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모의고사 자료/고2

2020년 9월 고2 모의고사 변형문제 22제 (나눔)

우리동네영어쌤 Alpaca 2020. 10. 7. 18:20
반응형

2009 고2 sEF01 종합변형문제 (14-15회차).pdf
2.09MB

영어농장 모의고사 자료 목록

EF000 좌본우해

EF001 어휘정리 EF002 본문 한줄해석

EF003 본문영작연습 EF004 본문해석연습

EF005 내용일치 EF006 글의순서

EF007 문장삽입 EF008 어법어휘선택

EF01 종합변형문제 EF02 워크북 (EF002, EF005~8 합본)

 

전체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항 자료구매 ↓↓↓

http://naver.me/Gma46miH

 

2020년 9월 고1/고2 모의고사 종합변형문제+워크북 판매

<알파카의 영어농장> 나눔자료 게시판에 샘플 파일을 올려놓았습니다 https:cafe.naver.com/forjr 합본형 선택시 할인이 적용됩니다

form.office.naver.com

 

알파카의 영어농장 http://cafe.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 네이버 카페

고등부 학생들, 고등부 선생님들께 필요한 모의고사 위주의 자료를 제공하는 영어카페입니다.

cafe.naver.com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쌤의 영어교실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학생은 없다,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blog.naver.com

 

영어회복제 Pacas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영어회복제Pacas

- 우리동네영어쌤 Alpaca Since 2019. 8. - 채널명을 변경하였습니다~* 올해 1월에 이사를 하고, 공부방을 열어 2월 1일 부터 첫 수업을 진행했어요~ 고3 수강생이 아직 1명이라 강의를 보면 수업 초점이

www.youtube.com

 


[41~4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U.S. commercial aviation has long had an extremely effective system for encouraging pilots to submit reports of errors. The program has resulted in numerous improvements to aviation safety. It wasn't easy to establish: pilots had severe self-induced social pressures against admitting to errors. Moreover, to whom would they report them? Certainly not to their employers. Not even to the Federal Aviation Authority (FAA), for then they would probably be punished. The solution was to let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 set up a voluntary accident reporting system whereby pilots could submit semi-anonymous reports of errors they had made or observed in others.

Once NASA personnel had acquired the necessary information, they would detach the contact information from the report and mail it back to the pilot. This meant that NASA no longer knew who had reported the error, which made it impossible for the airline companies or the FAA (which enforced penalties against errors) to find out who had submitted the report. If the FAA had independently noticed the error and tried to invoke a civil penalty or certificate suspension, the receipt of self-report automatically exempted the pilot from punishment. When a sufficient number of similar errors had been collected, NASA would analyze them and issue reports and recommendations to the airlines and to the FAA. These reports also helped the pilots realize that their error reports were valuable tools for increasing safety.

미국 민항 산업에는 조종사들이 오류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장려하는 매우 효과적인 시스템이 오랫동안 있어왔다. 이 프로그램은 항공 안전에 있어 많은 개선점들을 만들어 왔다. 정착이 쉽지는 않았다. 조종사들은 오류를 인정하는 것에 대해 스스로 만들어 낸 심한 사회적 압박감을 느꼈다. 더구나, 누구에게 그 오류들을 보고한단 말인가? 분명 그들의 고용주에게는 아닐 것이다. 처벌을 받을 수도 있기에, 미국연방항공청(FAA)에게는 더욱 아닐 것이다. 해결책은 항공우주국(NASA)으로 하여금 조종사들이 그들이 저지른 오류나 다른 조종사에게서 목격한 오류에 대해 반익명의 오류 보고서를 제출할 수 있게 하는 자발적인 사고 보고 체계를 만들도록 하는 것이었다.

