으로 한다.

뱅크사이드 발전소는 그저 벽돌 더미가 됐을 수도 있었지만, 대신에 그것은 세계에서 가장 큰 근현대 미술관 중 하나로 변모되었다.

 

Luxury Hotel in the Netherlands

Another spectacular example of adaptive reuse can be seen in this beautiful hotel in the Netherlands, which blends its own unique history with modern functionality. The building was one of the Netherlands’ most infamous prisons from 1863 until 2007. However, it has undergone a complete transformation into luxurious accommodations.

The building originally had 105 prison cells, but these have been converted into 40 luxurious rooms. The rooms have been updated with modern furnishings, but details like exposed brick, barred windows, and original cell doors offer clues about its past. If you need extra space, suite rooms with names like The Judge, The Lawyer, The Jailer, and The Director are available. Guests can even enjoy a special dinner while slides of the jail’s history are shown. They are given black and white striped jail hats to get into the mood.

This hotel used to be a place from which people desperately wanted to escape, but with some creative thinking, it has been turned into a place guests never want to leave.

네덜란드의 호화로운 호텔

재생 건축의 또 다른 극적인 사례는 네덜란드에 있는 이 아름다운 호텔에서 볼 수 있는데, 이곳만의 고유한 역사와 현대적인 기능성을 조화시키고 있다. 그 건물은 1863년부터 2007년까지 네덜란드의 가장 악명 높은 감옥 중 하나였다. 그러나, 그것은 호화로운 숙박 시설로의 완전한 변화를 겪었다.

이 건물에는 원래 105개의 감방이 있었지만, 이것들은 40개의 호화로운 객실로 개조되었다. 객실들은 현대적인 가구들로 새롭게 꾸며졌으나, 드러나 있는 벽돌, 창살이 있는 창문, 그리고 원래의 감방문 같은 세부 요소들이 그것(그 건물)의 과거에 관한 단서를 제공한다. 만일 당신에게 여분의 공간이 필요하다면, 판사, 변호사, 교도관, 그리고 감독관과 같은 명칭의 스위트 룸을 이용할 수 있다. 투숙객들은 심지어 교도소의 역사에 관한 슬라이드가 상영되는 동안 특별한 저녁 식사도 즐길 수 있다. 그들이 분위기에 빠져들도록 흑백 줄무늬의 교도소 모자가 주어진다.

한때 이 호텔은 사람들이 필사적으로 탈출하고자 했던 장소였지만, 약간의 창의적인 생각으로 그곳은 투숙객들이 절대로 떠나고 싶어 하지 않는 장소가 되었다.

 

Tropical Theme Park in Germany

People living in Berlin who are eager to escape from the bitter cold of winter are now in luck. Near the city, a huge hangar for manufacturing airships has become a theme park where the sun always shines and the temperature remains a mild 26 degrees Celsius. The hangar fell into disuse because the company that owned it went bankrupt in 2002. However, a company in Malaysia looked at this massive deserted dome and saw great potential. In 2004, the hangar opened as a tropical theme park.

Measuring about 66,000 square meters, the dome is tall enough to fit the Statue of Liberty inside. It contains the world’s largest artificial rainforest, with more than 50,000 plants. The indoor pool is the size of four Olympic swimming pools, and the waterslide is nine stories tall. In the southern section of the dome, a special foil roof produces artificial sunlight, so visitors can get a tan even in the middle of winter!

By looking at the enormous dome with new eyes, a company was able to turn this huge space into an amazing vacation spot.

Adaptive reuse helps us preserve our heritage while allowing for new creative developments at the same time. Each of these remarkable destinations shows that by changing our point of view, we can breathe new life into old, abandoned buildings.

독일의 열대 테마파크

겨울의 혹독한 추위에서 벗어나기를 갈망하는 베를린 사람들은 이제 운이 좋다. 그 도시 근처, 비행선 제조를 위한 거대한 격납고는 늘 햇살이 빛나고 기온이 온화한 섭씨 26도로 유지되는 테마파크가 되었다. 그 격납고는 그것을 소유한 회사가 2002년에 파산해서 쓰이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말레이시아의 한 회사가 이 거대한 반구형의 버려진 건물을 보고 엄청난 잠재력을 보았다. 2004년에, 그 격납고는 열대 테마파크로 개장했다.

66,000m2 규모로, 그 반구형 건물은 안에 자유의 여신상이 들어갈 만큼 충분히 높다. 그곳에는 50,000그루가 넘는 식물을 보유한 세계에서 가장 큰 인공 열대 우림이 있다. 실내 수영장은 올림픽 수영장 4개의 크기이며, 워터슬라이드는 9층 높이이다. 반구형 건물의 남쪽 부분에서는 특수 은박 지붕이 인공 햇빛을 만들어 내서, 방문객들은 심지어 한겨울에도 선탠을 할 수 있다!

커다란 반구형 건물을 새로운 눈으로 바라봄으로써, 한 회사는 이 거대한 공간을 놀라운 휴양지로 변화시킬 수 있었다.

재생 건축은 새롭고 창의적인 발전을 하도록 하는 동시에 우리의 유산을 보존하도록 돕는다. 이 각각의 놀라운 장소들은 우리의 관점을 바꿈으로써, 우리가 오래되고 버려진 건물에 새 생명을 불어넣을 수 있음을 보여 준다.

 


For thousands of years, humans had difficulty trying to figure out where they were. So, they devoted a great deal of time and effort to resolving this problem. They drew complicated maps, constructed great landmarks to keep themselves on the right path, and even learned to navigate by looking up at the stars. Nowadays, it is much easier to find out where you are and which way to go because you have one of the world’s greatest inventions at your fingertips. As long as you have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receiver, you never have to worry about taking a wrong turn. Your GPS receiver can tell you your exact location and give you directions to wherever you need to go, no matter where you are on the planet! But how was this amazing technology invented?

