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9월 고1 고2 모의고사 변형문제 [글의순서] [문장삽입]
아래 파일은 로고가 없습니다.
※ 본자료는 각 3회차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타 사이트에 무단 전제시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본 자료는 PDF로만 제공하며 로고는 없습니다.
※ 본 자료는 내신 대비 자료로 본문의 흐름을 정확히 익히고 있는지에 초점을 두어 제작되었으므로 평가원에서 구성하는 순서, 삽입의 메커니즘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은, 즉 개연성이 없는 문항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본 자료는 유료로 판매 되고 있으며, 판매 사이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자료는 학년별 각 2,900원>
2209 고1 글의순서/문장삽입 https://www.moby-dick.wiki/mobydick/kor/mock/listBoard1_1.php?pageMode=view&boardId=3386
2209 고2 글의순서/문장삽입 https://www.moby-dick.wiki/mobydick/kor/mock/listBoard1_1.php?pageMode=view&boardId=3387
자료를 많이 구매해주시면 추후 변형문제를 제작할 수 있는 큰 힘이 됩니다.
In a society that rejects the consumption of insects there are some individuals who overcome this rejection, but most will continue with this attitude. It may be very difficult to convince an entire society that insects are totally suitable for consumption. However, there are examples in which this reversal of attitudes about certain foods has happened to an entire society. Several examples in the past 120 years from European-American society are: considering lobster a luxury food instead of a food for servants and prisoners; considering sushi a safe and delicious food; and considering pizza not just a food for the rural poor of Sicily. In Latin American countries, where insects are already consumed, a portion of the population hates their consumption and associates it with poverty. There are also examples of people who have had the habit of consuming them and abandoned that habit due to shame, and because they do not want to be categorized as poor or uncivilized. According to Esther Katz, an anthropologist, if the consumption of insects as a food luxury is to be promoted, there would be more chances that some individuals who do not present this habit overcome ideas under which they were educated. And this could also help to revalue the consumption of insects by those people who already eat them.
곤충 섭취를 거부하는 사회에서는 이러한 거부를 극복한 몇몇 개인들이 있지만, 대부분은 이러한 태도를 지속할 것이다. 곤충이 섭취에 완전히 적합하다는 것을 전체 사회에 납득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울지도 모른다. 하지만, 특정 음식에 대한 이러한 태도의 역전이 전체 사회에 발생해 온 사례들이 있다. 지난 120년간 유럽-아메리카 사회로부터의 몇몇 사례는 로브스터를 하인과 죄수용 음식 대신에 고급진 음식으로 여기는 것, 초밥을 안전하고 맛있는 음식으로 여기는 것, 그리고 피자를 단지 시칠리아 시골의 가난한 사람용 음식으로 여기지 않는 것이다. 곤충이 이미 섭취되는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에서는 인구의 일부는 그들의 섭취를 싫어하고 그것을 빈곤과 연관 짓는다. 그것을 섭취하는 습관이 있어 왔으나 수치심 때문에 그리고 그들은 가난하거나 미개하다고 분류되고 싶지 않았기 때문에 그 습관을 버린사람들의 사례들 또한 있다. 인류학자인 Esther Katz에 따르면, 만약 음식 호사로서의 곤충 섭취가 장려된다면, 이러한 습관을 보이지 않은 몇몇 개인들이 그들이 교육받았던 생각을 극복할 가능성이 더 많을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또한 이미 그것을 먹고 있는 그 사람들에 의한 곤충의 섭취를 재평가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A boy had a place at the best school in town. In the morning, his granddad took him to the school. When he went onto the playground with his grandson, the children surrounded them. “What a funny old man,” one boy smirked. A girl with brown hair pointed at the pair and jumped up and down. Suddenly, the bell rang and the children ran off to their first lesson.
한 소년이 마을에 있는 가장 좋은 학교에 한 자리를 얻었다. 아침에 그의 할아버지는 그를 학교에 데리고 갔다. 그가 그의 손자와 함께 운동장으로 들어갔을 때, 아이들이 그들을 둘러쌌다. “진짜 우스꽝스러운 할아버지다.”라며 한 소년이 히죽히죽 웃었다. 갈색 머리 소녀가 그 둘(노인과 소년)을 향해 손가락질하며 위아래로 뛰었다. 갑자기 종이 울렸고, 아이들이 그들의 첫 수업에 급히 뛰어갔다.
The old man took his grandson firmly by the hand, and led him out of the school gate. “Brilliant, I don't have to go to school!” the boy exclaimed. “You do, but not this one,” his granddad replied. “I'll find you a school myself.” Granddad took his grandson back to his own house, asked grandma to look after him, and went off to look for a teacher himself. Every time he spotted a school, the old man went onto the playground, and waited for the children to come out at break time.
