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모의고사 자료/고1

2020년 3월 고1 모의고사 본문영작연습 / 본문해석연습

우리동네영어쌤 Alpaca 2020. 7. 23. 09:54
반응형

2003 고1 EF003 본문영작연습.pdf
1.06MB
2003 고1 EF004 본문해석연습.pdf
1.52MB

 

영어농장 모의고사 자료

EF000 좌본우해

EF001 어휘정리

EF002 본문 한줄해석

EF003 본문영작연습

EF004 본문해석연습

EF005 내용일치

EF006 글의순서

EF007 문장삽입

EF008 어법어휘선택

EF01 종합변형문제

EF02 워크북 (EF002, EF005~8 합본)

 

전체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파카의 영어농장 http://cafe.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 네이버 카페

고등부 학생들, 고등부 선생님들께 필요한 모의고사 위주의 자료를 제공하는 영어카페입니다.

cafe.naver.com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쌤의 영어교실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학생은 없다,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blog.naver.com

 

영어회복제 Pacas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영어회복제Pacas

- 우리동네영어쌤 Alpaca Since 2019. 8. - 채널명을 변경하였습니다~* 올해 1월에 이사를 하고, 공부방을 열어 2월 1일 부터 첫 수업을 진행했어요~ 고3 수강생이 아직 1명이라 강의를 보면 수업 초점이

www.youtube.com

 


 

32.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Although many small businesses have excellent websites, they typically can't afford aggressive online campaigns. One way to get the word out is through an advertising exchange, in which advertisers place banners on each other's websites for free. For example, a company selling beauty products could place its banner on a site that sells women's shoes, and in turn, the shoe company could put a banner on the beauty product site. Neither company charges the other; they simply exchange ad space. Advertising exchanges are gaining in popularity, especially among marketers who do not have much money and who don't have a large sales team. By trading space, advertisers find new outlets that reach their target audiences that they would not otherwise be able to afford.

*aggressive: 매우 적극적인 **out let: 출구

비록 많은 작은 사업체가 훌륭한 웹사이트를 가지고 있지만, 그들은 보통 매우 적극적인 온라인 캠페인을 할 여유가 없다. 소문나게 하는 한 가지 방법은 광고주들이 서로의 웹사이트에 무료로 배너를 게시하는 광고 교환을 통해서이다. 예를 들어, 미용 제품을 판매하는 회사는 여성 신발을 판매하는 사이트에 자신의 배너를 게시할 수 있고, 그 다음에는 그 신발 회사가 미용 제품 사이트에 배너를 게시할 수 있다. 두 회사 모두 상대에게 비용을 청구하지 않는데, 그들은 그저 광고 공간을 교환하는 것이다. 광고 교환은 인기를 얻고 있는데, 특히 돈이 많지 않거나 대규모 영업팀이 없는 마케팅 담당자들 사이에서 그러하다. 공간을 교환함으로써, 광고주들은 그러지 않으면 접촉할 여유가 없는 자신의 목표 접속자와 접촉할 수 있는 새로운 (광고의) 출구를 찾는다.

 

33.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Motivation may come from several sources. It may be the respect I give every student, the daily greeting I give at my classroom door, the undivided attention when I listen to a student, a pat on the shoulder whether the job was done well or not, an accepting smile, or simply “I love you” when it is most needed. It may simply be asking how things are at home. For one student considering dropping out of school, it was a note from me after one of his frequent absences saying that he made my day when I saw him in school. He came to me with the note with tears in his eyes and thanked me. He will graduate this year. Whatever technique is used, the students must know that you care about them. But the concern must be genuine the students can't be fooled.

