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모의고사 자료

2019년 3월 고1 모의고사 Workbook 나눔자료

우리동네영어쌤 Alpaca 2020. 8. 3. 11:30
반응형

1903 고1 sEF01 Work Book 나눔자료.pdf
3.89MB

 

워크북 나눔 자료입니다.

전체 내용은 영어농장 카페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쌤의 영어교실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학생은 없다,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blog.naver.com

 

영어회복제 Pacas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영어회복제Pacas

- 우리동네영어쌤 Alpaca Since 2019. 8. - 채널명을 변경하였습니다~* 올해 1월에 이사를 하고, 공부방을 열어 2월 1일 부터 첫 수업을 진행했어요~ 고3 수강생이 아직 1명이라 강의를 보면 수업 초점이

www.youtube.com

 


33.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A lovely technique for helping children take the first steps towards creating their own, unique story, is to ask them to help you complete a story before you tell it. One story I have done this with frequently is a tale I call Benno and the Beasts. It is based on a story called St. Benno and the Frog, found in an old book by Helen Waddell. In the original, the saint meets a frog in a marsh and tells it to be quiet in case it disturbs his prayers. Later, he regrets this, in case God was enjoying listening to the sound of the frog. I invite children to think of different animals for the saint to meet and different places for him to meet them. I then tell them the story including their own ideas. It is a most effective way of involving children in the art of creating stories and they love hearing their ideas used.

*marsh:

아이들로 하여금 자신만의 독특한 이야기를 창작하도록 첫 걸음을 내딛게 하는 데 도움이 되는 멋진 기법은 그들에게 여러분이 이야기를 들려주기 전에 그것을 완성하는 것을 도와 달라고 요청하는 것이다. 내가 흔히 이 기법을 사용해 본 이야기는 내가 Benno and the Beasts라고 부르는 이야기이다. 그것은 Helen Waddell이 쓴 오래된 책에 들어 있는 St. Benno and the Frog이라는 이야기를 기반으로 한다. 원작에서는 그 성자가 늪에 사는 개구리 한 마리를 만나서 자신의 기도를 방해할 수 있으니 개구리에게 조용히 하라고 말한다. 나중에 그는 신이 그 개구리의 소리를 듣는 것을 즐기고 있었을 수도 있었으니 이렇게 말한 것을 후회한다. 나는 아이들로 하여금 그 성자가 만날 여러 다른 동물과 그가 그 동물들을 만날 여러 다른 장소를 생각해 보라고 권한다. 그러고 나서 나는 그들에게 그들 자신의 생각을 포함하고 있는 그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것은 아이들을 이야기를 창작하는 기술에 참여시키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고, 그들은 자신의 생각이 사용된 것을 듣는 것을 아주 좋아한다.

 

34.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It is difficult to know how to determine whether one culture is better than another. What is the cultural rank order of rock, jazz, and classical music? When it comes to public opinion polls about whether cultural changes are for the better or the worse, looking forward would lead to one answer and looking backward would lead to a very different answer. Our children would be horrified if they were told they had to go back to the culture of their grandparents. Our parents would be horrified if they were told they had to participate in the culture of their grandchildren. Humans tend to like what they have grown up in and gotten used to. After a certain age, anxieties arise when sudden cultural changes are coming. Our culture is part of who we are and where we stand, and we don't like to think that who we are and where we stand are short­lived.

한 문화가 다른 문화보다 나은지를 결정하는 방법을 알기는 어렵다. , 재즈, 고전 음악의 문화적인 순위는 어떻게 될까? 문화적 변화가 더 나아지는 것인지 더 나빠지는 것인지에 관한 여론 조사에 관한 한, 앞을 내다보는 것과 뒤돌아보는 것은 아주 다른 대답으로 이어진다. 우리 아이들은 조부모의 문화로 되돌아가야 한다는 말을 들으면 겁이 날 것이다. 우리 부모님은 손주의 문화에 참여해야 한다고 들으면 겁이 날 것이다. 인간은 자신이 자라고 익숙해진 것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 특정한 나이 이후에는 갑작스러운 문화적 변화가 다가오고 있을 때 불안감이 생긴다. 우리 문화는 우리의 정체성과 우리의 입지의 일부이고, 우리는 우리의 정체성과 우리의 입지가 오래가지 못한다고 생각하고 싶어 하지 않는다.

 

35.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Public speaking is audience centered because speakers “listen” to their audiences during speeches. They monitor audience feedback, the verbal and nonverbal signals an audience gives a speaker. Audience feedback often indicates whether listeners understand, have interest in, and are ready to accept the speaker's ideas. This feedback assists the speaker in many ways. It helps the speaker know when to slow down, explain something more carefully, or even tell the audience that she or he will return to an issue in a question­and­answer session at the close of the speech. (It is important for the speaker to memorize his or her script to reduce on­stage anxiety.) Audience feedback assists the speaker in creating a respectful connection with the audience.

