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모의고사 자료/고1

2020년 11월 고1 모의고사 워크북(나눔)

우리동네영어쌤 Alpaca 2020. 12. 3. 08:03
반응형

2011 고1 EF02 Work Book(샘플).pdf
1.39MB

 

 

 

영어농장 모의고사 자료 목록

EF000 좌본우해

EF001 어휘정리 EF002 본문 한줄해석

EF003 본문영작연습 EF004 본문해석연습

EF005 내용일치 EF006 글의순서

EF007 문장삽입 EF008 어법어휘선택

EF01 종합변형문제 EF02 워크북 (EF002, EF005~8 합본)

 

전체 자료는 영어농장 카페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항 자료구매 ↓↓↓

http://naver.me/FLS3g52R

 

2020년 11월 고1/고2 모의고사 종합변형문제+워크북 판매

<알파카의 영어농장> 나눔자료 게시판에 샘플 파일을 올려놓았습니다 https:cafe.naver.com/forjr 합본형 선택시 할인이 적용됩니다

form.office.naver.com

 

알파카의 영어농장 http://cafe.naver.com/forjr

 

알파카의 영어농장 : 네이버 카페

고등부 학생들, 고등부 선생님들께 필요한 모의고사 위주의 자료를 제공하는 영어카페입니다.

cafe.naver.com

 

알쌤의 영어교실 블로그 http://blog.naver.com/forjr

 

알쌤의 영어교실 : 네이버 블로그

무능한 학생은 없다, 무능한 선생만 있을뿐

blog.naver.com

 

영어회복제 Pacas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annel/UC4odtcensF2XNDb51dvZofw

 

영어회복제Pacas

- 우리동네영어쌤 Alpaca Since 2019. 8. - 채널명을 변경하였습니다~* 올해 1월에 이사를 하고, 공부방을 열어 2월 1일 부터 첫 수업을 진행했어요~ 고3 수강생이 아직 1명이라 강의를 보면 수업 초점이

www.youtube.com

 


37.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Even though two variables seem to be related, there may not be a causal relationship. In fact, the two variables may merely seem to be associated with each other due to the effect of some third variable. Sociologists call such misleading relationships spurious. A classic example is the apparent association between children's shoe size and reading ability. It seems that as shoe size increases, reading ability improves. Does this mean that the size of one's feet (independent variable) causes an improvement in reading skills (dependent variable)? Certainly not. This false relationship is caused by a third factor, age, that is related to shoe size as well as reading ability. Hence, when researchers attempt to make causal claim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n independent and a dependent variable, they must control for or rule out other variables that may be creating a spurious relationship.

* variable: 변인 ** spurious: 허위의, 가짜의

비록 두 변인이 관련된 것처럼 보일지라도 인과 관계가 없을 수도 있다. 사실, 그 두 변인은 어떤 제3 변인의 영향으로 단지 서로 관련된 것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사회학자들은 이러한 오해의 소지가 있는 관계를 허위라고 부른다. 전형적인 예는 아이들의 신발 크기와 읽기 능력 사이의 명백한 연관성이다. 신발 크기가 커질수록, 읽기 능력이 향상되는 것처럼 보인다. 이것이 발 크기(독립 변인)가 읽기 능력(종속 변인)의 향상을 유발한다는 것을 의미하는가? 물론 아니다. 이러한 허위 관계는 읽기 능력은 물론 신발 크기와도 관련이 있는 제3 변인인 연령에 의해 발생한다. 따라서, 연구자들이 독립 변인과 종속 변인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인과 관계를 주장하려고 할 때 그들은 허위 관계를 만들어 낼 수도 있는 다른 변인들을 통제하거나 배제해야만 한다.

 

38.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Daylight isn't the only signal that the brain can use for the purpose of biological clock resetting, though it is the principal and preferential signal, when present. So long as they are reliably repeating, the brain can also use other external cues, such as food, exercise, and even regularly timed social interaction. All of these events have the ability to reset the biological clock, allowing it to strike a precise twenty-four-hour note. Despite not receiving light cues due to their blindness, other phenomena act as their resetting triggers. It is the reason that individuals with certain forms of blindness do not entirely lose their circadian rhythm. Any signal that the brain uses for the purpose of clock resetting is termed a zeitgeber, from the German “time giver” or “synchronizer.” Thus, while light is the most reliable and thus the primary zeitgeber, there are many factors that can be used in addition to, or in the absence of, daylight.