수천 년 동안, 인간은 그들이 어디에 있는지 알아내려고 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그래서, 그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았다. 그들은 복잡한 지도를 그렸고, 그들 자신이 맞는 길로 가기 위해 거대한 표지물을 세웠으며, 심지어 별을 올려다봄으로써 길을 찾는 것을 배웠다. 오늘날, 당신은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발명품 중 하나를 바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당신이 어디에 있는지와 어떤 길로 가야 하는지 알아내는 것이 훨씬 더 쉽다. 당신이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 수신기를 가지고 있는 한, 당신은 잘못된 길로 들어설 것을 걱정할 필요가 전혀 없다. 당신이 지구상 어디에 있더라도, 당신의 GPS 수신기는 당신의 정확한 위치를 알려주고 당신이 가야 할 곳이 어디든 당신에게 방향을 알려줄 것이다! 그런데 이 놀라운 기술은 어떻게 발명되었을까?

 

The story begins in 1957, when the Soviet Union shocked the world by announcing that it had launched Sputnik 1the world’s first man-made satelliteinto orbit. In particular, two researchers at Johns Hopkins University’s Applied Physics Laboratory, William Guier and George Weiffenbach, were amazed by this achievement. Filled with curiosity, they built a listening station the following year, and they began to closely monitor Sputnik 1’s radio signal. While listening to the persistent sound from the satellite, they noticed something interesting: its radio frequency repeatedly became higher and lower. This was happening because the frequency of a radio signal rises and falls depending on whether the satellite is moving toward or away from the listener. By keeping track of these changes, Guier and Weiffenbach were able to determine the satellite’s precise location.

이야기는 1957년에 시작하는데, 그때는 소련이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를 궤도로 발사했다고 발표하여 세계를 깜짝 놀라게 했던 때였다. 특히, 존스 홉킨스 대학 응용 물리학 연구소의 두 명의 연구원인 윌리엄 귀에르와 조지 와이펜바흐는 이 성취에 매우 놀랐다. 호기심으로 가득 차서, 그들은 이듬해에 청취 기지를 지었고, 스푸트니크 1호의 무선 신호를 면밀히 관찰하기 시작했다. 위성으로부터 나오는 지속적인 소리를 듣던 중 그들은 흥미로운 점에 주목했는데, 그것의 무선 주파수가 반복적으로 높아졌다가 낮아지는 것이었다. 이것은 위성이 청취자 쪽으로 이동하는지 그로부터 멀어지는지에 따라 무선 신호의 주파수가 상승하고 하강하기 때문에 발생하고 있었다. 이러한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귀에르와 와이펜바흐는 위성의 정확한 위치를 알아낼 수 있었다.

 

Although Guier and Weiffenbach found this fascinating, tracking satellites was not exactly part of their duties. Their director, Frank McClure, called them into his office, suspecting that they had been wasting their time. He asked them to explain the thing they had been working on. As Guier and Weiffenbach explained themselves, an idea flashed through McClure’s mind. “If we can figure out where the satellite is,” McClure said, “then can’t we do the opposite and use the satellite to figure out where we are?” This turned out to be a revolutionary insight. Not only could radio signals be measured to track a satellite from the ground, but by measuring the distance from the satellite to the receiver, the receiver’s precise location could be determined as well. This is the fundamental concept behind modern GPS. Satellites are utilized to transmit signals, and any device with a GPS receiver can use these signals to calculate where you are, how high you are, and even how fast you are moving.

McClure was able to come up with this brilliant insight by taking the idea Guier and Weiffenbach had been researchingfinding where a satellite was from a known locationand turning it on its head. Likewise, we can produce extraordinary inventions and ideas by reversing our perspective. The real act of discovery, it has been said, consists not in seeking new lands, but in seeing things with new eyes!

비록 귀에르와 와이펜바흐는 이것이 대단히 흥미롭다고 생각했지만, 위성을 추적하는 것은 정확하게는 그들 업무의 일부가 아니었다. 그들의 관리자인 프랭크 맥클루어는 그들이 시간을 낭비하고 있었다고 의심하며, 그들을 그의 사무실로 불렀다. 그는 그들에게 그들이 작업하고 있었던 것을 설명하라고 요구했다. 귀에르와 와이펜바흐가 해명하자, 한 아이디어가 맥클루어의 뇌리를 스쳤다. “만일 우리가 위성이 어디에 있는지 알아낼 수 있다면, 우리는 반대로 해서 우리가 어디에 있는지 알아내기 위해 위성을 사용할 수는 없을까요?”라고 맥클루어가 말했다. 이것은 획기적인 통찰력으로 드러났다. 무선 신호는 위성을 추적하기 위해 지표면에서부터 측정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위성에서 수신기까지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수신기의 정확한 위치 역시 측정될 수 있었다. 이것이 현대 GPS 이면에 있는 기본 개념이다. 위성은 신호를 전송하는 데 활용되고, GPS 수신기가 달린 어떤 장치든 당신이 어디에 있는지, 얼마나 높은 곳에 있는지, 심지어 얼마나 빨리 움직이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데 이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맥클루어는 귀에르와 와이펜바흐가 연구해 왔던 개념, 즉 확인된 장소에서 위성이 어디에 있는지 찾아내는 것을 받아들이고 이를 완전히 뒤집어 생각함으로써 이 놀라운 통찰을 제시할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우리의 관점을 뒤바꿈으로써 대단한 발명품이나 아이디어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전해지기를, 진정한 발견은 새로운 영역을 찾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눈으로 사물을 보는 데 있는 것이다!

