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1월 고2 모의고사 워크북(나눔)
영어농장 모의고사 자료 목록
EF000 좌본우해
EF001 어휘정리 EF002 본문 한줄해석
EF003 본문영작연습 EF004 본문해석연습
EF005 내용일치 EF006 글의순서
EF007 문장삽입 EF008 어법어휘선택
EF01 종합변형문제 EF02 워크북 (EF002, EF005~8 합본)
전체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항 자료구매 ↓↓↓
2020년 11월 고1/고2 모의고사 종합변형문제+워크북 판매
<알파카의 영어농장> 나눔자료 게시판에 샘플 파일을 올려놓았습니다 https:cafe.naver.com/forjr 합본형 선택시 할인이 적용됩니다
form.office.naver.com
알파카의 영어농장 http://cafe.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 네이버 카페
고등부 학생들, 고등부 선생님들께 필요한 모의고사 위주의 자료를 제공하는 영어카페입니다.
cafe.naver.com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쌤의 영어교실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학생은 없다,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blog.naver.com
영어회복제 Pacas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영어회복제Pacas
- 우리동네영어쌤 Alpaca Since 2019. 8. - 채널명을 변경하였습니다~* 올해 1월에 이사를 하고, 공부방을 열어 2월 1일 부터 첫 수업을 진행했어요~ 고3 수강생이 아직 1명이라 강의를 보면 수업 초점이
www.youtube.com
37.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When we think of culture, we first think of human cultures, of our culture. We think of computers, airplanes, fashions, teams, and pop stars. For most of human cultural history, none of those things existed. For hundreds of thousands of years, no human culture had a tool with moving parts. Well into the twentieth century, various human foraging cultures retained tools of stone, wood, and bone. We might pity human hunter-gatherers for their stuck simplicity, but we would be making a mistake. They held extensive knowledge, knew deep secrets of their lands and creatures. And they experienced rich and rewarding lives; we know so because when their ways were threatened, they fought to hold on to them, to the death. Sadly, this remains true as the final tribal peoples get overwhelmed by those who value money above humanity. We are living in their end times and, to varying extents, we're all contributing to those endings. Ultimately our values may even prove self-defeating.
* forage: 수렵 채집하다
우리가 문화에 대해 생각할 때, 우리는 먼저 인간의 문화, ‘우리의’ 문화를 생각한다. 우리는 컴퓨터, 비행기, 패션, 팀, 그리고 팝 스타를 생각한다. 그러한 것들 중 어느 것도 대부분의 인간 문화의 역사에서 존재하지 않았다. 수십만 년 동안, 어떤 인간의 문화도 움직이는 부품들을 가진 도구를 가지지 않았다. 20세기까지도 다양한 인간의 수렵 채집 문화는 돌, 나무, 그리고 뼈로 된 도구를 보유했다. 우리는 수렵 채집인들을 그들의 꽉막힌 단순함 때문에 동정할지도 모르지만, 우리는 실수를 범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 그들은 광범위한 지식을 가졌고 그들의 땅과 생명체의 깊은 비밀을 알았다. 그리고 그들은 풍요롭고 가치 있는 삶을 경험했는데, 그들의 (삶의) 방식이 위협받았을 때 그것을 고수하기 위해 죽을 때까지 그들이 싸웠기 때문에 우리가 그렇게 알고 있다. 슬프게도 인간성보다 돈을 가치 있게 여기는 사람들에 의해 마지막 부족민들이 제압당할 때도 이것은 여전히 사실이다. 우리는 그들의 종말의 시대에 살고 있고, 다양한 정도로 우리는 모두 그러한 종말에 원인이 되고 있다. 결국 우리의 가치들이 스스로를 파괴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일 수도 있다.
38.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Liquids are destructive. Foams feel soft because they are easily compressed; if you jump on to a foam mattress, you'll feel it give beneath you. Liquids don't do this; instead they flow. You see this in a river, or when you turn on a tap, or if you use a spoon to stir your coffee. When you jump off a diving board and hit a body of water, the water has to flow away from you. But the flowing takes time, and if your speed of impact is too great, the water won't be able to flow away fast enough, and so it pushes back at you. It's that force that stings your skin as you belly-flop into a pool, and makes falling into water from a great height like landing on concrete. The incompressibility of water is also why waves can have such deadly power, and in the case of tsunamis, why they can destroy buildings and cities, tossing cars around easily.
