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르치는 학생의 학교에서 이번에 수특Light가 부교재로 선정되었고
들어가는 시험 범위의 본문만 작업해보았어요~
변형문제 제작은 모의고사만으로 벅차서 손을 대지는 못하고
한줄 해석본만 먼저 작업해보았습니다.
첨부파일은 1~9강 까지 이고,제작한 자료의 종류는 한줄 해석, 영작연습, 해석연습 밖에 없습니다.
시간이 없으신 선생님들을 대신해 대신 작업하였고,
총 작업은 24강까지 하였어요~*
수정가능한 한글 파일 및 PDF 작업까지 완료한 자료 커피 한잔 값에 공유합니다~!
유형편 : 4,000 주제,소재편 : 4,000
암호가 필요하신 분들은
국민은행 109802 04 198422 조정래
로 입금 후
010-3052-3470으로
1.입금자명 2.자료명 (유형편) // (소재편) // (전체)
을 보내주시면 암호를 발송해드립니다.
커피 잘 마시고, 또 좋은 자료로 찾아뵙겠습니다~!
☆ 임의대로 표지를 넣었으니 마음에 안드시면 바꾸시면 됩니다~*
한글 파일에 대한 폰트
폰트 파일은 windows/fonts 폴더에 넣어주시고 재부팅 해주세요~!
Gateway
On August 12, 1994, major league baseball players went on strike, bringing baseball to a halt for the rest of the season. The strike, which lasted 235 days, ended in April of the next year when a federal judge issued an injunction against the club owners. Just before the strike, baseball was enjoying one of the most exciting seasons in many years. The lowly Montreal Expos were leading their league by six games, Tony Gwynn was enjoying a .400 batting average, and a number of ballplayers were having banner years. Just before the strike, the famed hitter Ken Griffey, Jr., was asked what he thought about the upcoming strike, especially since he and so many other ballplayers were doing so well. He replied: We picked a bad year to have a good year.
*injunction: (법원의) 명령
1994년 8월 12일, 메이저리그 야구 선수들이 파업에 돌입하여 그 시즌의 나머지 기간 야구를 중단시켰다. 235일간 지속한 그 파업은, 연방 법원 판사가 구단주들에 불리한 명령을 냈던 그다음 해 4월에 끝났다. 파업 직전에, 야구는 여러 해 만에 가장 흥미진진한 시즌 중 하나를 누리고 있었다. 보잘것없던 Montreal Expos는 6경기 차로 리그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었고, Tony Gwynn은 4할의 타율을 누리고 있었으며, 많은 야구 선수들이 아주 성공적인 해를 보내고 있었다. 저명한 타자인 Ken Griffey, Jr.는, 특히 그와 매우 많은 다른 야구 선수들이 매우 잘하고 있었기 때문에, 다가오는 파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을 파업 직전에 받았다. 그는 “우리는 좋은 해를 갖기 위해 (성공적인 시즌을 중단해야 하는) 나쁜 해를 골랐다.”라고 답했다.
1
If there is one recent change that stands out in student behaviour, it is the decline in the willingness to read for extended periods of time. The reason is simply the competition reading faces. Until the mid-1980s, the only competition school really had was television. We still lived in a world that supported print literacy. There was still a collective memory about the experiences reading offered and a collective agreement about its value. That consensus is quickly passing away. When a teacher hands out a novel today, the first question in every student’s mind is “Is there a movie of this?” If not, the next stop is the Internet where some websites will provide short chapter-by-chapter summaries, commentaries, and analysis free of charge. These sites support themselves with the extensive advertising embedded within the summary articles (a good visual distraction from the boring text summary). Today reading literature means reading about literature.
학생 행동에서 두드러진 최근의 한 가지 변화가 있다면, 그것은 자진해서 오랜 시간 동안 책을 읽으려는 마음의 감소이다. 그 이유는 단순히 독서가 직면한 경쟁이다. 198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학교가 정말로 겨뤄야 했던 경쟁자는 텔레비전밖에 없었다. 우리는 인쇄된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을 옹호했던 세상에 여전히 살았던 것이었다. 독서가 주었던 경험에 대한 집단적 기억과 그 가치에 대한 집단적 합의가 여전히 존재했다. 그러한 합의가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오늘날 교사가 소설을 나눠 주면, 모든 학생의 마음에 생기는 첫 번째 질문은 “이것에 대한 영화가 있나”이다. 그렇지 않으면, 그다음 찾아가는 곳은 몇몇 웹사이트가 짤막한 장(章)별 요약, 비평, 그리고 분석을 무료로 제공해 줄 인터넷이다. 이 사이트들은 요약 기사 안에 들어 있는 엄청난 수의 광고(요약해 놓은 지겨운 글로부터의 훌륭한 시각적 기분 전환)로 스스로에 대한 경제적인 지원을 얻는다. 오늘날 문학 작품을 읽는 것은 문학 작품에 대해 읽는 것(실제로 책을 읽지 않고 책에 대한 대충의 세부 사항을 얻는 것)을 의미한다.