 

반응형
반응형

2과 본문.pdf
0.37MB
2과 어휘.pdf
0.31MB
2과 어휘 테스트.pdf
0.21MB

 

 

2과 Explore the World

 

Part 1. Following the Wall : An Inspiring Walk around Seoul

1/4 내용정리

*한양 도성 관광 썰

- 서울 ; 600년 역사의 대도시

- 3일간 도성 투어 ; 풍경, 역사

- 1396 성벽 건설 ; 사대문 + 사소문

→ 외세 침입 대비

→ 18.6km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2/4 내용정리

*Start

흥인지문→한양 도성 박물관(역사)

→이화 마을(전후 피난민 거주지);+벽화, 조각품

→낙산(낙타산)→혜화문

 

 

3/4 내용정리

*the following day

말바위(북악산기슭)안내소; 가파름(느릿)

→북악산 정상;서울의 놀라운 전경 View

→인왕산 성벽 구간;독특한 암석 형성-선바위

→돈의문;1915년에 파괴- 나무&유리로 된 계단식 단

 

 

4/4 내용정리

*On the third day

숭례문→남대문 시장; 전통시장

→남산 비탈 성벽→ N서울타워;한국 전통 무용 공연

→성벽을 따라 내려와 흥인지문으로

*정리

서울은 현대적이나 한양도성은 과거를 상기시키는 역할

 

 

 

Part 2. The Incredible Adventures of James Holman
1/3 내용정리

*얼마나 먼 거리를 여행할 수 있을까?

-마르코 폴로;20,000km

-홀먼;400,000km /1800년대......게다가

시각 장애인!!!…자 이제 알아볼까?

 

홀먼;1786년, 영국 출생, 12세 때 해군 자원, 촉망받는 장교

-정체불명의 병으로 25세 때 시력을 잃음, 해군 경력 종지부

 

 

2/3 내용정리

*절망하지 않고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고자 함.

- 지팡이 사용범 익힘…혼자서 런던을 누빔…여행 ㄱㄱ

1821년 ; 나폴리로 여행,

- 베수비오산 등반(시각 장애인 최초)

…화산 활동이 심했으나, 정상을 향해 등반!

 

 

3/3 내용정리

*세계적 여행…앞을 볼 수 없는 것이 여행을 더욱 스릴있게~

평생 동안 5개의 대륙+ 200개의 개별 문화와 접촉

자서전 완성 후 일주일 뒤 1857년 런던에서 사망

… 교훈;한계에 제약받지 말고, 오히려 그것을 이용하여 역경을 이겨내어야 한다.

 

 

 

 



 

* 모의고사 변형문제는 네이버 카페에서 제공합니다.

https://cafe.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 네이버 카페

고등부 학생들, 고등부 선생님들께 필요한 모의고사 위주의 자료를 제공하는 영어카페입니다.

cafe.naver.com

* 교과 및 모의고사 해설 강의 시청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Pacas영어회복제

안녕하세요. 부산에서 학생들을 지도하는 알파카 티처, 알쌤입니다. 고등학생들에게 수능, 내신 영어를 가르친지 10년이 훌쩍 넘어갑니다만, 여전히 부족하고, 그 점을 늘 인지하고 있으며, 하여 끊임없이 공부 중입니다. 가르치면서 배우고, 배우면서 또 가르친다 라는 글귀를 마음에 품고...

www.youtube.com

 

 


I've just returned from an awesome trip to Seoul. It is a vast metropolis that has been Korea's capital for over 600 years. I spent three days walking along the Seoul City Wall, which surrounds the center of Seoul. It was a fantastic way to see this beautiful city from many different angles and to learn about its history along the way.

In 1396, a wall with four main gates and four smaller gates was constructed to keep the city safe from invaders. Although two of the gates are now gone, many sections of this wall still remain. The wall, which stretches approximately 18.6 kilometers, is the longest-standing traditional city wall in the world.

나는 서울로의 아주 멋진 여행에서 이제 막 돌아왔다. 그곳은 600년 넘게 한국의 수도인 거대한 대도시이다. 나는 한양도성을 따라 걸으며 3일을 보냈는데, 그것은 서울의 중심부를 둘러싸고 있다. 그것은 여러 다른 각도에서 이 아름다운 도시를 바라보고, 길을 따라가며 이곳의 역사에 관해 배우는 환상적인 방법이었다.

1396년에, 침입자들로부터 도시를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 사대문과 사소문을 갖춘 성벽이 세워졌다. 비록 지금은 그 문 중 두 개가 사라졌지만, 이 성벽의 많은 구간은 여전히 남아 있다. 18.6km가량 뻗어 있는 이 성벽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전통 성벽이다.

 

Day1

Full of excitement and anticipation, I began my journey at Heunginjimun Gate, the gate on the east side of the wall. Not far from there was the Seoul City Wall Museum. I stopped by this museum to learn all about the history of the wall before I started my walk.

Then I passed through Ihwa Maeul, a village that was home to refugees following the Korean War. Now, the village is decorated with colorful wall paintings and sculptures. I was pleasantly surprised by the creativity of the artists. They have turned the village into a delightful place where visitors can enjoy art everywhere they look.

After looking around in this charming little village, I crossed over Naksan Mountain, which is the lowest of Seoul's four inner mountains. Naksan Mountain is also known as “Naktasan Mountain,” or “Camel Mountain,” because of its resemblance to a camel's back.

At last, I finished my walk at Hyehwamun Gate, one of the wall's four smaller gates. Thanks to Naksan Mountain's gentle slope, the day's walk ended up being pleasurable and relatively easy.

첫째 날

흥분과 기대를 가득 안고, 나는 성벽의 동쪽에 있는 문인 흥인지문에서 여행을 시작했다. 그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 한양도성 박물관이 있었다. 나는 도보 여행을 시작하기 전에 성벽의 역사에 관한 모든 것을 배우기 위해 이 박물관에 들렀다.

그러고 나서 나는 한국 전쟁 이후에 피난민들의 거주지였던 마을인 이화마을을 지나갔다. 현재, 그 마을은 다채로운 벽화와 조각품으로 꾸며져 있다. 나는 예술가들의 창의력에 기분 좋게 놀랐다. 그들은 그 마을을 방문객들이 보는 곳마다 예술을 즐길 수 있는 즐거운 장소로 바꿔 놓았다.

이 매력적인 작은 마을을 둘러본 뒤 나는 낙산을 넘어갔는데, 그곳은 서울의 내사산 중 가장 낮다. 낙산은 낙타 등과의 유사성 때문에 낙타산으로도 알려져 있다.

