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6월 고1 모의고사 본문영작연습 / 본문해석연습
영어농장 모의고사 자료 목록
EF000 좌본우해
EF001 어휘정리 EF002 본문 한줄해석
EF003 본문영작연습 EF004 본문해석연습
EF005 내용일치 EF006 글의순서
EF007 문장삽입 EF008 어법어휘선택
EF01 종합변형문제 EF02 워크북 (EF002, EF005~8 합본)
전체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쌤의 영어교실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학생은 없다,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blog.naver.com
영어회복제 Pacas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영어회복제Pacas
- 우리동네영어쌤 Alpaca Since 2019. 8. - 채널명을 변경하였습니다~* 올해 1월에 이사를 하고, 공부방을 열어 2월 1일 부터 첫 수업을 진행했어요~ 고3 수강생이 아직 1명이라 강의를 보면 수업 초점이
www.youtube.com
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Positively or negatively, our parents and families are powerful influences on us. But even ①stronger, especially when we're young, are our friends. We often choose friends as a way of ②expanding our sense of identity beyond our families. As a result, the pressure to conform to the standards and expectations of friends and other social groups ③is likely to be intense. Judith Rich Harris, who is a developmental psychologist, ④argues(←arguing) that three main forces shape our development: personal temperament, our parents, and our peers. The influence of peers, she argues, is much stronger than that of parents. “The world ⑤that children share with their peers,” she says, “is what shapes their behavior and modifies the characteristics they were born with, and hence determines the sort of people they will be when they grow up.”
*temperament:기질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우리의 부모와 가족은 우리에게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특히 우리가 어렸을 때, 훨씬 더 강한 영향을 주는 것은 우리의 친구들이다. 가족의 범위를 넘어서 우리의 정체성을 확장하는 방법으로 우리는 친구들을 선택한다. 그 결과, 친구와 다른 사회 집단의 기준과 기대에 부합해야 한다는 압박감이 거세질 가능성이 있다. 발달 심리학자 Judith Rich Harris는 우리의 발달을 형성하는 세 가지 주요한 힘은: 개인적인 기질, 우리의 부모, 우리의 또래들이라고 주장한다. 또래들의 영향은 부모의 영향보다 훨씬 더 강하다고 그녀는 주장한다. “아이들이 그들의 또래들과 공유하는 세상은 그들의 행동을 형성하는 것이고, 그들이 가지고 태어난 특성을 수정하는 것이며, 따라서 그들이 자라서 어떤 사람이 될지를 결정하는 것이다.”라고 그녀는 말한다.
30. (A), (B), (C)의 각 네모 안에서 문맥에 맞는 낱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brain makes up just two percent of our body weight but uses 20 percent of our energy. In newborns, it's no less than 65 percent. That's partly why babies sleep all the time—their growing brains(A)[warn/exhaust]them—and have a lot of body fat, to use as an energy reserve when needed. Our muscles use even more of our energy, about a quarter of the total, but we have a lot of muscle. Actually, per unit of matter, the brain uses by far(B)[more/less]energy than our other organs. That means that the brain is the most expensive of our organs. But it is also marvelously (C)[creative/efficient].Our brains require only about four hundred calories of energy a day—about the same as we get from a blueberry muffin. Try running your laptop for twenty‒four hours on a muffin and see how far you get.
뇌는 몸무게의 2퍼센트만을 차지하지만 우리의 에너지의 20퍼센트를 사용한다. 갓 태어난 아기의 경우, 그 비율은 65 퍼센트에 달한다. 그것은 부분적으로 아기들이 항상 잠을 자고 (뇌의 성장이 그들을 소진시키고), 체지방을 보유하는 이유인데, 필요할 때 보유한 에너지를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근육은 약 4분의 1 정도로 훨씬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많은 근육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실제로, 물질 단위당, 뇌는 다른 기관보다 훨씬 많은 에너지를 사용한다. 그것은 우리 장기 중 뇌가 단연 가장 에너지 소모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그것은 또한 놀랍도록 효율적이다. 뇌는 하루에 약 400칼로리의 에너지만 필요로 하는데, 블루베리 머핀에서 얻는 것과 거의 같다. 머핀으로 24시간 동안 노트북을 작동시켜서 얼마나 가는지 보라.