* compress: 압축하다 ** give: (힘을 받아) 휘다
액체는 파괴적이다. 발포 고무는 그것이 쉽게 압축되기 때문에 부드럽게 느껴지는데, 만약 여러분이 발포 고무 매트리스 위로 점프를 한다면 여러분은 그것이 여러분의 밑에서 휘어지는 것을 느끼게 될 것이다. 액체는 이렇게 하지 않고, 대신에 액체는 흐른다. 강에서나, 여러분이 수도꼭지를 틀 때나, 혹은 여러분이 스푼을 사용하여 자신의 커피를 젓는다면 여러분은 이것을 보게 된다. 여러분이 다이빙 도약대에서 뛰어내려 많은 양의 물을 치게 될 때 그 물은 여러분에게서 비켜나 흘러나가야만 한다. 그러나 흘러나가는 것은 시간이 걸리며, 만약 여러분의 충돌의 속도가 너무나도 엄청나다면 그 물이 충분히 빠르게 흘러나가지 못할 것이며 따라서 그것(그 물)은 여러분을 밀어낸다. 여러분이 배로 수면을 치며 수영장 물속으로 떨어질 때 여러분의 피부를 쓰리게 하며, 굉장한 높이에서 물속으로 떨어지는 것을 콘크리트 위에 떨어지는 것처럼 만드는 것이 바로 그 힘이다. 물의 비압축성이 또한 파도가 그러한 치명적인 힘을 가질 수 있는 이유이고, 해일의 경우 그것이 건물과 도시를 부수며 자동차를 쉽게 던져버릴 수 있는 이유인 것이다.
39.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researchers sought to measure how fast and how far news, rumours or innovations moved. More recent research has shown that ideas―even emotional states and conditions―can be transmitted through a social network. The evidence of this kind of contagion is clear: ‘Students with studious roommates become more studious. Diners sitting next to heavy eaters eat more food.’ However, according to Christakis and Fowler, we cannot transmit ideas and behaviours much beyond our friends' friends' friends (in other words, across just three degrees of separation). This is becaus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n idea or behaviour requires a stronger connection than the relaying of a letter or the communication that a certain employment opportunity exists. Merely knowing people is not the same as being able to influence them to study more or over-eat. Imitation is indeed the sincerest form of flattery, even when it is unconscious.
* flattery: 아첨
20세기 후반 연구자들은 얼마나 빨리 그리고 얼마나 멀리 뉴스, 소문, 혁신이 이동하는지를 측정하고자 했다. 더 최근의 연구는 생각 즉 감정 상태와 상황까지도 사회 관계망을 통해 전파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어 왔다. 이러한 종류의 전염의 증거는 분명하며, 즉 ‘학구적인 룸메이트와 함께 하는 학생들은 더욱 학구적이 되며 폭식하는 사람 옆에 앉아 식사하는 사람은 더 많은 음식을 먹는다.’ 그러나 Christakis와 Fowler에 따르면 우리는 우리의 친구의 친구의 친구를 훨씬 넘어서서, 다시 말해 고작 세 단계의 떨어짐을 건너서는 생각과 행동을 전파할 수 없다. 이것은 생각이나 행동의 전파와 수용이 편지나 어떤 고용 기회가 있다는 정보를 전달하는 것보다 더 강한 연결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단지 사람을 아는 것은 그들이 더 공부하거나 과식하도록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과는 같지 않다. 모방은 그것이 무의식적일 때조차도 실로 가장 순수한 형태의 아첨이다.
40.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In 2011, Micah Edelson and his colleagues conducted an interesting experiment about external factors of memory manipulation. In their experiment, participants were shown a two minute documentary film and then asked a series of questions about the video. Directly after viewing the videos, participants made few errors in their responses and were correctly able to recall the details. Four days later, they could still remember the details and didn't allow their memories to be swayed when they were presented with any false information about the film. This changed, however, when participants were shown fake responses about the film made by other participants. Upon seeing the incorrect answers of others, participants were also drawn toward the wrong answers themselves. Even after they found out that the other answers had been fabricated and didn't have anything to do with the documentary, it was too late. The participants were no longer able to distinguish between truth and fiction. They had already modified their memories to fit the group.
2011년 Micah Edelson과 그의 동료들이 기억 조작의 외부 요인들에 대한 흥미로운 실험을 했다. 그들의 실험에서 참가자들이 2분짜리 다큐멘터리 영상을 보고 나서 그 영상에 대한 일련의 질문을 받았다. 그 영상을 본 직후 참가자들은 응답에서 거의 실수를 하지 않았고 정확하게 세부 사항들을 기억해 낼 수 있었다. 4일 후에 그들은 여전히 세부 사항들을 기억할 수 있었고 그들이 영상에 관한 어떤 잘못된 정보가 제시되었을 때에도 자신의 기억이 흔들리게 두지 않았다. 그러나 참가자들이 그 영상에 관한 다른 참가자들이 한 거짓 응답을 봤을 때 이것이 바뀌었다. 다른 사람들의 올바르지 않은 응답을 보자마자 참가자들 자신 또한 잘못된 응답 쪽으로 이끌려 갔다. 심지어 그들이 다른 응답들은 조작되었으며 그 다큐멘터리와 아무 상관이 없다는 것을 알아낸 뒤에도, 이는 너무 늦어버린 후였다. 참가자들은 더 이상 진실과 허구를 구분할 수 없었다. 그들은 이미 자신의 기억을 집단에 맞게끔 수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