마침내, 나는 성벽의 사소문 중 하나인 혜화문에서 도보 여행을 마쳤다. 낙산의 완만한 경사 덕분에, 그날의 도보 여행은 즐겁고 비교적 수월하게 끝났다.

 

Day2

The following day, my trip started from the Malbawi Information Center at the bottom of Bugaksan Mountain. This mountain is quite steep, so my progress was a lot slower than expected. However, it wasn't long before I found myself gazing at the spectacular view from the mountain's 342-meter summit. There, I spent some time looking upon the amazing panorama of Seoul, with its endless high-rise buildings stretching out below me.

With my heart pumping, I continued my trek on the section of the wall over Inwangsan Mountain, which is famous for its wide variety of unusual rock formations. I was especially impressed by the tremendous size and unique shape of Seonbawi Rock, or “rock of the meditating monk.”

The path then split from the original route of the wall, but I was able to rejoin it at the site of what was once Donuimun Gate, one of the main gates. Although it was destroyed in 1915, the site is now marked by a wood and glass terrace.

Finally, I came back to modern-day Seoul. My feet were sore, but I felt truly refreshed after walking along the roof of the city and taking in such marvelous views.

둘째 날

이튿날, 나의 여행은 북악산 기슭에 있는 말바위 안내소에서 시작되었다. 이 산이 매우 가팔라서, 나의 진행은 예상보다 훨씬 더 느렸다. 하지만, 나는 머지않아 342m 높이의 산 정상에서 장관을 이루는 풍경을 바라보고 있는 나 자신을 발견했다. 그곳에서, 나는 끝없는 고층건물들이 내 아래로 펼쳐져 있는 서울의 놀라운 전경을 바라보면서 얼마의 시간을 보냈다.

심장이 뛰는 채로, 나는 인왕산에 걸친 성벽 구간을 계속 걸었는데, 그곳은 매우 다양하고 독특한 암석 형성으로 유명하다. 나는 특히 선바위, 참선하는 승려 바위의 거대한 크기와 독특한 형상에 감명받았다.

길은 그다음에 성벽의 원래 경로에서 갈라졌지만, 나는 대문 중 하나인 돈의문이 한때 있던 터에서 그곳으로 다시 합류할 수 있었다. 비록 돈의문은 1915년에 파괴되었지만, 그 터는 현재 나무와 유리로 된 계단식 단으로 표시되어 있다.

마침내, 나는 현대의 서울로 돌아왔다. 발이 아팠지만, 이 도시의 꼭대기를 따라 걸으며 그토록 놀라운 경관을 보고나니 나는 정말로 상쾌한 기분이 들었다.

 

Day 3

On the third day, I started my trek from Sungnyemun Gate, which is also known as Namdaemun Gate, and walked to Namdaemun Market. It is the largest traditional market in Korea, with over 10,000 shops and stalls standing along its streets. I enjoyed the lively atmosphere with a crowd of people there.

Then I wandered along a reconstructed section of the city wall on the slopes of Namsan Mountain. There were many visitors at the mountain's summit, from which N Seoul Towerthe city's most recognizable landmarkrises upward toward the sky. I also enjoyed watching an exciting and energetic traditional Korean dance performance in front of the tower.

After the performance finished, I descended Namsan Mountain, following the wall. Eventually, I found myself back in the place where the trek had all begun, Heunginjimun Gate.

What an experience! Though I was exhausted by the end, the trek was absolutely worth it. I discovered many different aspects of Seoul on this journey. While today Seoul pulses with modernity, the Seoul City Wall serves as a reminder of its gone but not forgotten past. I feel a great sense of accomplishment now for having circled such remarkable historic sites.

셋째 날

셋째 날, 나는 남대문으로도 알려진 숭례문에서부터 도보 여행을 시작했고, 남대문시장으로 걸어갔다. 그곳은 한국에서 가장 큰 전통 시장인데, 10,000개가 넘는 가게와 가판대가 거리를 따라 서 있다. 나는 그곳에서 사람들 무리와 활기찬 분위기를 즐겼다.

그러고 나서 나는 남산 비탈길에 있는 성벽의 재건된 구간을 따라 거닐었다. 산 정상에는 많은 방문객이 있었는데, 그곳에는 이 도시에서 가장 눈에 띄는 랜드마크인 N서울타워가 하늘을 향해 위로 솟아있다. 나는 타워 앞에서의 신나고 활기찬 한국 전통 무용 공연 관람도 즐겼다.

공연이 끝난 후에, 나는 성벽을 따라서 남산에서 내려왔다. 마침내, 나는 도보 여행이 전부 시작되었던 장소인 흥인지문으로 돌아왔음을 알았다.

얼마나 멋진 경험이었던가! 나는 마지막에 지치긴 했지만, 그 도보여행은 정말로 그만한 가치가 있었다. 나는 이번 여행에서 서울의 다양한 면을 발견했다. 오늘날 서울은 현대적인 것들로 고동치지만, 한양도성은 사라지긴 했어도 잊히지 않은 과거를 상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나는 지금 이토록 놀라운 유적지들을 둘러본 것에 엄청난 성취감을 느낀다.

 


How far do you think you will be able to travel throughout your life? It is said that Marco Polo covered more than 20,000 kilometers on his great journeys. By most standards, that is an impressive distance. Yet it seems almost insignificant when it is compared to the distance that James Holman covered. This lesser-known explorer traveled more than 400,000 kilometers in the 1800s! Holman's travels are incredible enough on their own, but there is an additional fact that makes his story even more remarkable: he was completely blind.

Holman was born in England in 1786 and entered the British Royal Navy as a volunteer at the age of 12. After several years at sea, he became a rising young officer. His career ended abruptly, though, when he contracted an unknown illness that caused him to lose his vision. He was only 25 years old when he became permanently blind and was compelled to leave the navy.