31.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When reading another scientist's findings, think critically about the experiment. Ask yourself: Were observations recorded during or after the experiment? Do the conclusions make sense? Can the results be repeated? Are the sources of information reliable? You should also ask if the scientist or group conducting the experiment was unbiased. Being unbiased means that you have no special interest in the outcome of the experiment. For example, if a drug company pays for an experiment to test how well one of its new products works, there is a special interest involved: The drug company profits if the experiment shows that its product is effective. Therefore, the experimenters aren't objective. They might ensure the conclusion is positive and benefits the drug company. When assessing results, think about any biases that may be present!
다른 과학자의 실험 결과물을 읽을 때, 그 실험에 대해 비판적으로 생각하라. 당신 자신에게 물어라: 관찰들이 실험 도중에 혹은 후에 기록되었나? 결론이 합리적인가? 그 결과들은 반복될 수 있는가? 정보의 출처는 신뢰할만한가? 당신은 실험을 수행한 그 과학자나 그룹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았는지 역시 물어야 한다.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음은 당신이 실험의 결과로 특별한 이익을 얻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만약 한 제약회사가 그 회사의 새로운 제품 중 하나가 얼마나 잘 작용하는지 시험해보기 위한 실험 비용을 지불한다면, 특별한 이익이 관련된 것이다: 만약 실험이 그 제품이 효과 있음을 보여준다면, 그 제약회사는 이익을 본다. 따라서, 그 실험자들은 객관적이지 않다. 그들은 결론이 제약 회사에 우호적이고 이익을 주도록 보장 할지도 모른다. 결과들을 평가할 때, 있을 수 있는 어떤 치우침에 대해 생각하라!
32.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Humans are champion long‒distance runners. As soon as a person and a chimp start running they both get hot. Chimps quickly overheat; humans do not, because they are much better at shedding body heat. According to one leading theory, ancestral humans lost their hair over successive generations because less hair meant cooler, more effective long‒distance running. That ability let our ancestors outmaneuver and outrun prey. Try wearing a couple of extra jackets—or better yet, fur coats—on a hot humid day and run a mile. Now, take those jackets off and try it again. You'll see what a difference a lack of fur makes.
*shed: 떨어뜨리다 **outmaneuver: ~에게 이기다
인간들은 최고의 장거리 달리기 선수들이다. 한 사람과 침팬지가 달리기를 시작하자마자 그들은 둘 다 더위를 느낀다. 침팬지는 빠르게 체온이 오른다; 인간들은 그렇지 않은데, 그들은 신체 열을 떨어뜨리는 것을 훨씬 잘하기 때문이다. 유력한 한 이론에 따르면, 털이 더 적으면 더 시원하고 장거리 달리기에 더 효과적인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선조들은 잇따른 세대에 걸쳐서 털을 잃었다. 그런 능력은 우리 조상들이 먹잇감을 이기고 앞질러서 달리게 했다. 덥고 습한 날에 여분의 재킷 두 개를―혹은 더 좋게는, 털 코트를―입는 것을 시도하고 1마일을 뛰어라. 이제, 그 재킷을 벗고 다시 시도하라. 당신은 털의 부족이 만드는 차이점이 무엇인지 알 것이다.
33.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Recently I was with a client who had spent almost five hours with me. As we were parting for the evening, we reflected on what we had covered that day. Even though our conversation was very collegial, I noticed that my client was holding one leg at a right angle to his body, seemingly wanting to take off on its own. At that point I said, “You really do have to leave now, don't you?” “Yes,” he admitted. “I am so sorry. I didn't want to be rude but I have to call London and I only have five minutes!” Here was a case where my client's language and most of his body revealed nothing but positive feelings. His feet, however, were the most honest communicators, and they clearly told me that as much as he wanted to stay, duty was calling.