일단 NASA 인사부가 필요한 정보를 얻어내면, 보고서에 있던 연락처를 떼어내어 조종사들에게 돌려보냈다. 이것은 NASA가 오류를 누가 보고했는지를 더 이상 알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했고, 이는 (오류에 대해 제제를 가할 수 있는) 항공사나 FAA가 누가 보고서를 제출했는지 아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만일 FAA가 독립적으로 오류를 발견하고 벌금형 또는 면허정지를 실시하려고 하면, 자기 보고서의 접수가 자동으로 해당 조종사가 처벌받는 것을 면하게 해주었다. 유사한 오류가 충분히 수집되면, NASA는 그것들을 분석하여 보고서와 권고안을 항공사들과 FAA에 발송하곤 했다. 이러한 보고서는 또한 조종사들로 하여금 그들의 오류 보고서가 안전을 높이는 데 유용한 도구였다는 것을 깨닫게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43~4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A)

I was on a train in Switzerland. The train came to a stop, and the conductor's voice over the loudspeaker delivered a message in German, then Italian, then French. I had made the mistake of not learning any of those languages before my vacation. After the announcement, everyone started getting off the train, and an old woman saw I was confused and stressed. (a) She came up to me.

나는 스위스에서 기차를 타고 있었다. 기차가 멈췄고 스피커를 통해 차장의 목소리가 독일어, 이탈리아어, 그 다음 프랑스어로 메시지를 전했다. 나는 휴가를 떠나기 전에 이 언어 중에 어떠한 것도 배우지 않는 실수를 했다. 안내 방송 후, 모두가 기차에서 내리기 시작했고, 한 노부인이 내가 혼란스러워하고 스트레스를 받는 것을 보았다. 그녀가 나에게 다가왔다.

 

(C)

She spoke some English, and she told me that an accident had happened on the tracks. She asked me where I was trying to get to, then she got off the train and went to a woman in the ticket booth. The old woman got a rail map and timetable from (c) her and came back to tell me that we'd have to hop trains three or four times to get there. I was really glad (d) she was headed the same way because it would have been hopeless for me to figure it out on my own.

그녀는 영어를 조금 할 수 있었고, 나에게 선로에서 사고가 발생했다고 말했다. 그녀는 나에게 어디로 가려고 하는지 물었으며, 그 후 기차에서 내려 티켓 부스에 있는 여자에게 갔다. 노부인은 그녀에게서 기차 노선표와 기차 시간표를 얻었고, 나에게 돌아와서 우리가 거기 가려면 서너 번 기차를 갈아타야 한다고 말했다. 나 혼자서는 그 사실을 알아내기가 불가능했을 것이기에, 나는 그녀가 나와 같은 방향으로 간다는 것이 정말로 기뻤다.

 

(B)

So we went from one train station to the next, getting to know each other along the way. It was a 2.5-hour journey in total, and when we finally made it to the destination, we got off and said our good-byes. I had made it just in time to catch my train to Rome, and she told me she had a train to catch too. I asked (b) her how much farther she had to go, and it turned out her home was two hours back the other way.

그래서 우리는 여러 기차역을 이동하였고, 그동안 서로에 대해 알아갔다. 2.5시간의 여행이었으며 마침내 목적지에 도착했을 때 우리는 기차에서 내렸고 작별의 인사를 했다. 나는 로마로 가는 기차 시간에 딱 맞추어 도착했고, 그녀는 나에게 그녀 역시 기차를 타야 한다고 말했다. 나는 그녀에게 얼마나 더 가야 하는지 물었고, 알고 보니 그녀의 집은 반대 방향으로 두 시간 거리에 있었다.

 

(D)

She had jumped from train to train and traveled the whole way just to make sure I made it. “You are the nicest person I've ever met,” I said. She smiled gently and hugged me and told me I'd better hurry off so I wouldn't miss my train. This woman spent her entire day sitting on trains taking (e) her hours away from her home just to help out a confused tourist visiting her country. No matter how many countries I visit or sites I see, I always say the most beautiful country in the world is Switzerland.

그녀는 단지 내가 잘 도착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기차를 갈아타고 모든 여행을 했다. “당신은 내가 만난 사람 중에서 가장 친절한 사람이다.”라고 나는 말했다. 그녀는 부드럽게 미소 지었고 나를 안아주며 내가 서두르지 않으면 기차를 놓칠 것이라고 내게 말했다. 이 여성은 단지 그녀의 나라를 방문한 혼란스러워하는 여행객을 돕기 위해 그녀의 집에서 몇 시간이나 떨어진 곳으로 가는 기차에 앉아 하루 종일을 보냈다. 아무리 많은 나라를 방문하거나 장소를 보더라도, 나는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는 스위스라고 항상 말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