여러분은 평생 얼마나 멀리 여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는가? 마르코 폴로는 그의 위대한 여정에서 20,000km 이상을 여행했다고 한다. 대부분의 기준에서, 그것은 인상적인 거리이다. 하지만 제임스 홀먼이 여행한 거리와 비교했을 때 그것은 거의 대수롭지 않아 보인다. 이 덜 알려진 탐험가는 1800년대에 400,000km 넘게 여행했다! 홀먼의 여행은 그 자체로 충분히 믿기 힘들지만, 그의 이야기를 훨씬 더 놀랍게 만드는 추가적인 사실이 있는데, 그가 완전히 앞을 보지 못했다는 것이다.

홀먼은 1786년에 영국에서 태어나 열두 살에 영국 해군에 자원병으로 입대했다. 해상에서 몇 년을 보낸 후, 그는 떠오르는 젊은 장교가 되었다. 하지만 그가 시력을 잃게 한 정체불명의 병에 걸렸을 때, 그의 경력은 갑자기 끝이 났다. 그가 영구적으로 실명하게 되어 해군을 어쩔 수 없이 떠나야 했을 때 그는 고작 스물다섯 살이었다.

 

Most people in this situation would sink into the depths of despair and grief. However, Holman did not let his misfortune keep him down and confronted his situation. He tried to keep a positive attitude and started learning how to use an iron-tipped stick to find his way around. With each tap, he could use his hearing to understand his surroundings better. Holman finally became confident in his mobility and was even able to navigate London's busy streets without assistance. With his confidence growing, he decided to go on a great adventure by traveling through France and Italy.

By the time Holman arrived in Naples in 1821, he had become an expert traveler. He even became the first blind man to ascend Mount Vesuvius. At the time of his ascent, the mountain was in the middle of intense volcanic activity. As Holman and his two companions approached the unstable edge of the volcano, the ground became almost too hot to walk on. His companions wanted to turn back, but Holman was unafraid. He courageously proceeded until he reached the summit.

이런 상황에 처한 대부분의 사람은 깊은 절망과 슬픔에 빠질 것이다. 하지만, 홀먼은 그의 불운이 그를 억누르게 두지 않았고 자신의 상황에 맞섰다. 그는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려 노력했고 스스로 주변 길을 찾아가도록 끝부분에 쇠가 달린 지팡이를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기 시작했다. 각각의 두드림으로 그는 주변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그의 청각을 사용할 수 있었다. 홀먼은 마침내 자신의 움직임에 자신감을 갖게 되었고 심지어 도움 없이도 런던의 붐비는 거리에서 길을 찾을 수 있었다. 자신감이 커진 채로, 그는 프랑스와 이탈리아를 여행하는 것으로 엄청난 모험을 떠나기로 결심했다.

1821년에 홀먼이 나폴리에 도착했을 때, 그는 노련한 여행가가 되어 있었다. 그는 심지어 베수비오산을 오른 최초의 시각 장애인이 되었다. 그가 등반했을 때, 그 산은 격렬한 화산 활동 중이었다. 홀먼과 그의 두 동행이 화산의 불안정한 언저리에 다가갔을 때, 땅은 걷기에 거의 너무 뜨거워졌다. 그의 동료들은 되돌아가기를 원했지만, 홀먼은 두렵지 않았다. 그는 정상에 이를 때까지 용감하게 나아갔다.

 

After making his way through Europe, Holman continued to travel the world. He journeyed to Russia, India, China, Australia, and different parts of Africa and South America. He would explore strange new cities by tapping his walking stick and paying close attention to all the sounds and smells around him. When people asked Holman how a sightless man could enjoy such journeys, he said that his blindness actually made traveling more thrilling. It drove his curiosity and forced him to examine everything more deeply than a normal traveler would. During his life, Holman visited five continents and came into contact with no fewer than 200 separate cultures.

Holman died in 1857 in London, a week after finishing his autobiography, Holman's Narratives of His Travels. Now, long after his death, his triumph over adversity is an inspiration to all of us. He didn't let his disability stop him from taking on challenges and enjoying his life. His love for traveling to places where he had never been before helped him overcome whatever difficulties his blindness put in his way. He reminds us not to be constrained by our limitations; rather, we should be empowered by them.

유럽을 지나 여행한 후, 홀먼은 계속해서 세계를 여행했다. 그는 러시아, 인도, 중국, 호주, 그리고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의 여러 지역으로 여행했다. 그는 그의 지팡이로 두드리고 그를 둘러싼 모든 소리와 냄새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낯선 새로운 도시를 탐험하곤 했다. 사람들이 홀먼에게 앞을 못 보는 사람이 어떻게 그런 여행을 즐길 수 있는지 물었을 때, 그는 자신이 앞을 볼 수 없다는 것이 사실 여행을 더 짜릿하게 만든다고 말했다. 그것은 그의 호기심을 발동시키고 그가 평범한 여행자보다 모든 것을 더 깊이 살피게 했다. 일생 동안, 홀먼은 다섯 개의 대륙을 방문했고 적어도 200개의 개별 문화와 접촉했다.

홀먼은 자신의 자서전인 홀먼의 여행에 관한 이야기를 완성하고 일주일 뒤인 1857년에 런던에서 사망했다. 그의 죽음이 한참 지난 후인 지금, 역경을 이겨낸 그의 업적은 우리 모두에게 감화를 준다. 그는 그의 장애가 도전하고 삶을 즐기는 것을 막도록 두지 않았다. 이전에 한 번도 가지 않았던 곳으로 여행하는 것에 대한 그의 사랑은 앞을 볼 수 없음이 그의 길에 놓은 어떤 어려움이든지 극복하도록 도와주었다. 그는 우리가 한계에 의해 제약받지 말고, 오히려 그것들에 의해 힘을 얻어야 한다는 것을 우리에게 상기시킨다.

 

 

반응형
반응형

1과 본문.pdf
0.36MB
1과 어휘.pdf
0.31MB
1과 어휘 테스트.pdf
0.21MB

 

 

 

 

2과 Becoming a Better Me

 

Part 1. Dream Big, Start Small

 

1/5 내용정리

 

도입; 큰 꿈…강한 의지만으로는 실패할 수도...

그러면 어떻게 하면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꿈을

향해 달려갈 수 있을까?