* collegial: 평등하게 책임을 지는
최근에 나는 나와 거의 5시간을 보낸 고객과 함께 있었다. 저녁을 위해 헤어지면서, 우리는 그날 다룬 내용을 되새겼다. 비록 우리의 대화가 매우 평등했음에도 불구하고, 나는 나의 고객이 한쪽 다리를 그의 몸에 직각으로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챘는데, 외견상 (한 쪽 다리가) 혼자서 급히 서둘러 떠나고 싶어 하는 것 같았다. 그 때 나는 “지금 정말 떠나야 하죠, 그렇지 않나요?”라고 말했다. “네.”라고 그는 인정했다. “정말 미안합니다. 무례하게 굴고 싶지는 않았지만 런던에 전화해야 하는데 시간이 5분밖에 없어요!” 여기서 내 의뢰인의 언어와 그의 몸의 대부분은 긍정적인 감정만을 드러내고 있었다. 그러나 그의 발은 가장 정직한 의사 전달자였고 그것들은 그가 남아있고 싶은 만큼이나, 해야 할 일이 있어 떠나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나타냈다.
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One of the main reasons that students may think they know the material, even when they don't, is that they mistake familiarity for understanding. Here is how it works: You read the chapter once, perhaps highlighting as you go. Then later, you read the chapter again, perhaps focusing on the highlighted material. As you read it over, the material is familiar because you remember it from before, and this familiarity might lead you to think, “Okay, I know that.” The problem is that this feeling of familiarity is not necessarily equivalent to knowing the material and may be of no help when you have to come up with an answer on the exam. In fact, familiarity can often lead to errors on multiple‒choice exams because you might pick a choice that looks familiar, only to find later that it was something you had read, but it wasn't really the best answer to the question.
*equivalent: 동등한
자료의 내용은 알지 못할 때 조차도, 학생들이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주된 이유 중 하나는 친숙함을 이해하는 것으로 착각하기 때문이다. 그것이 작동하는 방식이 여기 있다: 당신은 읽을 때 아마도 (중요한 것을) 눈에 띄게 표시하면서, 그 장을 한 번 읽는다. 그러고 나서 나중에, 아마도 눈에 띄게 표시된 자료에 집중하면서, 그 장을 다시 읽는다. 그것을 거듭 읽어서, 이전에 읽은 것으로부터 그것을 기억하기 때문에 소재가 친숙하고, 이러한 친숙함으로 인해 “좋아, 그것을 알겠어.”라고 생각하게 될지도 모른다. 문제는 이런 친숙한 느낌이 반드시 자료를 아는 것과 같은 것은 아니며 시험에서 답을 생각해내야 할 때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사실, 익숙해 보이는 선택지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친숙함은 종종 선다형 시험에서 오류를 일으킬 수 있는데, 결국 나중에 알게 된 것은 당신이 읽었던 것인데, 하지만 사실 그 질문에 대한 가장 좋은 해답은 아니었다는 것이다.
35.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Given the widespread use of emoticons in electronic communication, an important question is whether they help Internet users to understand emotions in online communication. ①Emoticons, particularly character‒based ones, are much more ambiguous relative to face‒to face cues and may end up being interpreted very differently by different users. ②Nonetheless, research indicates that they are useful tools in online text‒based communication. ③One study of 137 instant messaging users revealed that emoticons allowed users to correctly understand the level and direction of emotion, attitude, and attention expression and that emoticons were a definite advantage in nonverbal communication. (④In fac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⑤Similarly, another study showed that emoticons were useful in strengthening the intensity of a verbal message, as well as in the expression of sarcasm.
*ambiguous: 모호한 **verbal: 언어적인 ***sarcasm: 풍자
전자 통신에서 이모티콘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중요한 문제는 인터넷 사용자들이 온라인상의 의사소통에서 감정을 이해하는데 그것들이 도움을 주는가의 여부이다. 이모티콘, 특히 문자에 기반한 것들은, 면대면을 통한 단서에 비해 훨씬 더 모호하며 결국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매우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는 그것들이 온라인상의 텍스트 기반 의사소통에서 유용한 도구라는 것을 보여준다. 137명의 인스턴트 메시지(실시간 텍스트 통신)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이모티콘이 사용자들로 하여금 감정, 태도, 주의력 표현의 정도와 방향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해주고 이모티콘이 비언어적 의사소통에서 확실한 장점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사실,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마찬가지로, 또 다른 연구는 이모티콘이 풍자의 표현에서 뿐만 아니라, 언어적 메시지의 강도를 강화하는 데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