노인은 손자의 손을 꽉 잡고, 그를 교문 밖으로 데리고 나갔다. “굉장한 걸, 나 학교에 가지 않아도 되네!”라고 소년이 소리쳤다. “가긴 가야지, 그렇지만 이 학교는 아니야.”라고 할아버지가 대답했다. “내가 직접 네게 학교를 찾아주마.” 할아버지는 손자를 집으로 데리고 돌아가 할머니에게 그를 돌봐달라고 하고 나서, 그 자신이 선생님을 찾아 나섰다. 학교를 발견할 때마다, 노인은 운동장으로 들어가서 아이들이 쉬는 시간에 나오기를 기다렸다.
In some schools the children completely ignored the old man and in others, they made fun of him. When this happened, he would turn sadly and go home. Finally, he went onto the tiny playground of a very small school, and leant against the fence, exhausted. The bell rang, and the crowd of children ran out onto the playground. “Sir, are you all right? Shall I bring you a glass of water?” a voice said. “We've got a bench in the playground ― come and sit down,” another voice said. Soon a young teacher came out onto the playground.
몇몇 학교에서는 아이들이 노인을 완전히 무시했고, 다른 학교들에서는 아이들이 그를 놀렸다. 이런 일이 일어났을 때, 그는 슬프게 돌아서서 집으로 가곤 했다. 마침내, 그는 매우 작은 한 학교의 아주 작은 운동장으로 들어섰고, 지쳐서 울타리에 기댔다. 종이 울렸고, 아이들의 무리가 운동장으로 달려 나왔다. “할아버지, 괜찮으세요? 물 한 잔 가져다드릴까요?” 누군가가 말했다. “우리 운동장에 벤치가 있어요―오셔서 앉으세요.” 또 다른 누군가가 말했다. 곧 한 젊은 선생님이 운동장으로 나왔다.
The old man greeted him and said: “Finally, I've found my grandson the best school in town.” “You're mistaken, sir. Our school is not the best ― it's small and cramped.” The old man didn't argue with the teacher. Instead, he made arrangements for his grandson to join the school, and then the old man left. That evening, the boy's mom said to him: “Dad, you can't even read. How do you know you've found the best teacher of all?” “Judge a teacher by his pupils,” the old man replied.
노인은 그에게 인사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마침내, 제가 제 손자에게 마을 최고의 학교를 찾아주었네요.” “잘못 아신 겁니다, 어르신. 우리 학교는 최고가 아니에요―작고 비좁은걸요.” 노인은 선생님과 논쟁을 벌이지 않았다. 대신, 그는 손자가 그 학교에 다닐 수 있도록 준비해주고, 그런 다음에 노인은 떠났다. 그날 저녁, 소년의 어머니는 그에게 말했다. “아버지, 글을 읽을 줄도 모르시잖아요. 최고의 선생님을 찾았다는 것을 어떻게 아세요?” “선생님은 그 제자를 보고 판단해야 해.”라고 노인이 대답했다.
The driver of FOMO (the fear of missing out) is the social pressure to be at the right place with the right people, whether it's from a sense of duty or just trying to get ahead, we feel obligated to attend certain events for work, for family and for friends. This pressure from society combined with FOMO can wear us down. According to a recent survey, 70 percent of employees admit that when they take a vacation, they still don't disconnect from work. Our digital habits, which include constantly checking emails, and social media timelines, have become so firmly established, it is nearly impossible to simply enjoy the moment, along with the people with whom we are sharing these moments.
JOMO (the joy of missing out) is the emotionally intelligent antidote to FOMO and is essentially about being present and being content with where you are at in life. You do not need to compare your life to others but instead, practice tuning out the background noise of the “shoulds” and “wants” and learn to let go of worrying whether you are doing something wrong. JOMO allows us to live life in the slow lane, to appreciate human connections, to be intentional with our time, to practice saying “no,” to give ourselves “tech-free breaks,” and to give ourselves permission to acknowledge where we are and to feel emotions. Instead of constantly trying to keep up with the rest of society, JOMO allows us to be who we are in the present moment. When you free up that competitive and anxious space in your brain, you have so much more time, energy, and emotion to conquer your true priorities.