 

 

2/5 내용정리

 

목표 달성을 실패하는 이유!

-너무 큰 꿈(완성)에 집중한다.

…과도한 욕심을 부리게 된다.

Ex)슈퍼모델을 꿈꾸며 ‘무리한’ 운동→ 부상

(한번에)

→무리하지 말고 작은 것부터 하나씩... →작은 습관부터

 

 

3/5 내용정리

 

사소한 습관→일상(패턴);자동적

-수없이 반복하기 전까지는 자동적이라고 느껴지지 않음!

(반복→자동→일상)

-큰 과업; 반복할 만큼 사소하지 않아서 일상이 되기 어렵다.

 

Ex) 10Km 달리기- 한 정거장씩 달리기 시작하면...

 

 

4/5 내용정리

 

- 생활 습관을 하나씩 바꾸자!!

if 큰 꿈 실천→격려○, 인도○ But!! 안 보여....

if 작은 실천→작지만, 반복→ 엄청난 결과가~~!!

 

- 삶을 바꾸는 것은 not easy, 생활 습관을 바꾸는 것은 easy

Ex)건강해지기 위해서 / 똑똑해지기 위해서

-꿈을 실현시키는 것은 작은 습관부터~

 

 

5/5 내용정리

 

*큰 꿈에만 집착…감당X

*계획 1년→1주→하루

 

 

 

Part 2. Ask Alice: Advice for Teens

 

1/3 내용정리

 

Michelle:멋진 친구가 부러워요. 질투나요

Dr. Alice:

- 자신의 단점과 타인의 장점을 비교하는 것은 불행

- 우리는 저마다 개성을 가지고 잇음

- 자신의 장점을 찾고 감사, 스스로를 존중 & 인정

- 삶은 경쟁X … 타인의 성공 ≠ 자신의 실패

 

 

2/3 내용정리

 

Henry:공부 많이 하는데 성적이 안 올라요

Dr. Alice:

-Not “how much” But “how”

-다양한 방식으로 공부(자신에게 맞는 걸 찾기)

-오래도록 공부하면 지쳐…충분히 쉴 것

→새로운 마음으로 복습!

 

 

3/3 내용정리

 

Jinho: 부모님과 다툼이 있어요(자신을 여전히어린아이 취급)

Dr. Alice:

*부모님과 효과적으로 의사소통을 하는 방법

- 부모님의 의견에 선동의

- 자신의 의견에 대한 논거를 글로 정리…평정심

- 화내거나 소리 지르지 말 것!

- 어른스러운 대화를 할 수 있음을 보여 줄 것

 

 

 



 

 

 

* 모의고사 변형문제는 네이버 카페에서 제공합니다.

https://cafe.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 네이버 카페

고등부 학생들, 고등부 선생님들께 필요한 모의고사 위주의 자료를 제공하는 영어카페입니다.

cafe.naver.com

* 교과 및 모의고사 해설 강의 시청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Pacas영어회복제

안녕하세요. 부산에서 학생들을 지도하는 알파카 티처, 알쌤입니다. 고등학생들에게 수능, 내신 영어를 가르친지 10년이 훌쩍 넘어갑니다만, 여전히 부족하고, 그 점을 늘 인지하고 있으며, 하여 끊임없이 공부 중입니다. 가르치면서 배우고, 배우면서 또 가르친다 라는 글귀를 마음에 품고...

www.youtube.com

 

 


What are your big dreams in life? Perhaps your goal is to have a perfect body, complete a marathon, or become a best-selling author. However, despite having a strong will to achieve these goals, you may find yourself giving up after just a few days.

인생에서 당신의 큰 꿈들은 무엇인가? 아마도 당신의 목표는 완벽한 몸매를 갖는 것, 마라톤을 완주하는 것, 또는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는 것일 것이다. 그러나, 이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한 강한 의지를 갖더라도, 당신은 단지 며칠 후에 포기하는 자신을 발견할지도 모른다.

 

Why Do I Keep Failing to Achieve My Goals?

Most of the time, we focus on our big goals. Big goals are easy to visualize. We can imagine ourselves feeling satisfied in front of the mirror, smiling at the finish line, or signing our books for our fans. These big goals give us direction and purpose in our daily lives. However, you should be careful that you don’t bite off more than you can chew. Rather than helping us, big goals can tempt us to make unrealistic changes to our lives. For example, imagine that one day you decide to slim down like a supermodel. For one week, you push yourself far too hard at the gym. You injure your leg and need to take two weeks off to recover. In the end, you gain weight instead of losing it.

왜 나는 목표들을 달성하는 데 계속해서 실패하는가?

대부분의 시간 동안, 우리는 큰 목표들에 집중한다. 큰 목표들은 시각화하기 쉽다. 우리는 거울 앞에서 만족스러워하고, 결승선에서 미소를 짓고, 팬들에게 책에 사인해 주는 우리 자신을 상상할 수 있다. 이 큰 목표들은 우리의 일상생활에 방향과 목적을 제시한다. 그러나, 당신은 너무 욕심을 부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큰 목표들은 우리를 도와주기보다, 우리 삶에 비현실적인 변화를 만들도록 부추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날 당신이 슈퍼모델처럼 날씬해지기로 결심했다고 상상해 보라. 일주일 동안, 당신은 헬스장에서 스스로를 너무 심하게 몰아붙인다. 당신은 다리를 다치고 회복하기 위해 2주 동안 휴식을 취해야 한다. 결국, 당신은 살이 빠지는 대신 더 찌게 된다.

 

Tiny Seeds Grow into Huge Trees

Think of the little habits that make up your day: stretching in the morning, feeding your pet, or brushing your teeth after meals. These are small actions that you do every day, and over time, they form consistent patterns. The problem is that these routines don’t start feeling “automatic” until you have done them numerous times. Before they become automatic, you have to put in a lot of effort to start them. Moreover, the bigger a task seems, the more effort it requires, and the less likely you are to complete it.