2
It is traditionally accepted that music is an art, that painting is an art, that theater is an art — no less than literature and, for more than a century now, the cinema. Why not cooking? Its essential function of providing nourishment has caused us to forget that, in the hands of a great cook, a meal is capable of touching us as a love song does, of giving us joy, occasionally even of moving us to anger. To the extent that it detaches itself from tradition (which works to assign it to the status of an artisanal trade or craft, based on repetition) and insofar as its purpose is to stir the emotions, cooking — which alone among the arts stimulates all of the senses at once — cannot be excluded from their company.
* artisanal: 장인(匠人)의
음악이 예술이고, 회화가 예술이고, 연극이 예술이라는 것은 전통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문학도 마찬가지이고 이제는 1세기 이상 영화도 마찬가지이다. 요리는 왜 그렇지 않겠는가? 영양을 공급하는 그것의 핵심적인 기능은 우리가, 위대한 요리사의 손에서, 사랑 노래가 우리를 감동하게 하듯 식사가 우리를 감동하게 할 수 있고, 기쁨을 주고, 가끔 심지어 우리를 분노하도록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을 잊어버리게 만들어 왔다. 요리가 (반복에 바탕을 두어 그것을 장인의 직업이나 기술의 지위에 두고자 노력하는) 전통으로부터 벗어나는 한, 그리고 그 목적이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것인 한, 그것은 —모든 예술 중에서 그것만이 모든 감각을 동시에 자극하므로 —예술의 동료들로부터 제외될 수 없다.
3
Melatonin helps regulate the timing of when sleep occurs by systemically signaling darkness throughout the organism. But melatonin has little influence on the generation of sleep itself: a mistaken assumption that many people hold. To make clear this distinction, think of sleep as the Olympic 100-meter race. Melatonin is the voice of the timing official that says “Runners, on your mark,” and then fires the starting pistol that triggers the race. That timing official (melatonin) governs when the race (sleep) begins, but does not participate in the race. In this analogy, the sprinters themselves are other brain regions and processes that actively generate sleep. Melatonin corrals these sleep-generating regions of the brain to the starting line of bedtime. Melatonin simply provides the official instruction to commence the event of sleep, but does not participate in the sleep race itself.
* analogy: 비유 ** corral: (울타리 안에) 넣다, 가두다
멜라토닌은 유기체 전체에 어둠의 신호를 체계적으로 보냄으로써 수면이 일어나는 때의 ‘타이밍’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멜라토닌은 수면 자체의 ‘생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데, 그것은 많은 사람들이 갖고 있는 잘못된 가정이다. 이 차이를 분명히 하기 위해, 수면을 올림픽 100m 경주라고 생각해 보자. 멜라토닌은 ‘선수, 제자리에’라고 말한 뒤 경주를 시작하게 하는 출발 신호용 총을 발사하는 출발 심판의 목소리이다. 그 ‘타이밍’ 심판(멜라토닌)은 경주(수면)가 시작되는 시간을 관리하지만, 경주에 참여하지는 않는다. 이 비유에서 단거리 선수 자체는 활발하게 수면을 ‘생성하는’ 다른 뇌 영역과 과정이다. 멜라토닌은 이러한 두뇌의 수면 생성 영역을 취침 시간의 출발선에 놓는다. 멜라토닌은 단순히 수면이라는 시합을 시작하게 할 공식적인 지시를 제공하지만, 수면 경주 자체에는 참여하지 않는다.
4
Back in 1953, Patsy Sherman noticed a seemingly unimportant incident. An assistant in her laboratory had spilled a few drops of an experimental chemical on her new trainers. Naturally the assistant was upset, thinking that she wouldn’t be able to get the stains off. Nothing worked: neither soap, alcohol, nor other solvents. Sherman, however, became fascinated with the chemical’s incredible resilience and began forming an idea, which at the time seemed ridiculous: to develop a chemical that could repel water and oil from cloth fabrics. By 1956, Scotchgard Protector was launched, and the brand has been the market leader ever since. A popular saying at her company is that you have to kiss an awful lot of frogs before you find your prince. Failing is par-for-the-course when it comes to innovation and product development.
* resilience: 튕겨 내는 성질 ** repel: 막다, (물 등을) 튕겨 내다 *** par-for-the-course: 당연한, 보통의
과거 1953년에, Patsy Sherman은 겉보기에는 중요해 보이지 않은 사건에 주목했다. 그녀의 실험실에 있던 조수한 명이 실험용 화학 약품 몇 방울을 자신의 새 운동화에 떨어뜨렸다. 당연히 그 조수는 그 얼룩을 지울 수 없을 것이라 생각해서 화가 났다. 비누, 알콜, 다른 용액들, 어느 것도 도움이 되지 않았다. 그러나, Sherman은 그 화학 약품의 믿을 수 없는 튕겨 내는 힘에 매료되어 아이디어를 구상하기 시작했는데, 그것은 그 당시에는 터무니없어 보이는 것으로서, 옷감에서 물과 기름을 방지하는[스며들지 않게 하는] 화학 약품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1956년 경, Scotchgard Protector가 출시되었고, 그 브랜드는 그 이후로 계속해서 시장의 선두주자였다. 그녀 회사의 유명한 격언은 왕자를 찾아내기 전에 엄청나게 많은 개구리에게 입을 맞추어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혁신과 제품 개발에 있어 실패는 당연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