FOMO(소외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의 동기는 적재적소에 있어야 한다는 사회적 압박인데, 그것이 의무감으로부터 오는 것이든지 또는 앞서 나가려는 것에서 오는 것이든지 간에, 우리는 직장, 가족, 친구를 위해서 어떤 행사에 참석해야만 한다는 의무감을 느낀다. FOMO와 결합된 사회로부터의 이러한 압박은 우리를 지치게 할 수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직원들 중 70%는 휴가를 가서도 여전히 직장에서 단절되지는 않는다고 인정했다. 끊임없이 이메일, 소셜 미디어 타임라인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 디지털 습관은 아주 굳어져서, 그 순간을 나누고 있는 사람들과 그저 즐기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JOMO(소외되는 것에 대한 즐거움)는 FOMO에 대한 정서적으로 현명한 해독제이고, 본질적으로 현재에 있으면서 당신이 현재의 삶 속에서 만족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당신은 다른 사람들과 자신의 삶을 비교할 필요가 없다. 대신에, “해야 하는 것”과 “원하는 것”의 배경 소음을 없애는 연습을 하고, 당신 행동의 옳고 그름에 대한 걱정을 버리는 법을 배워라. JOMO는 느리게 가는 삶을 살도록 해주고, 인간관계의 연결을 이해하며, 당신의 시간에 대해서 의도를 갖고, “아니오”라고 말하는 연습을 하고, 자신에게 “기기에서 벗어나는 시간”을 주며, 당신이 현재 있는 곳을 인식하고 감정을 느낄 수 있도록 스스로에게 허락해준다. 나머지 사회를 따라잡으려고 끊임없이 애쓰는 대신에, JOMO는 현재 이 순간에 우리 자신이 될 수 있도록 해 준다. 당신이 뇌 속 경쟁적이고 걱정스러운 공간을 벗어날때, 당신은 더욱더 많은 시간, 에너지와 감정을 갖고 당신의 진정한 우선순위를 얻을 수 있다.
There was a very wealthy man who was bothered by severe eye pain. He consulted many doctors and was treated by several of them. He did not stop consulting a galaxy of medical experts; he was heavily medicated and underwent hundreds of injections. However, the pain persisted and was worse than before. At last, he heard about a monk who was famous for treating patients with his condition. Within a few days, the monk was called for by the suffering man.
심한 눈 통증으로 괴로워하는 부자가 있었다. 그는 많은 의사와 상담을 했고, 그들 중 여러 명에게 치료받았다. 그는 수많은 의료 전문가들과 상담하는 것을 멈추지 않았다. 그는 많은 약물을 복용했고 주사를 수백 번 맞았다. 하지만 통증은 지속되었고 전보다 심해졌다. 결국 그는 그와 같은 상태의 환자들을 치료하는 것으로 유명한 한 수도사에 대해 듣게 되었다. 며칠 후, 그 고통받는 남자는 수도사를 불러들였다.
The monk understood the wealthy man's problem and said that for some time he should concentrate only on green colours and not let his eyes see any other colours. The wealthy man thought it was a strange prescription, but he was desperate and decided to try it. He got together a group of painters and purchased barrels of green paint and ordered that every object he was likely to see be painted green just as the monk had suggested.
수도사는 그 부자의 문제를 이해하였고 일정 시간 동안 그는 녹색에만 집중하고 그의 눈이 다른 색을 보게 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부자는 그것이 이상한 처방이라고 생각했지만, 절박해서 그것을 시도하기로 하였다. 그는 페인트공들을 불러 모았고 녹색 페인트를 많이 구매하여 수도사가 제안한 대로 그가 보게 될 모든 물체를 녹색으로 칠하라고 지시했다.
In a few days everything around that man was green. The wealthy man made sure that nothing around him could be any other colour. When the monk came to visit him after a few days, the wealthy man's servants ran with buckets of green paint and poured them all over him because he was wearing red clothes. He asked the servants why they did that.
며칠 후 그 남자 주변의 모든 것은 녹색이 되었다. 부자는 그의 주변의 어떤 것도 다른 색이 되지 않도록 확실히 하였다. 며칠 후 수도사가 그를 찾아왔을 때, 그는 붉은 옷을 입고 있었기 때문에 부자의 하인들은 녹색 페인트통을 들고 달려와서 그의 몸 전체에 부었다. 그는 하인들에게 왜 그들이 그것을 했는지를 물었다.
They replied, “We can't let our master see any other colour.” Hearing this, the monk laughed and said “If only you had purchased a pair of green glasses for just a few dollars, you could have saved these walls, trees, pots, and everything else and you could have saved a large share of his fortune. You cannot paint the whole world green.”
그들은 대답했다, “우리는 주인이 다른 어떤 색도 보게 할 수 없어요.” 이것을 듣고 수도사는 웃으며 말했다. “만약에 당신들이 단돈 몇 달러밖에 하지 않는 녹색 안경 하나만 구매했다면, 이러한 벽, 나무, 항아리, 그리고 다른 모든 것을 지킬 수 있었을 것이고 또한 그의 재산의 많은 부분을 아낄 수 있었을 것입니다. 당신들은 온 세상을 녹색으로 칠할 수는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