For example, you may say, “I’m going to run ten kilometers every day.” However, that is a big and sudden change. So it is likely that your passion will fade, and you will quit in a few days. The better approach is to start gently with small changes and build up gradually. That is, you say, “I’m going to get off the bus one stop early and run home every day.” You will get used to running every day, and soon you might want to run more. One day, you will find yourself running ten kilometers.

아주 작은 씨앗이 거대한 나무로 자란다

당신의 하루를 구성하는 사소한 습관들, 즉 아침에 스트레칭하기, 애완동물에게 먹이 주기, 혹은 식사 후에 양치질하기를 생각해 보라. 이것들은 당신이 매일 하는 작은 행동들이며, 시간이 흐르면, 그것들은 일정한 패턴이 된다. 문제는 이러한 일상의 일들이 당신이 그것들을 수없이 하기 전까지는 자동적이라고 느껴지기 시작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것들이 자동적으로 되기 전에, 당신은 그것들을 시작하는데 많은 노력을 쏟아야 한다. 더욱이, 과업이 더 커 보일수록, 그것은 더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고, 당신이 그것을 완수할 가능성은 더 적다.

예를 들어, 당신은 나는 매일 10km를 달릴 거야.”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크고 갑작스러운 변화이다. 그래서 당신의 열정이 서서히 사라질 가능성이 크고, 당신은 며칠 안에 그만둘 것이다. 더 나은 접근법은 작은 변화로 천천히 시작하여 점차 늘리는 것이다. , 당신이 나는 매일 한 정거장 전에 버스에서 내려서 집까지 뛸 거야.”라고 말하는 것이다. 당신은 매일 달리는 것에 익숙해질 것이고, 곧 더 달리고 싶어질지도 모른다. 어느 날, 당신은 10km를 달리고 있는 자신을 발견할 것이다.

 

Change Your Lifestyle, Not Your Life

To attain your goal, you should focus on changing your lifestyle, not changing your life. For instance, writing a best-selling novel would be life-changing; practicing creative writing for ten minutes every day would be a new type of lifestyle. Can you see the difference? The former is great for inspiring and guiding you, but you might feel it is out of reach.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starts small. Nonetheless, if you repeat it daily, it will eventually help you achieve your goal.

Changing your life is a big deal. However, changing your daily habits is something small you can do. The tinier your habit, the easier it is to stick to. To be stronger and healthier, eat one extra serving of vegetables at every meal. To become more knowledgeable, read one page of a book before bed. One day, you will find yourself becoming the person you always wanted to be. Remember, it is not big goals but daily habits that make your big dreams come true.

 

당신의 인생이 아닌, 생활 방식을 바꿔라

당신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당신의 삶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당신의 생활 방식을 바꾸는 것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예를 들어, 베스트셀러 소설을 쓰는 것은 인생을 바꾸는 일일 테지만, 매일 10분씩 창작연습을 하는 것은 새로운 유형의 생활 방식일 것이다. 차이점을 알겠는가? 전자는 당신을 격려하고 이끌어 주기에 아주 좋지만, 당신은 그것이 손에 닿지 않는 것처럼 느낄지도 모른다. 반면에, 후자는 작게 시작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신이 매일 그것을 반복한다면, 그것은 결국 당신이 목표를 달성하도록 도울 것이다.

당신의 삶을 바꾸는 것은 큰 일이다. 그러나, 당신의 일상 습관을 바꾸는 것은 당신이 할 수 있는 작은 일이다. 당신의 습관이 더 작을수록, 그것을 계속하는 것이 더 쉽다. 더 강해지고 건강해지기 위해서, 식사 때마다 채소 1인분을 추가로 먹어라. 더 아는 것이 많아지기 위해, 자기 전에 책 한 페이지를 읽어라. 언젠가, 당신은 당신 자신이 항상 되고 싶었던 사람이 되어 있는 것을 발견할 것이다. 기억해라, 당신의 큰 꿈을 실현시키는 것은 큰 목표가 아니라 매일의 습관이라는 것을.

 

We need big dreams to keep our lives meaningful. However, if we become obsessed only with big dreams, we may wake up one day thinking, “This is overwhelming! I should have started with the little things.” What is your big dream? From there, make a goal for this year. Then make a goal for this week. Start with one manageable action a day. Ask yourself, “What is one thing I can do today to take a step toward achieving my big dream?”

우리는 우리의 삶을 의미 있게 유지하기 위해 큰 꿈들이 필요하다. 그러나, 만일 우리가 큰 꿈에만 사로잡히게 된다면, 우리는 어느 날 이것은 압도적이야! 나는 작은 것들부터 시작했어야 했어.”라고 생각하며 잠에서 깰지도 모른다. 당신의 큰 꿈은 무엇인가? 거기서부터, 올해 목표를 세워라. 그러고 나서 이번 주 목표를 세워라. 하루에 감당할 수 있는 하나의 행동부터 시작해라. 스스로에게 나의 큰 꿈을 달성하는 데 한 걸음 다가가기 위해 오늘 내가 할 수 있는 한 가지 일은 무엇인가?”라고 질문해라.

 


 

Dear Dr. Alice,

My best friend is smart, funny, and beautiful. Whenever we are together, she gets everyone’s attention. I know it’s not her fault, but I always compare myself to her and feel bad. How can I overcome my jealousy toward her?

Sincerely, Michelle

앨리스 박사님께

저의 가장 친한 친구는 똑똑하고, 재미있고, 아름답습니다. 저희가 함께 있을 때마다, 그녀는 모두의 관심을 받습니다. 그것이 그녀의 잘못이 아니란 것을 알지만, 저는 항상 제 자신을 그녀와 비교하고 기분이 나빠집니다. 그녀를 향한 저의 질투심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요?

미쉘 올림

 

Dear Michelle,

Comparing yourself to others may leave you feeling sad. That’s because we often compare the worst aspects of ourselves to the best aspects of others. However, you should keep in mind that nobody has it all. We are all individuals with unique looks, personalities, and talents. Therefore, make an effort to see the good things in your life and be grateful for them. When you start to admire and appreciate yourself, your envy toward your best friend will naturally disappear.