*verbal: 언어적인

연사들은 연설하는 동안 청중에게 귀 기울이기때문에 대중 연설은 청중 중심이다. 그들은 청중의 피드백, 즉 청중이 연사에게 주는 언어적, 비언어적 신호를 주시한다. 청중의 피드백은 흔히 청중들이 연사의 생각을 이해하고, 관심을 갖고, 받아들일 준비가 되었는지를 보여 준다. 이 피드백은 연사를 여러모로 도와준다. 그것은 연사가 언제 속도를 늦출지, 언제 무언가를 더 주의해서 설명할지, 혹은 언제 연설의 끝에 있는 질의응답 시간에 어떤 주제로 되돌아 갈 것이라고 청중에게 말을 할지까지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무대 불안을 줄이기 위해 연사가 자신의 원고를 암기하는 것이 중요하다.) 청중의 피드백은 연사가 청중과 존중하는 관계를 만드는 것을 도와준다.

 

36.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The basic difference between an AI robot and a normal robot is the ability of the robot and its software to make decisions, and learn and adapt to its environment based on data from its sensors.

(C)To be a bit more specific, the normal robot shows deterministic behaviors. That is, for a set of inputs, the robot will always produce the same output.

(A)For instance, if faced with the same situation, such as running into an obstacle, then the robot will always do the same thing, such as go around the obstacle to the left. An AI robot, however, can do two things the normal robot cannot: make decisions and learn from experience.

(B)It will adapt to circumstances, and may do something different each time a situation is faced. The AI robot may try to push the obstacle out of the way, or make up a new route, or change goals.

*deterministic: 결정론적인

AI 로봇과 보통 로봇의 기본적 차이는 센서로부터 얻는 데이터에 기반하여 결정을 내리고, 학습하여 환경에 적응하는 로봇과 그것의 소프트웨어의 능력이다. (C)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해서 보통 로봇은 결정론적인(이미 정해진) 행동을 보인다. 다시 말해, 일련의 입력에 대해 그 로봇은 항상 똑같은 결과를 만들 것이다. (A) 예를 들어, 장애물을 우연히 마주치는 것과 같이 동일한 상황에 직면한다면 그 로봇은 그 장애물을 왼쪽으로 돌아서 가는 것과 같이 항상 똑같은 행동을 할 것이다. 하지만 AI 로봇은 보통 로봇이 할 수 없는 두 가지, , 결정을 내리고 경험으로부터 학습하는 것을 할 수 있다. (B) 그것은 환경에 적응할 것이고, 어떤 상황에 직면할 때마다 다른 행동을 할 수 있다. AI 로봇은 경로에서 장애물을 밀어내거나 새로운 경로를 만들거나 목표를 바꾸려고 할 수도 있다.

 

37.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Collaboration is the basis for most of the foundational arts and sciences.

(B)It is often believed that Shakespeare, like most playwrights of his period, did not always write alone, and many of his plays are considered collaborative or were rewritten after their original composition. Leonardo Da Vinci made his sketches individually, but he collaborated with other people to add the finer details.

(A)For example, his sketches of human anatomy were a collaboration with Marcantonio della Torre, an anatomist from the University of Pavia. Their collaboration is important because it marries the artist with the scientist.

(C)Similarly, Marie Curie's husband stopped his original research and joined Marie in hers. They went on to collaboratively discover radium, which overturned old ideas in physics and chemistry.

*anatomy: 해부학적 구조

협업은 대부분의 기초 예술과 과학의 기반이다. (B) 셰익스피어는, 당대 대부분의 극작가처럼, 늘 혼자 작품을 썼던 것은 아니라고 흔히 믿어지고, 그의 희곡 중 다수가 협업을 한 것으로 여겨지거나 최초의 창작 후에 개작되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혼자서 스케치를 그렸지만, 더 세밀한 세부 묘사를 더 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 협업했다. (A) 예를 들어, 인체의 해부학적 구조를 그린 그의 스케치는 Pavia 대학의 해부학자인 Marcantonio della Torre와 협업한 것이었다. 그들의 협업은 예술가와 과학자가 결합한 것이어서 중요하다. (C) 마찬가지로, Marie Curie의 남편은 원래 자신이 하던 연구를 중단하고 Marie의 연구를 함께 했다. 그들은 더 나아가 협업으로 라듐을 발견했고, 그것은 물리학과 화학에서의 기존 개념들을 뒤집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