* circadian rhythm: 24시간 주기 리듬

(햇빛이) 있을 때는 비록 그것이 중요하고 우선되는 신호지만, 햇빛은 뇌가 생체 시계 재설정을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신호는 아니다. 확실하게 반복되는 한, 뇌는 음식, 운동 그리고 심지어는 정기적인 사회적 상호 작용과 같은 다른 외부적인 신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모든 경우는 생체 시계를 재설정하는 능력이 있어 정확한 24시간 음을 치도록 한다. 그것이 어떤 유형의 시력 상실을 가진 개인도 24시간 주기의 리듬을 완전히 잃지 않는 이유이다. 그들의 시력 상실 때문에 빛 신호를 받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현상들이 재설정의 유인 역할을 한다. 뇌가 시계 재설정을 목적으로 이용하는 모든 신호는 시간 제공자또는 동기화 장치라는 독일어에서 유래한 자연 시계라고 불린다. 따라서, 빛이 가장 신뢰할 수 있어서 주된 자연 시계인 반면, 햇빛과 함께 혹은 햇빛이 없을 때 사용될 수 있는 많은 요인이 있다.

 

39.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Earlier agricultural systems were integrated with and co-evolved with technologies, beliefs, myths and traditions as part of an integrated social system. Generally, people planted a variety of crops in different areas, in the hope of obtaining a reasonably stable food supply. These systems could only be maintained at low population levels, and were relatively non-destructive (but not always). More recently, agriculture has in many places lost its local character, and has become incorporated into the global economy. This has led to increased pressure on agricultural land for exchange commodities and export goods. More land is being diverted from local food production to “cash crops” for export and exchange; fewer types of crops are raised, and each crop is raised in much greater quantities than before. Thus, ever more land is converted from forest (and other natural systems) for agriculture for export, rather than using land for subsistence crops.

* subsistence crop: 자급자족용 작물

초기의 농업 시스템은 통합된 사회 시스템의 일부로서 기술, 신념, 신화 그리고 전통과 통합되고 함께 발전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상당히 안정적인 식량 공급을 얻기를 기대하며 여러 지역에 다양한 작물을 심었다. 이 시스템은 낮은 인구 수준에서만 유지될 수 있었고, 비교적 파괴적이지 않았다(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 더 최근에는 농업이 많은 곳에서 그 지역적 특성을 잃고 세계 경제에 통합되어 왔다. 이로 인해 교환 상품과 수출 상품을 위한 농경지에 대한 압력이 증가하게 되었다. 더 많은 땅이 수출과 교환을 위해 지역 식량 생산에서 환금 작물로 전환되고 있는데, 더 적은 종류의 작물이 재배되고, 각 작물은 이전보다 훨씬 더 많은 양으로 재배된다. 따라서 자급자족용 작물을 위해 땅을 사용하기 보다는, 수출을 위한 농업을 위해 어느 때보다 더 많은 토지가 산림(그리고 다른 자연 시스템)으로부터 전환된다.

 

 

40.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In their study in 2007 Katherine Kinzler and her colleagues at Harvard showed that our tendency to identify with an in-group to a large degree begins in infancy and may be innate. Kinzler and her team took a bunch of five-month-olds whose families only spoke English and showed the babies two videos. In one video, a woman was speaking English. In the other, a woman was speaking Spanish. Then they were shown a screen with both women side by side, not speaking. In infant psychology research, the standard measure for affinity or interest is attention babies will apparently stare longer at the things they like more. In Kinzler's study, the babies stared at the English speakers longer. In other studies, researchers have found that infants are more likely to take a toy offered by someone who speaks the same language as them. Psychologists routinely cite these and other experiments as evidence of our built-in evolutionary preference for “our own kind.”

* affinity: 애착

2007년에 있었던 연구에서 Katherine Kinzler와 그녀의 하버드 동료들은 내()집단과 동일시하려는 우리의 경향이 상당 부분 유아기에 시작되고 선천적일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Kinzler와 그녀의 팀은 가족들이 영어만을 말하는 한 무리의 5개월 된 아이들을 골라 두 개의 영상을 보여 주었다. 한 영상에서 한 여성이 영어를 말하고 있었다. 다른 영상에서는 한 여성이 스페인어를 말하고 있었다. 그러고나서 그들에게 두 여성 모두 말없이 나란히 있는 화면을 보여 주었다. 유아 심리학 연구에서 애착이나 관심의 표준 척도는 주목인데, 아기들은 분명 그들이 더 좋아하는 것을 더 오래 쳐다볼 것이다. Kinzler의 연구에서 아기들은 영어 사용자들을 더 오래 쳐다보았다. 다른 연구들에서 연구자들은 유아들이 자신들과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제공하는 장난감을 받을 가능성이 더 높다는 점을 발견했다. 심리학자들은 우리와 같은 종류에 대한 우리의 내재된 진화론적인 선호에 대한 증거로 이것들과 다른 실험들을 반복해서 인용한다.

 

 

 

반응형