Most importantly, stop viewing life as a competition. Another person’s success doesn’t mean you are failing. Try to see other people’s good news as something to celebrate. Then their happiness will add to yours.

Best regards, Dr. Alice

미쉘에게

당신 자신을 남과 비교하는 것은 당신을 슬프게 할 것입니다. 그것은 우리가 자주 우리 자신의 가장 안 좋은 점을 타인의 가장 좋은 점과 비교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당신은 그 누구도 모든 것을 갖추고 있지 않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우리는 모두 고유의 외모, 성격, 그리고 재능을 가진 개인입니다. 그러므로, 당신의 삶에서 좋은 점들을 보려고 노력하고 그것들에 감사하십시오. 당신이 스스로를 존중하고 가치를 인정하기 시작한다면, 가장 친한 친구를 향한 당신의 질투는 자연스럽게 사라질 것입니다.

가장 중요하게는, 삶을 경쟁으로 여기는 것을 멈추십시오. 다른 사람의 성공이 당신이 실패한다는 것을 뜻하지 않습니다. 타인의 좋은 소식을 축하할 일로 보려고 노력하십시오. 그러면 그들의 행복이 당신의 행복에 더해질 것입니다.

앨리스 박사가

 

 

Dear Dr. Alice,

I stay up late every night to study. However, my grades don’t reflect my effort. I’m starting to feel stressed and frustrated with myself. After every exam, I think I should have studied harder. What can I do?

Yours truly, Henry

앨리스 박사님께

저는 매일 밤 공부하기 위해 늦게까지 자지 않습니다. 그러나, 제 성적은 저의 노력을 반영하지 않습니다. 저는 스트레스를 받고 저 자신에게 좌절감을 느끼기 시작합니다. 매 시험 후, 저는 제가 공부를 더 열심히 했어야 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헨리 올림

 

Dear Henry,

Clearly, you are studying hard, but I’m afraid that your strategy of staying up late at night won’t help you. In fact, long study sessions do not always guarantee good grades.

The secret to effective studying lies in putting forth the right kind of effortthe “how” of studying, rather than the “how much.” We all have different learning styles. For example, some people learn best not by reading but by listening. Others learn best by writing down the things they learn. Try some different study methods and find the most suitable one for you. Also, if you sit for hours trying to absorb a lot of information, your brain will become exhausted and you won’t be able to remember everything. Make sure you take time to rest and review your work when you feel refreshed.

Warm wishes, Dr. Alice

헨리에게

분명, 당신은 공부를 열심히 하고 있지만, 유감스럽게도 늦은 밤까지 깨어 있는 당신의 전략은 당신에게 도움이 되지 않을 것입니다. 사실, 긴 공부 시간이 항상 좋은 성적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효과적인 공부의 비결은 알맞은 종류의 노력을 기울이는 데 있습니다. ‘얼마나 많이보다는 공부하는 방법에 있는 것입니다. 우리 모두에게는 각자 다른 학습 방식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들은 읽기가 아닌 듣기로 가장 잘 학습합니다. 다른 사람들은 그들이 배우는 것을 적는 것으로 가장 잘 학습합니다. 몇 가지 다른 학습 방법들을 시도해 보고 당신에게 가장 잘 맞는 것을 찾으세요. 또한, 많은 정보를 습득하려고 하면서 몇 시간씩 앉아 있으면, 당신의 두뇌는 지칠 것이고 당신은 모든 것을 기억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꼭 쉬는 시간을 갖고 당신이 다시 활기를 찾았을 때 공부한 것을 복습하도록 하세요.

앨리스 박사가

 

 

Dear Dr. Alice,

These days, my relationship with my parents has changed. They rarely seem to agree with me, so we fight more. What’s worse, my parents don’t see me as a mature person. I’m sick of arguing with them, and I’m sure my parents feel the same. I want to fix this problem.

Sincerely yours, Jinho

앨리스 박사님께

요즘, 저와 부모님의 관계가 바뀌었습니다. 그분들은 좀처럼 저에게 동의해 주시지 않는 것 같아서, 저희는 더 싸웁니다. 설상가상으로, 저희 부모님은 저를 성숙한 사람으로 여기지 않으십니다. 저는 그분들과 다투는 것이 지겹고, 저희 부모님도 분명 같은 마음일 것입니다. 저는 이 문제를 해결하고 싶습니다.

진호 올림

 

Dear Jinho,

Feeling grown up but being treated like a child is challenging, so the adolescent years can be hard. If you want to communicate well with your parents, try the following tips.

First, when you have a conversation with them, start by saying, “You are right.” This shows your parents that you value their point of view. Also, it might help to spend some time thinking about your main points and writing them down. Having an organized argument ready will help you remain calm and focused. In addition, whatever you do, don’t get upset and start yelling at your parents. Instead, show them that you are capable of having a mature discussion. In these ways, you can be seen as a mature person and you can also reduce the level of conflict with your parents.

Warm regards, Dr. Alice

진호에게

다 자랐다고 느끼지만 아이처럼 취급받는 것은 힘든 일이기에, 청소년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당신의 부모님과 의사소통을 잘하고 싶다면, 다음 방법들을 시도해 보십시오.

첫째로, 당신이 그분들과 대화를 나눌 때, “부모님 말씀이 맞아요.”라는 말로 시작하세요. 이것은 당신이 부모님의 견해를 존중한다는 것을 그분들께 보여 줍니다. 또한, 당신의 요점에 대해 생각하고 그것을 적어 보는 시간을 갖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정리된 논거를 준비해 두는 것은 당신이 평정을 유지하고 계속 집중하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덧붙여, 당신이 무엇을 하든, 화를 내고 부모님께 소리 지르기 시작하지 마십시오. 대신, 당신이 어른스러운 논의를 할 수 있다는 것을 그분들에게 보여 주십시오. 이 방법들로, 당신은 성숙한 사람으로 보일 수 있고 부모님과의 갈등의 정도 또한 줄일 수 있습니다.

앨리스 박사가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