동기 부여는 여러 원천에서 올 수 있다. 그것은 내가 모든 학생에게 하는 존중, 교실 문에서 매일 하는 인사, 학생의 말을 들을 때의 완전한 집중, 일을 잘 했든 못 했든 해주는 어깨 토닥임, 포용적인 미소, 혹은 사랑해라는 말이 가장 필요할 때 그저 그 말을 해주는 것일 수도 있다. 그것은 그저 집에 별일이 없는지를 물어보는 것일지도 모른다. 학교를 중퇴하는 것을 고려하던 한 학생에게, 그것은 그 학생의 잦은 결석 중 어느 한 결석 후에 그 학생을 학교에서 보니 매우기뻤다고 쓴 나의 짧은 편지였다. 그 학생은 눈물을 글썽이며 그 편지를 들고 내게 와서 고맙다고 했다. 그 학생은 올해 졸업할 것이다. 어떤 기법이 사용되든, 학생들은 여러분이 그들에 대해 신경 쓴다는 것을 틀림없이 알 것이다. 그런데 그 관심은 진심이어야 하는데 학생들이 속을 리가 없기 때문이다.

 

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Say you normally go to a park to walk or work out. Maybe today you should choose a different park. Why? Well, who knows? Maybe it's because you need the connection to the different energy in the other park. Maybe you'll run into people there that you've never met before. You could make a new best friend simply by visiting a different park. You never know what great things will happen to you until you step outside the zone where you feel comfortable. If you're staying in your comfort zone and you're not pushing yourself past that same old energy, then you're not going to move forward on your path. By forcing yourself to do something different, you're awakening yourself on a spiritual level and you're forcing yourself to do something that will benefit you in the long run. As they say, variety is the spice of life.

보통 어떤 공원에 산책이나 운동을 하러 간다고 하자. 어쩌면 오늘 여러분은 다른 공원을 선택하는 편이 좋겠다. ? 글쎄, 누가 알겠는가? 어쩌면 여러분이 다른 공원에서 다른 기운과 연결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일 것이다. 어쩌면 여러분은 거기서 전에 만난 적이 없는 사람들을 만나게 될 것이다. 여러분은 그저 다른 공원을 방문함으로써 새로운 가장 친한 친구를 사귈 수 있다. 여러분이 편안함을 느끼는 지대 밖으로 나가고 나서야 비로소 자신에게 어떤 대단한 일이 일어날지 안다. 여러분이 안락지대에 머무르고 있고, 자신을 밀어붙여 늘 똑같은 기운에서 벗어나도록 하지 않는다면, 자신의 진로에서 앞으로 나아가지 못할 것이다. 자신에게 다른 어떤 것을 하게 만듦으로써, 여러분은 영적인 차원에서 자신을 깨우치고, 결국에는 자신을 이롭게 할 어떤 일을 자신이 하게 하고 있다. 사람들이 말하듯이, 다양성은 인생의 향신료이다.

 

35.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Ideas about how much disclosure is appropriate vary among cultures.

(B) Those born in the United States tend to be high disclosers, even showing a willingness to disclose information about themselves to strangers. This may explain why Americans seem particularly easy to meet and are good at cocktail­party conversation.

(A) On the other hand, Japanese tend to do little disclosing about themselves to others except to the few people with whom they are very close. In general, Asians do not reach out to strangers.

(C) They do, however, show great care for each other, since they view harmony as essential to relationship improvement. They work hard to prevent those they view as outsiders from getting information they believe to be unfavorable.

*disclosure: (정보의)공개

 

얼마나 많은 정보를 공개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관한 생각은 문화마다 다르다. (B) 미국에서 태어난 사람들은 정보를 잘 공개하려는 경향이 있고, 자기 자신에 관한 정보를 낯선 이에게 기꺼이 공개하려는 의향을 보이기까지 한다. 이것은 왜 미국인들을 만나는 것이 특히 쉬워 보이는지와 그들이 칵테일 파티에서의 대화에 능숙한지를 설명할 수 있다. (A) 반면에, 일본인들은 자신과 매우 친한 소수의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타인에게 자신에 관한 정보를 거의 공개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 아시아인들은 낯선 이에게 관심을 내보이지 않는다. (C) 그러나 그들은 조화를 관계 발전에 필수적이라고 간주하기 때문에 서로를 매우 배려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들은 자신이 불리하다고 생각하는 정보를 외부인이라고 간주되는 사람들이 얻지 못하도록 열심히 노력한다.

 

36.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A god called Moinee was defeated by a rival god called Dromerdeener in a terrible battle up in the stars. Moinee fell out of the stars down to Tasmania to die.

(C) Before he died, he wanted to give a last blessing to his final resting place, so he decided to create humans. But he was in such a hurry, knowing he was dying, that he forgot to give them knees; and he absent­mindedly gave them big tails like kangaroos, which meant they couldn't sit down.

(B) Then he died. The people hated having kangaroo tails and no knees, and they cried out to the heavens for help. Dromerdeener heard their cry and came down to Tasmania to see what the matter was.

(A) He took pity on the people, gave them bendable knees and cut off their inconvenient kangaroo tails so they could all sit down at last. Then they lived happily ever after.

Moinee라는 신이 하늘 위 별에서 벌어진 끔찍한 전투에서 경쟁하는 신 Dromerdeener에게 패배했다. Moinee는 별에서 Tasmania로 떨어져 죽었다. (C) 죽기 전에 그는 최후의 안식처에 마지막 축복을 해주고 싶어서 인간을 창조하기로 결심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이 죽어가고 있다는 것을 알고 매우 서둘러서 그들에게 무릎을 만들어 주는 것을 잊었고, 아무 생각 없이 캥거루처럼 큰 꼬리를 만들어 주었는데, 그것은 그들이 앉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했다. (B) 그러고 나서 그는 죽었다. 사람들은 캥거루 같은 꼬리가 있고 무릎이 없는 것을 싫어했고, 도움을 얻고자 하늘에 외쳤다. Dromerdeener는 그들의 외침을 듣고 무엇이 문제인지 보려고 Tasmania로 내려왔다. (A) 그는 사람들을 불쌍히 여겨서 그들에게 구부러지는 무릎을 만들어 주고, 마침내 그들이 앉을 수 있도록 불편한 캥거루 같은 꼬리를 잘라 냈다. 그 후 그들은 영원히 행복하게 살았다.

 

37.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There are some cultures that can be referred to as “people who live outside of time.” The Amondawa tribe, living in Brazil, does not have a concept of time that can be measured or counted. ( ) Rather they live in a world of serial events, rather than seeing events as being rooted in time. ( ) Researchers also found that no one had an age. ( ) Instead, they change their names to reflect their stage of life and position within their society, so a little child will give up their name to a newborn sibling and take on a new one. ( ) In the U.S. we have so many metaphors for time and its passing that we think of time as “a thing,” that is “the weekend is almost gone,” or “I haven't got the time.” We think such statements are objective, but they aren't. ( ) We create these metaphors, but the Amondawa don't talk or think in metaphors for time.

*metaphor: 은유 **sibling: 형제자매

시간 밖에서 사는 사람들이라고 부를 수 있는 일부문화가 있다. 브라질에 사는 Amondawa 부족에게는 측정되거나 셀 수 있는 시간이라는 개념이 없다. 오히려 그들은 사건이 시간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간주하기보다는 연속되는 사건의 세상에서 산다. 연구자들은 또한 나이가 있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는 것을 알아냈다. 대신에 그들은 자신들의 생애 단계와 사회 내 위치를 반영하기 위해 이름을 바꾸어서 어린아이는 자신의 이름을 갓 태어난 형제자매에게 넘겨주고 새로운 이름을 갖는다. 미국에는 시간과 시간의 흐름에 관한 매우 많은 은유가 있어서 우리는 시간을 물건으로 간주하는데, 주말이 거의 다 지나갔다.”라거나 나는 시간이 없다.”라는 식이다. 우리는 그러한 말들이 객관적이라고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우리는 이런 은유를 만들어 내지만, Amondawa 사람들은 시간에 대한 은유로 말하거나 생각하지 않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